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文대통령이 참조한 소득통계, 최저임금 인상에 직격탄 맞은 자영업·실직자는 뺀 자료였다

화이트보스 2018. 6. 4. 10:12


文대통령이 참조한 소득통계, 최저임금 인상에 직격탄 맞은 자영업·실직자는 뺀 자료였다

조선일보 
  • 정우상 기자
  • 입력 2018.06.04 03:00

    靑 '긍정효과 90%' 근거 공개

    청와대는 3일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 효과가 90%"라고 했던 지난달 31일 문재인 대통령 발언의 근거 자료를 공개했다. 노동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이 통계청 자료를 재가공해 만든 이 자료는 전체 근로자 중 최하위 10%만 소득이 감소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날 발표 자료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와 무직자 등 '근로자 외 가구'는 빼고 만든 통계였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최저임금으로 가장 피해를 본 계층은 뺀 채 '꿰맞춘 통계 자료'를 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서 하위 20%의 소득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나와 통계청 원자료를 근거로 국책연구기관에 보다 면밀한 분석을 지시했다"며 새로 가공·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는 전체 가구가 아닌 직장에서 일하는 피고용 근로자 개인을 기준으로 하는 소득 증가율이었다. 홍 수석은 "통계청 조사에서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은 거의 전(全) 계층에 걸쳐 평균소득이 늘어난 '근로자 가구 소득'과 달리 '근로자가 아닌 가구'의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전체 스토리 보기

    청와대 공개 자료에는 개인 근로소득 증가율이 소득 하위 10%만 작년 같은 시기 대비 1.8%포인트 하락했고, 나머지 90% 계층은 작년 대비 2.9%포인트에서 8.3%포인트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 수석은 "대통령님의 (긍정적 효과가 90%라는) 말씀은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나온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 자료에선 정작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를 잃었거나 피해를 본 자영업자들은 제외됐다. 자영업자는 전체 근로소득자의 25%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청와대 입맛에 맞는 통계를 제시한 인상이 짙다"고 지적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4/201806040024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