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 국감을 공정하게 진행해야 할 위원장이 개회사에서 반미친북(反美親北)의 운동권 논리와 비슷한 사견(私見)을 천명해 상임위를 파행시키다니 자질이 의심스럽다. 같은 당 출신 정세균 국회의장도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반대 사견을 피력해 국회를 파행시킨 전력(前歷)이 있다. 의사 정리와 질서 유지를 맡은 위원장이 질서를 어지럽히는 게 거야(巨野)의 유행이 된 듯하다.
위안부 합의는 일본의 ‘법적 책임’을 추궁하지 못한 대신 ‘정부 책임’으로 봉합함으로써 미흡한 점이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한일 양국이 협상을 타결한 것은 과거보다 미래를 생각한 정부의 고육책(苦肉策)으로 평가된다.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 지적대로 외통위원장이라면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설득하도록 촉구했어야 옳다.
심 위원장이 미국 내부의 북 선제타격 주장을 경고한 것도 가당찮다. 미국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 진영 모두 ‘집권하면 북핵에 대한 선제타격을 옵션에서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힐 만큼 북핵은 차기 미국 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북핵이야말로 ‘한민족 절멸의 대재앙’을 일으킬 수 있는 근본 원인인데 심 위원장은 이를 제거하기 위한 선제타격론이 대재앙이라고 앞뒤가 바뀐 말을 하고 있다.
외교·통일에는 여야가 있을 수 없다. 외통위원장이라면 가급적 선제타격 상황까진 가지 않고 ‘북핵 폐기’라는 지상(至上)의 국익을 관철하도록 외교정책을 독려하는 일을 해야 한다. 외통위원장이 외교정책을 담당하는 정부를 뛰어넘어 미국에 경고를 날리는 것도 어울리지 않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