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7.02.03 23:13
보수의 명예·전통·자존심 붕괴… 大勢論보다 높은 壁
사실상 保革 양당 체제 속 보수 침몰은 정치 非常
보수(保守)는 솔직하게 묻고 대답할 때가 됐다. 다음 대선에 승산(勝算)이 있는가.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불러낼 든든한 후보를 세울 수라도 있겠는가. 보수 유권자는 누구를 찍기 위해 투표장에 나갈까. 아니면 누가 될 것 같은 불안에 등 떠밀려 나가게 될까. 보수 정당과 정치인은 뼈저리게 반성하고 있을까. 재기(再起)의 계기를 붙들려고 몸부림치고 있을까. 그 모습을 지켜보는 국민 가슴속에 무슨 변화가 생겨나기 시작했을까. 여기가 보수의 바닥일까. 한참 더 내려가야 바닥에 닿는 건 아닐까. 보수가 이 질문들에 자신있게 대답하지 못한다면, '만(萬)에 하나' 하는 지푸라기 같은 희망은 그냥 지푸라기일 뿐이다.
야권(野圈) 대선 예비 주자들 지지율 합계는 60% 가깝다. 선두 문재인 전 대표 지지율은 30%를 넘나든다. 반기문 하차(下車) 이후 여권(與圈) 후보 전체 지지율은 10% 안팎이다. 거취(去就)에 '글쎄'를 달고 있는 황교안 국무총리까지 싹싹 쓸어도 20% 미달이다. 노무현 대통령 불평처럼 '보수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기울어진 운동장' 사정이 이렇게 변했다. 조금 엄살이 섞였고, 실제 조사에선 5% 정도 보수가 편한 경기장으로 나온다. 2002년 노무현 후보는 이 불리한 운동장에서 이회창 대세론(大勢論)을 무너뜨렸다. 당시 이 후보는 2년 넘게 50%대 콘크리트 지지층을 다져왔다. 2017년 보수의 희망은 역설(逆說) 같긴 해도 '보수 노무현'의 등장이다.
숫자로만 보면 불가능할 것도 없다. 문재인 대세론은 30% 대세론이다. 이회창 대세론의 턱 부근에도 닿지 못한다. 선거의 해 야당 유력 대선 후보 지지율은 현직 대통령 지지율과 엇물려 돌아간다. 작년 가을 국정 농단 사태 이후 대통령 지지율은 40%대에서 한 자리대로 급락(急落)했다. 그런데도 문재인 지지율의 30% 선 돌파는 38선 밀어올리기만큼 힘들었다. 여의도 용어로 지지의 확장성(擴張性)에 한계를 드러냈다. 뒤집어 말하면 상당수 국민의 심리적 저항이 여전히 크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여권 전체는 패배 의식과 좌절감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여권 분열이 처음 보는 현상도 아니다. 2002년 노무현 후보는 후보로 선출되고 나서 선거가 있기까지 8개월 동안 줄곧 후보 교체 시도에 시달렸다. 집단 탈당 사태가 벌어졌고 끝내는 여당 공식 후보가 당(黨) 바깥 후보와 여론조사로 후보를 단일화해야 하는 지경에 내몰렸다. 그래도 여권 전체가 패배 의식과 좌절감에 젖는 일은 없었다. 지금 야권도 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양분(兩分)됐기는 마찬가지다.
여권이 부딪힌 벽, 무릎을 꿇어버린 벽은 숫자의 벽이 아니다. 보수의 명예·전통·자존심이 몽땅 허물어져버렸기 때문이다. 보수 정당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승만 대통령·박정희 대통령과 만난다. 공(功)과 과(過)가 있는 인물이다. 이승만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결 시대에 대한민국 주춧돌을 자본주의 진영에 놓았다. 대한민국은 거기서 출발했다. 박정희는 절대 빈곤의 나라가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올라서는 사다리를 만들었다. 한국 보수 정당은 역사 속 그들의 발자취를 공칠과삼(功七過三)으로 평가하며 그것을 현대 선진 민주국가에 걸맞게 업그레이드(upgrade)시키는 것을 과업으로 걸머진 정당이다. 그 정당이 사생(死生)의 기로에서 헤매고 있다. '태극기부대'도 내색(內色)은 않지만 그런 허탈감에 시달리고 있을 것이다.
현재 민주당은 언제부터인가 '정통 보수 정당'이라는 대(代)물림해 오던 간판을 내렸다. 왜 언제 그 간판을 내렸는지 설명 들은 기억이 희미하다. 민주당은 1950년대 민주당을 이끌었던 신익희·조병옥 시대와 연(緣)을 스스로 끊었다. 민주당의 정체성(正體性)이 그래서 아리송하다. 한국 정당 체제는 겉보기엔 보수 양당 체제지만 실제론 보혁(保革) 양당 체제다.
보혁 양당 체제의 한 축(軸) 보수가 명예·전통·자존심을 잃고 침몰하는 사태는 보통 일이 아니다. 한국은 늙은 나라, 미국은 젊은 나라로 아는 건 착각이다. 미국은 독립한 지 240년 된 늙은 나라다. 대한민국은 70년 역사의 이제 막 커가는 나라다. 역사가 다르니 보수 정당 성격도 다르다. 한국 보수 정당은 전통의 계승만이 아니라 앞으로 이어갈 가치가 있는 전통을 새로 만들어야 할 사명을 지닌 정당이다. 그 정당이 탄핵 사태를 부른 대통령을 만나 오도 가도 못하고 있다.
대통령을 지키는 건 당부(當否)를 떠나 가능하지가 않다. 탄핵 지지 국민 80%를 외면하고 집권은 엄두도 낼 수 없다. 대통령을 버리고 가기도 어렵다. 선거 승패를 좌우할 15~20%가 반발한다. 보수 정당 출현 이후 최대 딜레마다. 진퇴양난(進退兩難)의 보수는 한 사람의 한마디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딱한 처지다. 그런데 '나를 밟고 가라'는 기다리던 그 응답(應答)이 과연 오긴 오는 걸까.
야권(野圈) 대선 예비 주자들 지지율 합계는 60% 가깝다. 선두 문재인 전 대표 지지율은 30%를 넘나든다. 반기문 하차(下車) 이후 여권(與圈) 후보 전체 지지율은 10% 안팎이다. 거취(去就)에 '글쎄'를 달고 있는 황교안 국무총리까지 싹싹 쓸어도 20% 미달이다. 노무현 대통령 불평처럼 '보수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기울어진 운동장' 사정이 이렇게 변했다. 조금 엄살이 섞였고, 실제 조사에선 5% 정도 보수가 편한 경기장으로 나온다. 2002년 노무현 후보는 이 불리한 운동장에서 이회창 대세론(大勢論)을 무너뜨렸다. 당시 이 후보는 2년 넘게 50%대 콘크리트 지지층을 다져왔다. 2017년 보수의 희망은 역설(逆說) 같긴 해도 '보수 노무현'의 등장이다.
숫자로만 보면 불가능할 것도 없다. 문재인 대세론은 30% 대세론이다. 이회창 대세론의 턱 부근에도 닿지 못한다. 선거의 해 야당 유력 대선 후보 지지율은 현직 대통령 지지율과 엇물려 돌아간다. 작년 가을 국정 농단 사태 이후 대통령 지지율은 40%대에서 한 자리대로 급락(急落)했다. 그런데도 문재인 지지율의 30% 선 돌파는 38선 밀어올리기만큼 힘들었다. 여의도 용어로 지지의 확장성(擴張性)에 한계를 드러냈다. 뒤집어 말하면 상당수 국민의 심리적 저항이 여전히 크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여권 전체는 패배 의식과 좌절감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여권 분열이 처음 보는 현상도 아니다. 2002년 노무현 후보는 후보로 선출되고 나서 선거가 있기까지 8개월 동안 줄곧 후보 교체 시도에 시달렸다. 집단 탈당 사태가 벌어졌고 끝내는 여당 공식 후보가 당(黨) 바깥 후보와 여론조사로 후보를 단일화해야 하는 지경에 내몰렸다. 그래도 여권 전체가 패배 의식과 좌절감에 젖는 일은 없었다. 지금 야권도 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양분(兩分)됐기는 마찬가지다.
여권이 부딪힌 벽, 무릎을 꿇어버린 벽은 숫자의 벽이 아니다. 보수의 명예·전통·자존심이 몽땅 허물어져버렸기 때문이다. 보수 정당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승만 대통령·박정희 대통령과 만난다. 공(功)과 과(過)가 있는 인물이다. 이승만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결 시대에 대한민국 주춧돌을 자본주의 진영에 놓았다. 대한민국은 거기서 출발했다. 박정희는 절대 빈곤의 나라가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올라서는 사다리를 만들었다. 한국 보수 정당은 역사 속 그들의 발자취를 공칠과삼(功七過三)으로 평가하며 그것을 현대 선진 민주국가에 걸맞게 업그레이드(upgrade)시키는 것을 과업으로 걸머진 정당이다. 그 정당이 사생(死生)의 기로에서 헤매고 있다. '태극기부대'도 내색(內色)은 않지만 그런 허탈감에 시달리고 있을 것이다.
현재 민주당은 언제부터인가 '정통 보수 정당'이라는 대(代)물림해 오던 간판을 내렸다. 왜 언제 그 간판을 내렸는지 설명 들은 기억이 희미하다. 민주당은 1950년대 민주당을 이끌었던 신익희·조병옥 시대와 연(緣)을 스스로 끊었다. 민주당의 정체성(正體性)이 그래서 아리송하다. 한국 정당 체제는 겉보기엔 보수 양당 체제지만 실제론 보혁(保革) 양당 체제다.
보혁 양당 체제의 한 축(軸) 보수가 명예·전통·자존심을 잃고 침몰하는 사태는 보통 일이 아니다. 한국은 늙은 나라, 미국은 젊은 나라로 아는 건 착각이다. 미국은 독립한 지 240년 된 늙은 나라다. 대한민국은 70년 역사의 이제 막 커가는 나라다. 역사가 다르니 보수 정당 성격도 다르다. 한국 보수 정당은 전통의 계승만이 아니라 앞으로 이어갈 가치가 있는 전통을 새로 만들어야 할 사명을 지닌 정당이다. 그 정당이 탄핵 사태를 부른 대통령을 만나 오도 가도 못하고 있다.
대통령을 지키는 건 당부(當否)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