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日帝서 독립한 지 72년… 누굴 겨냥해 親日청산 꺼냈나 김아진

화이트보스 2017. 1. 18. 10:15


日帝서 독립한 지 72년… 누굴 겨냥해 親日청산 꺼냈나

입력 : 2017.01.18 03:04

[문재인, 최근 강력한 의지 갖고 이슈화] 

文 "親日청산해 주류세력 바꿀 것"… 청산 대상과 방법은 말하지 않아
새누리 "친일한 사람들은 이미 다 죽었는데 뭘 청산하자는 거냐
후손 찾아내 연좌제 하자는 건가"
文측 "후손 처벌하자는 건 아냐"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친일(親日) 청산으로 주류·기득권 세력의 적폐를 청산하겠다"며 연일 '친일 청산'을 강조하고 있다. 1945년 독립 이후 72년이 지나 정작 친일 당사자들은 없는 상황이다. 그런 시기에 다시 나온 '친일 청산' 카드에 대해 "20세기 문제의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에선 노무현 정부 때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켰던 '과거사 위원회 시즌2'를 기획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친일 청산'은 참모들의 제안이 아니라 문 전 대표 자신이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며 직접 제기한 이슈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전 대표는 17일 열린 자신의 대담집 '대한민국이 묻는다' 출판 기념 간담회에서 "6월 항쟁 때 민주정부가 수립됐다면 독재 세력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친일에 대한 청산도 함께 이뤄질 수 있었을 것"이라며 "군부 독재 정권이 연장되는 바람에 박정희 체제가 우리 사회를 지배했고, 그 체제가 낳은 것이 바로 박근혜 정권"이라고 했다.

이 책에서도 문 전 대표는 "친일 세력이 독재 군부 세력과 안보를 빙자한 사이비 보수 세력으로 그때그때 화장만 바꿨다"면서 "친일에서 반공으로 또는 산업화 세력으로, 지역주의를 이용한 보수라는 이름으로, 정말로 위선적인 허위의 세력들"이라고 했다. 그는 "친일 행위에 대해 확실하게 심판을 받아야 했다"며 "그런데 해방 이후에도 독재 세력과 붙어서 또 떵떵거리면서 잘살았지 않나. 민주화가 되고 나면 독재 시대 때 누렸던 부분에 대해 대가를 치러야 하는데 여전히 지금까지 잘 먹고 잘사는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자신의 저서 ‘대한민국이 묻는다’ 출판 기념 간담회를 가진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친일(親日)’에 대해 “독재 세력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자신의 저서 ‘대한민국이 묻는다’ 출판 기념 간담회를 가진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친일(親日)’에 대해 “독재 세력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형주 기자

문 전 대표는 평소 "현 기득권 체제의 뿌리가 친일에서 시작됐다"는 인식을 강하게 갖고 있다고 한다. 한 관계자는 "갑작스럽게 던진 화두가 아니라 문 전 대표의 의지이자 소신"이라고 했다. 실제 문 전 대표는 2012년 대선 때에도 "친일 청산을 하겠다"는 표현을 자주 썼다. 당시 캠프에는 '진실과 화해위원회'를 설치하면서 "정권 교체 이후 노무현 정부 때 끝내지 못했던 과거사 정리 작업을 마무리하겠다"고 했었다.

문 전 대표는 친일 청산 대상이 누구이고 어떤 방법으로 청산하겠다는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이날도 관련 질문에 "독재 세력의 뿌리 정도로만 정리하자"고만 답했다. 하지만 문 전 대표 일부 측근은 "친일파들이 1950~1960년대 군부독재에서 혜택을 받아 특권경제층(재벌)이 되거나 이후 정치권력층으로 둔갑하지 않았느냐"며 "지금의 새누리당 등 보수 정당에서 활동하는 친일 자손 등까지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문 전 대표는 2015년 당대표 시절 여당 대표였던 김무성 의원에게 "친일 독재 후예"라며 공격한 적이 있다. 문 전 대표는 당시 박근혜 대통령과 김 대표를 지목하며 "두 분의 선대(先代)가 친일·독재에 책임이 있는 분들"이라고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선대를 '친일파'라고 하는 건 특정 성향의 그룹에서만 하는 얘기다. 이 때문에 "문 전 대표가 좌파적 시각에서 친일을 일방적으로 규정하고 그 후손들에게도 책임을 묻겠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것이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친일 청산'이라는 표현은 문 전 대표가 직접 제기한 이슈다. 내부에서는 '너무 과거 이슈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본인의 생각이 확고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문 전 대표의 친일 발언에 새누리당 등에서는 "친일한 사람들이 이미 다 죽었는데 뭘 청산하자는 것이냐"며 "그 후손들까지 찾아내 '연좌제' 하자는 거냐"고 했다.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반공, 친일, 산업화, 보수를 하나의 세력으로 규정하는 문 전 대표의 증오적 편협한 역사 인식이 그저 놀라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비판에 대해 문 전 대표 측은 "친일 청산을 내세우는 것이 과거 친일 자손들까지 처벌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자연스럽게 주류 세력을 교체시키겠다는 상징적인 의미일 뿐"이라고 했다. 

 

[인물 정보]
문재인의 '편 가르기' 비판에, 정치권 "자기 눈의 대들보는 못 보고…"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8/201701180029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