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
한 병의 생수 물통 만들고 유통시키고 재활용하는 데 드는 기름 약 125ml


그러나 왜 탄산음료가 아니고 생수를 금지했을까. 플라스틱이 환경에 나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탄산음료가 아닌 생수 판매를 금지한 것은 의아한 결정처럼 보인다. 국제생수협회는 시민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세금이 줄어들고, 생수산업에 의존해 살아가고 있는 노동자들의 삶을 위협하는 법안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건강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한 지금 생수시장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생수 소비’가 건강한 삶의 실천이라는 믿음이 널리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샌프란시스코 지방정부는 특정 지역에서 생수 판매를 법으로 금지했다. 생수 판매 금지에 관한 샌프란시스코 조례문을 완성했던 데이비드 추(DAvid Chui) 위원장은 사람들에게 21온즈(약 500㎖)의 물병에 4분의 1의 기름을 담아서 보여줬다. 한 병의 생수 물통을 만들고 유통시키고 재활용하는 데 드는 기름의 양이다.
활동가들(the campaign the Bottled)에 따르면 미국에서 1년 동안 플라스틱 물병 사용을 위해 사용되는 기름이 1700만 배럴이며 그것은 130만 대의 자동차가 1년간 사용하는 기름의 양과 맞먹는다고 한다. 수돗물을 먹는 것보다 2000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제한된 화석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은 자동차만이 아니다. 그런데도 생수 물병은 단지 20%만 재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80%는 매립지에 던져져 지구 지층의 숨통을 막고 있다. 최근에 나타나는 지진이나 기후 변화와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데이비드 추는 정부가 관리하는 수도와 달리 생수는 종종 생물학적 화학적 검사나 방사선 검사를 하지 않은 점을 지적해 생수 소비가 건강한 소비라는 믿음에 도전을 한다. 게다가 플라스틱 물통이 햇빛에 오랫동안 방치될 때 환경호르몬이 유출된다는 연구는 이미 상식이다.
우리가 생수를 쓰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불과하다. 사용의 편리함이 생수 소비를 더욱 증가시켰다.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 음료가 있는데 굳이 생수를 금지하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겠는가 하는 회의적인 질문이 나오기도 한다. 오히려 사람들이 몸에 나쁜 탄산음료나 과당이 잔뜩 들어간 희석 주스를 더 많이 소비하게 될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탄산음료의 소비는 건강에 대한 우려로 소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생수는 지속적으로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더 많은 물을 마셔야 한다는 과학 지식이 유포되면서 생수 시장은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의회는 생수판매 금지법을 상정할 때 만장일치로 합의를 보았다. 이때 그들이 세심하게 고려한 것은 시민들의 물 마실 권리를 해치지 않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음료대를 확장하고 행사가 있을 때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대형 물통을 대여하도록 했다. 마라톤과 같은 스포츠 행사, 페스티벌 그리고 극장 행사장에는 예외적으로 플라스틱 생수를 허용하는 조항을 자세하게 조례에 집어넣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수에 대한 지방정부의 입장을 분명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2015년 4월에 브루클린 지방정부에서도 시도됐다. 그러나 그들은 플라스틱 물병이 갖는 문제점에 동의하면서도 시민들에게 충분하게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 설치에 너무 많은 돈이 든다는 이유로 조례를 통과시키지 못했다. 그들은 플라스틱 생수 소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가고 있으니 생수 판매 금지법이 통과되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만원짜리 마유크림이 단돈 만원… “한국인? 안판다 나가라” (0) | 2015.06.02 |
---|---|
北 '점쟁이' 단속?…"2016년 북한에 큰 난리날 것" 예언 번져 (0) | 2015.06.02 |
시진핑 주석 "한중 FTA, 양국 국민에 실질적 혜택 줄 것" (0) | 2015.06.01 |
도둑 맞는 국고보조금] [2] 의사면허 빌려 세운 '사무장 病院'… 6년동안 의료보조금 6500억 꿀꺽 (0) | 2015.06.01 |
김대중,술과 사람 좋아한 평생 친구…그의 칼럼은 '대한민국 지킴이'였다 최명 前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0) | 201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