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현대重 인건비 中 3배·싱가포르 6.5배, 이대론 안 된다 조선일보 음성으로 읽기기사 스크랩 이메일로 기사공유 기사 인쇄 글꼴 설정 100자평 25 좋아

화이트보스 2018. 9. 10. 10:38


현대重 인건비 中 3배·싱가포르 6.5배, 이대론 안 된다

조선일보
입력 2018.09.10 03:18

조선업 장기 불황으로 구조조정 중인 현대중공업 사장이 "우리 회사 1인당 월평균 인건비는 520만원인데 중국 조선소는 169만원, 싱가포르 업체에서 고용하는 인도 근로자 등은 80만원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인건비가 중국의 3배, 싱가포르의 6.5배라는 것이다.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노조를 설득하려고 사장이 직접 회사의 영업 비밀까지 공개했다. 그는 "아무런 대책도, 희생도 없이 (구조조정은) '무조건 안 된다'는 식의 태도는 회사를 더 어렵게 할 뿐"이라고 노조에 호소했다.

세계 최대 조선사인 현대중공업은 저임금·저비용의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등에 밀려 작년 7월 군산조선소 문을 닫았다. 원유와 가스 시추·생산 설비 등 해양 플랜트를 제작하는 해양사업본부는 2014년 말부터 46개월째 수주 제로(0) 상태다. 작년 12월 싱가포르 조선업체, 지난 3월에는 중국 조선사에 밀려 연거푸 대형 수주에서 탈락했다. 결국 지난달 말 가동이 중단됐고, 2000여명에 대해 희망퇴직과 무급휴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노조는 "일방적으로 추진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 대우 등 조선 '빅3'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200억원으로 2010년(8조5000억원)의 3%에 불과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수천억원대 적자가 예상된다.

한국 조선업은 산업 생태계 뿌리까지 흔들리고 있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조선업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기피 학과로 전락했다. 입학 경쟁률은 떨어졌고, 입학 후 전공을 바꾸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고 한다. 대학원조차도 흔들리고 있다. 올 2학기에는 석사(4명 모집)와 석·박사 통합과정(6명)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다. 설계·기술개발 등 핵심 역량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조선업은 불황이 본격화되기 전인 2014년 18만명을 고용했지만, 올 상반기에는 12만명 정도로 줄었다. 그런데 노조는 구조조정 막겠다고 파업 협박한다. 이대로 다 같이 죽자는 얘기다.

100자평

25
송원석(sarangeul****)
2018.09.1010:22:08신고
잘못된인식을갖고있고,현시스템에서는귀족노조집행부는아쉬울게하나도없습니다.피라미드식으로밑에하부노조원은나가고들어오고,즉물갈이만되면최상층에있는집행부는아무런영향이없거든요.그런데도하부노조원은집행부를마치하늘의신처럼떠받들면서자기들죽는줄도모르고앞장서서설쳐대는데....속된말로회사없는노조가되고,실업자되면이정권은실여급여팍~팍주니뭐가아쉽고두렵겠습니까.저위에있는분먼저물갈이해야되고,이런악순환이반복되니세상무서운줄모르고지들이잘난것처럼행동하는양대노총다해산시켜야만이이나라가제대로설수있고앞으로나갈수있다고봅니다.
박영중(y****)
모바일에서 작성2018.09.1010:21:18신고
안되면 망하는수밖에요.
김재양(kjy****)
2018.09.1010:18:49신고
회사를 살리기 위해서 구조조정을 감행해야하는 현대중공업이 어디 돈이 넘쳐나서 월급을 많이 주겠소? 정권을 창출해 냈다고 큰소리치는 노조원들이 무서워서 회사가 망해도 주는 것아니겠소? 온갖 짓을 다해도 꿈쩍도 하지 않는 노조 이것들 때문에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하는 것이라오. 땅도 공짜, 회사도 지어 줘, 현지인을 고용하면 월급도 적게 줘, ....무엇하나 나쁜 게 없는데?
김윤하(yu****)
2018.09.1010:05:15신고
사회주의 공산낙원을 가려면 빨리망하고 죽어야한다. 자본주의 적폐세력은 죽고 주사파 옹호세략만 살리면된다 주사파계산으론 인구 반은 하늘로 보내지 싶다.
조기택(sisaf****)
2018.09.1009:58:01신고
요즘 지방 산업단지에 가보면 한국근로자 보다 외국근로자가 더 많은것 같다. 그런데 지자체들도 구직 행사가 연중행사처럼 하고 있다, 이런 현상의 근본 원인은 귀족노조에서 찾아야 하는데, 노조와 종북단체들의 촛불혁명으로 세운 정부가, 국가의 장래를 위한 노동정책을 쓸수가 없다. 결국 기업없는 노조가 될것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9/201809090221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