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
- 32
- 더보기
입력 : 2017.01.18 03:04
[문재인, 최근 강력한 의지 갖고 이슈화]
文 "親日청산해 주류세력 바꿀 것"… 청산 대상과 방법은 말하지 않아
새누리 "친일한 사람들은 이미 다 죽었는데 뭘 청산하자는 거냐
후손 찾아내 연좌제 하자는 건가"
文측 "후손 처벌하자는 건 아냐"
문 전 대표는 17일 열린 자신의 대담집 '대한민국이 묻는다' 출판 기념 간담회에서 "6월 항쟁 때 민주정부가 수립됐다면 독재 세력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친일에 대한 청산도 함께 이뤄질 수 있었을 것"이라며 "군부 독재 정권이 연장되는 바람에 박정희 체제가 우리 사회를 지배했고, 그 체제가 낳은 것이 바로 박근혜 정권"이라고 했다.
이 책에서도 문 전 대표는 "친일 세력이 독재 군부 세력과 안보를 빙자한 사이비 보수 세력으로 그때그때 화장만 바꿨다"면서 "친일에서 반공으로 또는 산업화 세력으로, 지역주의를 이용한 보수라는 이름으로, 정말로 위선적인 허위의 세력들"이라고 했다. 그는 "친일 행위에 대해 확실하게 심판을 받아야 했다"며 "그런데 해방 이후에도 독재 세력과 붙어서 또 떵떵거리면서 잘살았지 않나. 민주화가 되고 나면 독재 시대 때 누렸던 부분에 대해 대가를 치러야 하는데 여전히 지금까지 잘 먹고 잘사는 것"이라고 했다.

문 전 대표는 평소 "현 기득권 체제의 뿌리가 친일에서 시작됐다"는 인식을 강하게 갖고 있다고 한다. 한 관계자는 "갑작스럽게 던진 화두가 아니라 문 전 대표의 의지이자 소신"이라고 했다. 실제 문 전 대표는 2012년 대선 때에도 "친일 청산을 하겠다"는 표현을 자주 썼다. 당시 캠프에는 '진실과 화해위원회'를 설치하면서 "정권 교체 이후 노무현 정부 때 끝내지 못했던 과거사 정리 작업을 마무리하겠다"고 했었다.
문 전 대표는 친일 청산 대상이 누구이고 어떤 방법으로 청산하겠다는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이날도 관련 질문에 "독재 세력의 뿌리 정도로만 정리하자"고만 답했다. 하지만 문 전 대표 일부 측근은 "친일파들이 1950~1960년대 군부독재에서 혜택을 받아 특권경제층(재벌)이 되거나 이후 정치권력층으로 둔갑하지 않았느냐"며 "지금의 새누리당 등 보수 정당에서 활동하는 친일 자손 등까지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문 전 대표는 2015년 당대표 시절 여당 대표였던 김무성 의원에게 "친일 독재 후예"라며 공격한 적이 있다. 문 전 대표는 당시 박근혜 대통령과 김 대표를 지목하며 "두 분의 선대(先代)가 친일·독재에 책임이 있는 분들"이라고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선대를 '친일파'라고 하는 건 특정 성향의 그룹에서만 하는 얘기다. 이 때문에 "문 전 대표가 좌파적 시각에서 친일을 일방적으로 규정하고 그 후손들에게도 책임을 묻겠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것이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친일 청산'이라는 표현은 문 전 대표가 직접 제기한 이슈다. 내부에서는 '너무 과거 이슈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본인의 생각이 확고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문 전 대표의 친일 발언에 새누리당 등에서는 "친일한 사람들이 이미 다 죽었는데 뭘 청산하자는 것이냐"며 "그 후손들까지 찾아내 '연좌제' 하자는 거냐"고 했다.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