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진도군 비젼 미래농업,수산

유바리(夕張)시의 도시재생이 주는 교훈

화이트보스 2019. 2. 4. 11:05


국외. 일본 유바리(夕張)시

프로파일 


 

유바리(夕張)시의 도시재생이 주는 교훈

 
 

유바리(夕張)시의 도시재생이 주는 교훈  
   도시재생의 풍경은 매우 다양합니다. 제가 이번에 소개할 해외의 사례는 바로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시입니다. 이곳 역시 도시가 발전하고 산업이 변화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도시재생을 시작한 도시입니다. 과거 유바리는 스물네 곳의 탄광을 기반으로 번창하던 탄광 도시였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석탄 산업이 쇠퇴하자 관광 산업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유바리는 새로운 도시재생을 위해 ‘탄광에서 관광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약 10년 동안 호텔, 놀이공원, 스키장 등에 무려 176억 엔을 쏟아 붓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경제의 거품이 꺼지면서 2007년 7월 최초로 파산한 지자체가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유바리시는 우리 돈으로 4천 800억 원이 넘는 빚을 지게 되었습니다. 버스, 관광 시설뿐 아니라 철 기둥 등 돈이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경매에 내놓았지만 결국 12만 명에 달하던 인구가 만 명도 채 되지 않는, 인구가 가장 적은 도시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방자치의 실패와 도시몰락을 다룬 KBS 1TV
'도시파산, 유바리의 잔혹한 봄'(200747)>


유바리시 파산의 원인
  이 결과에 대해서 사람들은 다양한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단순히 무분별한 거액 투자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 내의 사정까지 자세히 살펴보면 과거에 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했던 탄광 산업이 지역 외부에 의존해야 하는 관광 산업으로 옮겨가면서 유바리의 자생력이 떨어진 것이 사실입니다. 여기에다 일본 전체의 경기 침체가 더해져서 파산하게 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유바리와 오타루, 두 관광 도시의 차이
  그러나 여기에서 저는 한 가지 의문이 생겼습니다. 유바리시와 같이  관광 산업을 콘텐츠로 삼아 도시를 재생하고자 노력하는 곳들은 아주 많이 있어왔고 앞으로도 더 생겨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국내의 여러 사례만 봐도 관광으로 인해 도시가 새롭게 되살아난 곳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유바리시는 실패하게 되었을까요? 관광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도시재생은 어떤 점을 놓쳐서는 안 되는 걸까요?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홋카이도의 이웃 도시인 오타루시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타루는 “오겡키데스까(おげんきですか, 잘 지내시나요?)”라는 명대사로 유명한 영화 <러브레터(Love Letter)>의 촬영지로 한국은 물론이고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유명합니다. 오타루와 유바리 두 도시 모두 관광을 통한 도시재생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오타루시는 관광 도시로서 꾸준히 사랑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오타루시는 단순히 새로운 관광 시설을 짓고 돈을 투자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지역의 고유한 개성을 살린 관광 콘텐츠를 만들었습니다. 오타루만의 색깔을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살린 도시재생을 위해 메이지시대에 들어선 물류창고 등의 근대 건축물들을 고스란히 재활용했습니다.


대구시의 도시재생
   저는 여기서 우리 대구의 도새재생을 생각합니다. 대구도 오늘날 빼놓을 수 없는 관광 도시입니다. 또한 중구의 ‘근대 골목’ 투어의 경우에서처럼 대구시가 품고 있는 역사와 문화를 없애지 않고 보전하여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해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추진될 도시재생 또한 지금껏 해온 것처럼 대구가 지닌 ‘컬러’를 간직하고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일본 유바리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더 멋진, 더 많은 시민이 웃을 수 있는 대구의 미래를 함께 그려갔으면 합니다.



<참고자료>
1. 중앙일보(2011), 지역발전, 이젠 질로 승부 걸어야, 한승희 지여발전위원회 기획단장
2. 위키피디아 (Wikipedia)
3. 전라일보(2015), 지방재정 위기 방관 할 일 아니다
4. 서울신문(2010), 日 지방재정 건전화계획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