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의 상업용 로켓 우주여객선이 뉴욕을 출발해 39분만에 상하이에 도착하는 장면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했다. [스페이스X 동영상 캡처]](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14/fab55bb5-3c1f-4241-91c8-906ca11d2221.jpg)
스페이스X의 상업용 로켓 우주여객선이 뉴욕을 출발해 39분만에 상하이에 도착하는 장면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했다. [스페이스X 동영상 캡처]
뉴욕~상하이 39분 만에 주파하는 로켓 여객선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그윗 숏웰 사장이 지난 11일 TED 2018 행사장에 나와 강연 중 보여 준 동영상이다. 로켓을 이용한 상업용 우주 여객선 구상이다.
![스페이스X가 계획 중인 저궤도 로켓우주여객선은 지구촌 어디든 여객기의 27배 속도로 날아가 한시간 안에 목적지에 내려준다. [스페이스X 동영상 캡처]](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14/2bc5ef9b-477a-40e6-9d9d-1b925dc734ab.jpg)
스페이스X가 계획 중인 저궤도 로켓우주여객선은 지구촌 어디든 여객기의 27배 속도로 날아가 한시간 안에 목적지에 내려준다. [스페이스X 동영상 캡처]
지난 10일 캐나다 밴쿠버 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2018 TED 콘퍼런스는 ‘놀라움의 시대(The Age of Amazement)’라는 올해 주제에 걸맞게 고정관념을 깨는 기발한 아이디어의 경연장이 되고 있다. 지구촌 주요 국가 도시를 한 시간 내에 이어주는 로켓 우주여객선 뿐 아니라, 우주의 찬 기온을 이용해 지구를 식히고,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다.
상업용 로켓 우주여객선 계획은 지난해 9월 발표한 것이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일론 머스크 회장이 종종 해온 ‘던져보는 차원’의 구상 정도로만 여겨졌다. 하지만 그윈 숏웰 사장이 TED 강연에 다시 이 구상을 들고나와 “향후 10년 안에 현실화하겠다”고 공언하면서 본격적으로 화제가 됐다. 실제로 스페이스X는 재활용 로켓에 이어 지난 2월 27개의 로켓엔진을 단 역대 최대 크기의 ‘팰컨헤비로켓’시험 발사에 성공하면서 계획에 한 발짝씩 다가서고 있다.
동영상과 함께 설명을 들은 크리스 앤더슨 TED 대표는 놀라운 표정을 지으며 “멋지긴 하지만 미친 짓이다. 절대로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다른 나라의 땅으로 미사일이 떨어진다고 생각해봐라…”라며 말을 더듬었다. 숏웰 사장은 “아니다. 분명히 현실화할 것이다. 민간로켓이 공군기지에서 발사되는 걸 예전엔 상상할 수 있었나”라고 반문했다. 관객들의 환호성과 박수가 이어졌다.
![아스왓 라마 박사가 적외선을 이용한 냉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TED]](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14/4436ac6c-bb21-439e-9e44-b7cda439fbbd.jpg)
아스왓 라마 박사가 적외선을 이용한 냉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TED]
영하 270도 우주 공간 온도 이용해 냉방
그는 “미국 에너지 생산량의 14%가 에어컨과 냉장고 등 냉방에 쓰이고 세계 탄소배출량의 10%가 에어컨과 냉장고에서 나온다”며 “스카이쿨시스템의 기술은 전기 생산에 드는 에너지도 줄일 수 있고, 온실가스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아스왓 라만 박사의 냉방 원리는 지구와 우주의 온도차와 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것이다. [사진 TED]](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14/67e94cc3-a4a7-4cd8-8af2-bd3c1203f405.jpg)
아스왓 라만 박사의 냉방 원리는 지구와 우주의 온도차와 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것이다. [사진 TED]
인류 운명 거머쥔 바다 수심 200~2000m 지역
소식 박사는 “바다 어류 수백만 종의 고향이면서 어류 사체의 90%가 몰려있는 것으로 최근 밝혀진 이 지역은 식량 안보와 지구 온난화 문제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곳에는 앨퉁이라는 이름의 심해어가 최대 수천조 마리 이상 서식하고 있다”며 “이들은 먹이 사냥을 위해 낮과 밤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심해로 가져가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최근 조업기술의 발달로 이들 심해어가 사는 지역까지 인간이 발을 뻗칠 경우, 지구촌 차원에서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소식 박사의 주장이다.
![아스왓 라만 박사의 냉방 원리는 지구와 우주의 온도차와 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것이다. [사진 TED]](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4/14/67e94cc3-a4a7-4cd8-8af2-bd3c1203f405.jpg)
아스왓 라만 박사의 냉방 원리는 지구와 우주의 온도차와 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것이다. [사진 TED]
밴쿠버=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전체댓글0
게시판 관리기준
- 조인스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