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실험 1년] [下] 무리한 신재생에너지 전환
보급 서두르면서 곳곳서 훼손… 부동산 투기 등 부작용 속출
정부는 탈원전 정책의 하나로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작년 12월 발표했다. 원전 발전을 줄여나가는 대신 택한 대안이다. 그러나 제도가 다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추진돼 산림 훼손과 부동산 투기 등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산림청에 따르면 2010년 한 해 30㏊에 그쳤던 산림 태양광 허가 면적은 작년 9월 기준 22배인 681㏊로 늘었다. 여의도 면적(2.9㎢)의 2.35배에 달하는 산림이 9개월 새 사라졌다.
- ▲ 태양광 속도전의 민낯… 산 깎아 방치하고, 발전소 주변은 산사태 - (왼쪽 사진)19일 충남의 한 야산에 나무가 베어나간 맨땅이 훤하게 드러나 있다. 이곳은 태양광발전소 건설 공사가 중단된 후 1년 넘게 산림이 훼손된 상태로 방치돼 있다. 자치단체 관계자는“당초 나무만 제거하는 조건으로 공사 허가가 났는데, 이후 산을 깎아낸 게 적발돼 허가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오른쪽 사진)19일 오후 경기도 연천군의 한 태양광발전소. 이곳에선 지난 5월 산사태가 일어났다. /신현종 기자·고운호 기자
제일 큰 문제는 국내 태양광·풍력의 발전 효율이 12%, 20%에 그친다는 점이다. 일조량이나 풍속 등이 발전에 적절치 않은 것이다. 반면 원전의 발전 효율은 85%다. 박희천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는 지금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0/2018062000162.html#csidx66511f343dc6311a6ea4915ac66a4f0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신재생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원전으로 전기료 오르면 태양광 산업도 죽는다 (0) | 2018.06.24 |
---|---|
산을 깎아 만드는 태양광 조선일보 한삼희 수석논설위원 음성으로 읽기기사 스크랩 이메일로 기사공유 기사 인쇄 글꼴 설정 100자평 16 좋아요 62 페 (0) | 2018.06.21 |
제7광구 '검은 진주 꿈' 사라지나 (0) | 2018.06.13 |
SL공사의 태양광사업, 기업-산업-지역사회 '활력소'” (0) | 2018.06.11 |
탈원전의 그늘… 쪽방촌이 한파에 떨고 있다 (0) | 201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