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고령화에 대한 준비

용돈연금] 63만원에 갇힌 노년 … 87% “용돈연금”

화이트보스 2015. 10. 26. 13:44

용돈연금] 63만원에 갇힌 노년 … 87% “용돈연금”

실시간 트렌드 뉴스 순위 1010
PDF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기자
 
 
 
 

경남 남해 독일마을에 정착한 파독(派獨) 간호사 우춘자(77·여)·엥겔 프리트(85) 부부가 지난 11일 발코니에서 맥주잔을 부딪치고 있다. 우씨는 88만원, 프리트는 339만원의 연금을 독일 정부로부터 받는다. [남해=송봉근 기자, 조문규 기자]

 

지금 40~59세 예상 수령액, 노후 생활비 29% 수준 …
“소득상한선 높여 더 내고 더 받게”
1000명 대상 국민연금 설문
“생활하기엔 연금 부족” 95%
“퇴직하더라도 일해야” 42%

기사 이미지
국민연금법 제1조는 노후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목적이라고 규정한다. 국민연금이 도입된 지 27년이 지났다. 국민의 노후를 제대로 책임지고 있을까. “연금 갖고 생활비를 충당하기에는 턱도 없어요. 용돈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부산 연제구 62세 최해안씨) “연금으로 생활이 힘들어서 일을 해 조금씩 벌고 있어요.”(경남 창원시 60세 이진현씨)

 최씨는 23년 보험료를 불입해 매달 40만원의 연금을 받는다. 이씨는 90만원(25년 가입)을 받지만 역시 충분하거나 적당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이처럼 국민연금은 ‘생활 안정’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용돈 연금’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게다가 앞으론 용돈 연금 가능성이 더 커진다. 국민연금연구원 추계에 따르면 소득대체율(생애평균소득 대비 연금의 비율)은 올해 46.5%(40년 가입 기준)이나 실질 대체율(실질 가입기간 고려)은 24.2%에 불과하다. 연금보험료 납부기간이 평균 16.7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실질 소득대체율이 2020년 24.8%로 정점에 달했다가 2030년 23.3%, 2040년 21.8%, 2050년 20.4%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했다. 연금 종주국인 독일은 47%에 달한다.

 본지 설문조사에서도 국민의 용돈 연금 우려가 확인됐다. 본지는 지난 14~16일 40~59세 1000명을 대상으로 국민연금 인식을 조사했다. 노후연금 예상 수령액을 알고 있는 사람(364명)이 밝힌 평균 연금액은 63만원이며 이는 적정 노후 생활비의 29%일 것으로 추정했다. 전체의 95%가 연금이 적정 노후 생활비로 부족하다고 본다. ‘국민연금이 용돈 연금밖에 안 된다’는 주장에 대해 ‘매우 동의한다’(42.5%) 또는 ‘대체로 동의한다’(44.2%)고 응답했다.

 생활비를 보충하기 위해 은퇴 후에 저축하거나(42.3%), 일을 하려는 사람(41.5%)이 적지 않다. 본지가 60·70대 국민연금 수령자 20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은퇴 후에도 편히 쉬지 못하고 대부분 일터에 남아 있었다. 부산의 최씨는 월 생활비(150만원)의 26.7%를 국민연금이 채우고 있다. 나머지를 벌기 위해 1t 화물차를 몰며 배송 일을 계속한다. 창원의 이씨도 연금이 생활비의 45%밖에 안 돼 중소기업에서 일을 한다.

 국민연금이 용돈 연금이 된 이유는 보험료가 선진국의 절반가량이고 소득대체율이 낮은 이유도 있지만 소득 상한선을 15년 동안 올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상현 새정치민주연합 최동익 의원실 비서관은 “소득 상한선을 올리면 중산층의 노후 연금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홍경준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의 보험료 지원을 확대해서 최대한 국민연금에 편입하면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권문일 덕성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연금에 대한 신뢰를 끌어올린 뒤 필요하다면 보험료를 일부 올려서라도 소득 보장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DA 300



◆특별취재팀=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이에스더·정종훈 기자, 김다혜(고려대 영문4)·김정희(고려대 사학4) 인턴기자 ssshi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스톱! 용돈연금] 63만원에 갇힌 노년 … 87% “용돈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