경제,사회문화/통일이 미래다

朴대통령 '對北전단 살포 제한' 시사 발언에 남재준(前국정원장) "원칙 허물어져" 강한 우려

화이트보스 2015. 1. 14. 11:48

朴대통령 '對北전단 살포 제한' 시사 발언에 남재준(前국정원장) "원칙 허물어져" 강한 우려

  • 최경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입력 : 2015.01.14 03:00 | 수정 : 2015.01.14 10:10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 사진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북 전단 살포 제지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는 데 대해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은 “그동안 지켜온 원칙을 허무는 것 아니냐”고 강한 우려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 전 원장과 가까운 지인은 13일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지켜본 남 전 원장이 ‘대통령의 고심은 이해하지만 일각에서 북한의 위협에 굴복해 대북 전단 살포를 사실상 제한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는 발언을 하신 것 아닌가’라고 하면서 이런 우려를 청와대 안보 당국자들에게 전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뜻을 밝혔다”고 말했다.
     
    청와대에 남 전 원장의 뜻이 실제 전해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 1기 국정원장을 지낸 남 전 원장은 백령도·연평도 등을 제외한 다른 접경 지역에선 대북 전단을 물리적으로 제한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남 전 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현 정부 1기 안보팀의 핵심축을 맡았던 자신이 물러난 뒤 정부 정책 기조가 북한과의 대화 등 유화 노선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남 전 원장은 북한의 체제 변화 등을 주장한 대북 원칙론자로 평가된다. 남 전 원장은 국정원장으로 있을 때 직원들에게 "국정원의 역할은 조국의 새벽을 준비하는 일이며 이는 곧 다가올 통일의 기반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을 앉아서 기다릴 게 아니라 앞당겨질 수 있다는 인식하에 외부적으론 북한 정권의 변화에, 내부적으론 국내 종북(從北) 세력의 준동에 대비하는 쪽으로 조직의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런 남 전 원장으로선 자신이 퇴임한 이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유화적으로 변화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다.
     
    실제 남 전 원장이 지난해 5월 자신과 함께 현 정부 안보팀의 한 축을 맡았던 김장수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동반 퇴진했을 때 군 출신인 두 사람이 주도해온 정부의 대북 원칙론 기조에 변화가 올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두 사람을 잘 아는 한 예비역 장성은 “남 전 원장과 김 전 실장은 주민 등 민간 차원에서 논란이 벌어져 전단 살포가 중단되는 것은 어쩔 수 없더라도 정부가 나서 살포를 자제시키거나 제한하는 데는 반대했다”며 “남 전 원장은 작년 하반기부터 불거진 대북 전단 살포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식의 미묘한 변화는 대북 기조 변화의 한 징후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