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전남 장성군 황룡면에서 이용헌 씨(위쪽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가 막내아들 준흥 씨(왼쪽)의 화훼농장에서 둘째 덕재 씨(왼쪽에서 세 번째), 셋째 혁재 씨와 함께 수확한 저온성 화훼 알스트로에메리아를 안고 환하게 웃고 있다. 아버지 용헌 씨가 36년째 하루도 거르지 않고 쓰는 영농일지(아래쪽 사진)는 아들들의 농촌 정착과 성공의 나침반 역할을 하고 있다. 장성=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3일 오전 전남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 드넓은 들판에 자리한 비닐하우스에서 이용헌 씨(72)와 이 씨의 둘째 아들 덕재 씨(45)가 구슬땀을 흘리며 애호박을 파종(播種)했다. 오전 10시가 넘어 기온이 치솟자 부자의 손놀림이 빨라졌다.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가 45도까지 올라가는 한낮에는 작업을 할 수 없다. 모종 포트에 씨앗을 심고 고랑을 내는 작업을 서둘러 마친 용헌 씨는 아들이 대견한 듯 “고생했다”며 어깨를 토닥였다.덕재 씨는 예비 귀농인이다. 10년 넘게 일하던 경남 거제 조선소가 불황으로 문을 닫자 가족은 처가에 맡겨두고 5월부터 아버지한테 농사일을 배우고 있다. 3개월 사이에 몸무게가 5kg이나 빠질 정도로 고된 생활이지만 덕재 씨는 어느 때보다 땀과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고 있다.
덕재 씨에게 37년 동안 농사를 지어온 아버지는 훌륭한 과외교사다. 13년 전과 8년 전에 각각 귀농해 아버지 곁에서 농사를 짓는 두 남동생은 그의 귀농을 돕는 멘토다. 덕재 씨는 “귀농 정착자금 등을 받기 위해 조만간 군 농업기술센터에 귀농 신청을 할 계획”이라면서 “주위에서 든든한 후원자를 뒀다며 부러워한다”며 웃었다.
전남 보성이 고향인 용헌 씨가 장성에 정착한 것은 1980년. 광주에서 평범한 월급쟁이 생활을 하다 하우스 농사를 짓는 사촌처남을 따라 장성에 터를 잡았다. 농약을 많이 치는 하우스 농사를 하다 보니 그에 따른 잔병치레가 그칠 줄 몰랐다.
용헌 씨가 농사를 지으면서 보물처럼 아끼는 것이 있다. 36년째 하루도 거르지 않고 쓰는 영농일지다. A4용지 크기의 종이 365장을 엮어 3년 치 영농일지로 사용한다. ‘2015년 8월 2일·맑음·24∼35도·호박순 정리·인부 1명, 2016년 8월 2일·맑음·24∼33도·호박 모종판 포트 담기, 2017년 8월 2일·맑음·23∼33도·6∼3동(비닐하우스) 고르기 함·오전에 논두렁 예초기 함.’ 이처럼 영농일지 한 장에는 3년간 같은 날의 날씨와 온도, 작업 내용, 인부 현황 등이 꼼꼼히 기록돼 있다. 영농비 지출과 농작물 출하 내용도 빠짐없이 적는다.
용헌 씨는 “영농일지를 보면서 작업 시기와 관리법 등에 대해 계획을 세울 수 있고 날씨와 시세 흐름을 예측해 대비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미 10여 년 전 상추 재배로 연간 8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던 용헌 씨가 ‘농업의 미래가 밝고 농촌에 희망이 있다’고 설득하자 도시에서 일하던 두 아들이 내려왔다.
2004년 귀농해 저온성 화훼인 알스트로에메리아를 재배하는 막내아들 준흥 씨(39)는 아버지를 본받아 12년째 영농일지를 쓰고 있다. 꼼꼼한 아버지를 닮은 데다 혼자서 재배 기술을 마스터할 정도의 베테랑 농사꾼이 다 됐다.
용헌 씨가 세 아들에게 꼭 지키도록 당부하는 3대 원칙이 있다. 첫째는 직함을 갖지 말라는 것이다. 대외활동이 많아지면 그만큼 농사에 소홀할 수밖에 없다. 둘째는 작물과 친해지라는 것이다. 작물에 ‘잘 커줘서 고맙다’며 말을 걸고 손끝으로 정성껏 쓰다듬어 주면 최상품이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감당할 수 있을 만큼만 키우라는 것이다. 과잉 생산에 따른 가격 폭락 등의 후유증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36년 영농일지의 체험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교훈이다.
장성=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