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1.17 03:00
[첫날부터 돌직구 날린 野국정자문단]
"국민은 먹고살기 바쁜데 진영 논리만 펴니까 짜증"
-
김진표 前부총리(왼쪽), 전윤철 前부총리.
경제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낸 김진표 전 의원이 의장을 맡은 자문단은 야당의 경제정책이 무너졌다는 반성에서 시작해 정책 역량을 강화하고 수권 정당의 면모를 갖추자는 취지에서 출범한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국정자문단을 꾸린 것은 야당이 되고서는 처음이다.
전윤철 전 경제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야당이 야당다워야 제대로 된 여당이 나올 수 있는데, 야당에 대해 '직구(直球)'를 안 날릴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민은 먹고살기 바빠 진보냐 보수냐에 별 관심이 없는데 너무 진영 논리에 갇혀 있다"고 말했다. 전 전 부총리는 "진영 논리로 싸우는 모습만 보면 국민은 짜증 난다"며 "자고 일어나면 당을 새로 만든다는 소리가 나오질 않나…"라고 했다. 이근식 전 행정자치부 장관은 새정치연합을 '서서히 데워지는 가마솥 안 개구리'에 비유하며 "죽는 줄도 모르고 생존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싸가지 없는 정당, 패거리 정치, 자기 자리를 누가 뺏을까 싶어 노심초사하는 모습 등을 버려야 한다"고 했다.
당의 노선을 더 중도 쪽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철규 전 공정거래위원장은 "진보나 보수나 극단적인 주장으로 갈수록 소수이고, 선거에서는 반드시 진다"며 "중위(中位) 소득자에 가까운 정당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신낙균 전 문화관광부 장관도 "당 정체성이 모호해졌다"며 "(과거의 민주당은)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정당이었는데 지금은 서민만 강조하고 중산층이 빠져서 그들에게 맞는 정책이 안 보인다"고 말했다.
김학재 전 법무부 차관은 "19대 총선 때는 느닷없이 애국가도 부르지 않는 세력과 연대해 중도층이 대거 이탈했고, 대선 때도 단일화를 매끄럽게 하지 못하는 바람에 실패했다"며 "다음 총선이라는 기회를 걷어차지 않고 어떻게 새로이 거듭 태어나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