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보령湖 25년 담수화에 제동 건 안희정

화이트보스 2016. 10. 4. 10:53



보령湖 25년 담수화에 제동 건 안희정

입력 : 2016.10.04 06:23 | 수정 : 2016.10.04 06:24

'환경 생태 복원' 대 '농업 용수 공급'.

충남도와 한국농어촌공사가 보령호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지자체와 공기업의 싸움이지만, 내년 대통령선거 도전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안희정 충남지사와 중앙정부의 마찰로도 비치고 있다.

충남도는 지난 7월 '연안·하구 생태 복원 사업(역간척·逆干拓)'의 첫 시범 사업 대상지로 보령호를 선정했다. 보령호의 내륙 쪽은 자전거나 자동차 드라이브 코스로도 이름난 관광자원이다. 하지만 바다와 연결되는 곳의 수질은 물막이 공사가 끝나고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르면서 농업용수로 쓰기도 어려울 정도로 나빠졌다. 그러자 안희정 충남지사는 "방조제 문을 열고 바닷물을 들여 생태계를 복원하자"고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이미지 크게보기
충남 보령시 오천면과 천북면을 잇는 보령 방조제의 모습.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바닷물(사진 아래쪽) 유입을 막아 인공호수인 보령호(위쪽)를 만든 것이다. 충남도가 지난 7월 보령호 하구 갯벌 복원을 위해 방조제 문을 열어 해수를 유입시키자고 하자 보령호 담수화 사업을 진행해온 한국농어촌공사가 반발하고 있다. /충청남도

-충남道 "바닷물 들여 갯벌 복원"
"가축분뇨 방조제에 막혀 수질 악화
농업용수로도 쓸 수 없는 지경"

-정부 "그간 들인 2350억 水葬될판"
"道, 축산농 줄여 오염 막았어야"
일부선 "安지사의 대선용 정책"

이에 대해 그동안 보령호 담수화 사업을 진행해온 한국농어촌공사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그동안 국가 예산으로 투입한 사업비 2350억원을 수장시키자는 무책임한 제안"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충남도의회도 "역간척 사업은 오히려 현 민물 생태계를 깨뜨릴 수 있으며, 역간척을 위한 또 다른 예산이 들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충남도 "갯벌을 살리자"
1990년대 초까지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지역 주민들은 500만㎡에 이르는 갯벌에서 바지락과 굴, 농게를 잡아 판매하는 맨손 어업을 주된 소득원으로 삼았다. 하지만 1997년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며 갯벌 일부가 물에 잠기고 일부는 육지화되면서 어민들은 대부분 농업으로 돌아섰다.

물길이 막히면서 보령호 수원인 광천천과 상지천 상류에서 축산농가들이 배출하는 가축 분뇨가 방조제에 막혀 갯벌에 쌓이기 시작했다. 수질은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5~6등급(총 유기 탄소량 기준)으로 오염됐다.
최문희 충남도 개발정책 팀장은 "보령호 배수갑문만 열면 바닷물(수질환경평가 1등급)이 유통되면서 물이 정화되고 갯벌도 살아나게 된다"고 말했다. 충남도는 보령호 안에 염습지와 갯벌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등 생태학습장을 만들어 갯벌을 관광자원화할 계획도 갖고 있다.

◇정부 "중도 포기 불가능"

1991년부터 보령호 담수화 사업을 추진해온 한국농어촌공사 측은 "방조제 건설과 양수장, 용수로 공사 등 보령호 담수화 사업에 2350억원을 투입한 상태"라면서 "배수갑문을 열면 그동안 들인 비용은 물거품이 된다"고 말했다.

현재 공정률이 90%인 보령호 담수화 공사가 완료되면 보령과 홍성 지역 4200㏊ 농경지에 하루 80만t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광석 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장은 "충남도는 농업용수를 보령·홍성에서 30여㎞ 떨어진 부여 백제보에서 끌어오면 된다고 하는데, 하루 급수량이 10만t 정도라 보령호 급수량(최대 90만t)에 턱없이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다. 한 단장은 가축 분뇨로 인한 보령호 오염에 대해서는 "자치단체가 축산 농가를 줄였어야 했는데 1990년대보다 지금이 오히려 7.8배 늘어났다"고 충남도에 책임을 돌렸다. 농어촌공사는 보령호 안쪽에 자연 정화 작용을 할 수 있는 인공습지를 조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질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안희정 대권 행보' 논란도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달 말 보령호 생태 복원을 포함한 9개 정책을 '충남의 제안'이라는 이름으로 국회와 정부에 건의했다. 도정(道政) 현안을 국가 의제에 접목시킨 것이다. 특히 환경청·노동청·병무청 등 특별지방행정기관의 권한을 자치단체에 이양, 물 위기 대응체계 마련, 자치단체 관할 구역 조정, 농업 재정 개편, 정부 재정 운영 실시간 공개, 미세 먼지 대책 마련, 전력수급 체계 개선 등은 중앙정부가 의지를 보여야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다. 안 지사는 '내년 대선 출마용으로 이런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선 공약과 도정 현안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충남도 관계자도 "안 지사가 국가정책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보고, 대안을 제시했다고 보는 편이 옳다"고 말했다.
 
성공한 경우가 없는 '제3 지대'論
문재인 주장 옹호하며 訪中까지 전격 취소한 안희정, 왜?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100자평

    3
    이주창(el****)
    2016.10.0410:43:32신고 | 삭제
    4대강 필요 없다고 거부한 인간인데 충청도 물 부족하니 4대강물 끌어 달라고 애원하고 그러면서도 4대강은 반대 한다던 참 이상한 인간.
    박승두(shins****)
    2016.10.0410:16:10신고 | 삭제
    1991년부터 시행해왔으면 노무현 정부 때도 하던 일이었군. 국가가 25년 공들여 해온 사업을 대선출마용으로 쓰겠다고 백지화하는 인간은 도지사 자격조차 없는 거다. 농경지 물이 하늘에서 내리는 비로 대체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바닷물을 끌어들여 어쩌자는 거냐. 갯벌을 살려 관광객 끌어들이자는 게 농부들에게 무슨 도움이 되나.
    서승은(sse****)
    2016.10.0408:26:13신고 | 삭제
    전력, 물, 교통 등 중앙정부에서 일괄 처리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님비 기피현상 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해당 지자체에서 적극 나서도록, 일부 사업관리 권한을 지자체에게 나눠 주는 것도 한가지 방안이다. 실패하고 있는 보령호 수질관리 문제는 농어촌공사 독단으로 할 것이 아니라 해당 지자체와 협의해 해결방안을 마련하는게 효과적인 것 아닌가 ?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