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공군 장교 유리 가가린이 1961년 인류 처음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시속 2만9000㎞ 속도로 300㎞ 상공 우주를 날았다. 비로소 인간은 그의 탄성을 통해 '푸른 행성' 지구의 면모를 봤다. "지구는 푸르다. 이 얼마나 경이로운가." 지구가 푸른 건 바다 덕이다. 파장이 짧은 파란색 가시광선이 물 분자H₂O에 부딪혀 산란(散亂)하면서 투명한 무색 바닷물이 푸른색으로 물들여진다.
▶하지만 물은 때로 '핏빛'으로 얼룩진다. 물 확보를 놓고 국가 사이 유혈 분쟁이 많았다. 1967년 시리아가 요르단강 상류에 댐을 지으려 하자 물 부족을 우려한 이스라엘이 폭격기를 보내 댐을 폭파했다. 6일 만에 끝난 이 '3차 중동 전쟁'으로 골란고원과 요르단강 서안 지역이 이스라엘 손에 들어갔다. 요르단강 물 확보가 지금껏 진행되는 중동 분쟁의 불씨가 됐다. 2013년 이집트가 나일강 상류에 댐을 지으려던 에티오피아를 향해 "우리가 물 한 방울을 잃는다면 당신네는 피 한 방울을 흘릴 것"이라고 위협했다.
▶세계적으로 200개 넘는 강이 둘에서 다섯 국가를 관통하며 흐른다. 이 공유 하천 유역에는 세계 인구의 30~40%가 산다. 누가 어떻게 물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분쟁은 언제든 벌어질 수 있다. 실제로 미국·멕시코는 리오그란데강·콜로라도강, 중국·태국·베트남은 메콩강, 인도·방글라데시는 갠지스강 이용을 놓고 다툼을 벌이기도 했다. 우리 역시 북한강·임진강 상류에 북한이 지은 임남댐·황강댐 때문에 해마다 홍수기엔 물난리를, 갈수기엔 수량 부족을 걱정하며 산다.
▶주민들이 정부를 상대로 물 싸움을 벌여도 국가 간 분쟁 못지않게 심각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그랬다. 당시 고부군수 조병갑이 정읍천에 만석보를 세워 수세(水稅)를 걷자 분노한 농민들이 고부 관아를 점령하고 보를 헐어버렸다. 동학농민운동의 시발점이었다.
▶요즘엔 4대강 주변 농민들이 화가 나 있다. 경남 합천 창덕면 농민 46명이 정부를 상대로 최근 10억여 원 피해 배상 신청을 냈다. 4대강 사업으로 들어선 창녕 함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