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위기다. 저출산ㆍ고령화ㆍ저성장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나라 전체 인구는 아직 증가세지만 지방에선 자연 사망이 출생을 압도한다. 여기에 젊은이가 돈과 꿈을 찾아 도시로 빠져나가고 있다. 인접 4개 시군을 묶어도 서울 한 개 구 인구의 절반도 안 될 정도로 지방은 텅 비었다. 이대로 가면 지방 소멸은 불 보듯 뻔하다. 2040년에 지자체의 30%가 제 기능을 상실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공동체 유지가 어려운 한계 마을은 점(點)에서 선(線)으로, 면(面)으로 퍼지고 있다. 반면 국토 면적의 12%인 수도권은 거의 모든 게 조밀하다. 사람, 돈, 의료, 문화시설이 쏠려 있다. 지방 쇠퇴, 수도권 중심의 극점(極點) 사회는 눈앞의 현실이다.
하지만 정부의 위기의식은 엷다. 정책이 지방 재생의 대계보다 토건 국가형 대형 SOC 투자, 도시 재생에 무게가 가 있다. 그나마 일부 사업엔 정치 논리도 꿈틀거린다. 지방 소멸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가. 정부나 지자체 정책에 문제점은 없는 것일까. 지방 회생의 처방전은 있는 것일까. ‘지방 붕괴…재생의 길을 찾아서’ 시리즈를 통해 지방의 현주소와 대안을 짚어본다.
하지만 정부의 위기의식은 엷다. 정책이 지방 재생의 대계보다 토건 국가형 대형 SOC 투자, 도시 재생에 무게가 가 있다. 그나마 일부 사업엔 정치 논리도 꿈틀거린다. 지방 소멸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가. 정부나 지자체 정책에 문제점은 없는 것일까. 지방 회생의 처방전은 있는 것일까. ‘지방 붕괴…재생의 길을 찾아서’ 시리즈를 통해 지방의 현주소와 대안을 짚어본다.
‘지방경제 버팀목’ 축제 두 얼굴
화천 산천어, 함평 나비 성공 자극
뚜렷한 회생 대안 없는 지자체들
차별화 안 된 축제 너도나도 양산
일부 “지역 홍보, 귀촌 유치 등 효과”
산천어 축제는 전국에서 몇 안 되는 흑자 축제다. 관광객을 끌어들여 인구 2만6000여명의 지역 재생을 꾀하는 성공 모델이다. 화천군은 당일치기 관광을 체류형으로 바꾸는 작업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최문순 화천군수는 “체류 관광객을 유치해 지역 경제를 끌어올리는 데 축제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전남 함평군의 나비 축제도 효자 축제다. 이 축제도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1999년 축제 시작 당시 나비는 함평산이 아니었다. 제주도에서 애벌레를 가져와 번식시켰다. 그 이래 20년 동안 1443여만명이 함평군을 다녀갔다. 군 인구(3만3000여명)의 437배 규모다. 이 기간 함평군은 입장료 수입과 농특산물 판매로 297억5000만원을 벌어들였다. 사업비의 두 배다.
지난해 농ㆍ특산품 판매는 10억원을 돌파했다. 나비 축제 덕분에 함평 나비쌀과 천지한우는 전국적 명성을 얻었다. 청정 지역에 사는 나비 이미지가 한몫했다. 함평군 관계자는 “나비 축제의 지역 경제 유발 효과는 500억 원대에 이른다”고 말했다. 함평 하면 고구마를 떠올렸던 낙후 농촌 꼬리표도 떨어져 나가고 있다. 두 축제는 기로에 선 지방의 생존 실험의 상징이다. 다른 지방 도시엔 선망의 대상이다.
전국이 축제다. 현재 이틀 이상의 문화관광축제는 연간 800개를 넘는다. 여기에 크고 작은 행사ㆍ축제까지 합치면 1만5000여건이다(2014년 행정안전부 집계). 사시사철 축제라는 얘기다. 충남 보령시는 축제가 한 달에 한 번꼴이다. 보령 머드 축제를 비롯해 김 축제, 대천겨울바다사랑 축제 등 13개나 된다. 충북 제천시도 비슷하다. 한방바이오박람회, 한수양파축제, 의병제 등 12개의 축제ㆍ행사가 시 홈페이지에 올라 있다. 전북 고창군은 6개의 축제와 3개의 행사를 치른다.
특산물은 전국을 수놓는 단골 축제 메뉴다. 겨울철 빙어나 송어 축제는 강원도 인제ㆍ평창, 경기도 파주ㆍ강화도ㆍ양평ㆍ안성 등이 열고 있다. 올해는 경북 의성도 처음으로 빙어 축제를 시작했다. 자연경관 축제도 한둘이 아니다. 태백시의 태백산 눈축제, 홍천군의 홍천강 꽁꽁축제… 봄이 되면 전국 곳곳에서 산수유, 벚꽃, 매화 축제가 줄을 잇는다. 단군 이래 축제가 가장 많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일선 지자체가 너도나도 축제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간단하다. 지방 소멸, 쇠퇴의 방파제로 보기 때문이다. 지방 관광에 큰 힘을 쏟는 일본과 유사하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방의 인구 절벽과 고령화, 일자리 부족의 악순환에 숨통을 틔워주는 것은 외부 관광객 유치와 인구 유입밖에 없다”고 말한다.
축제나 관광, 특산물 마케팅은 치열하다. 서울의 주요 역은 지방의 마케팅 전쟁터다. ‘사천 바다 케이블카’ ‘나의 이야기로 만나는 순천시’ ‘봉화 한약우’ ‘여수의 사색에 빠지다’ ‘희망이 떠오르는 울주 간절곶’ ‘칠갑마루 청양 농특산물’ ‘내륙의 바다 충북 호수여행’ ‘이천년 시간여행 나주’… 최근 서울시 주요 역의 스크린 도어를 장식한 광고판 문구다. 대구 등 지방 거점 도시의 전광판도 인근 지방 홍보로 번쩍거린다.
하지만 농산어촌엔 재생의 대안이 없다. 지자체에 축제는 지역 경제의 산소호흡기이자 매력 발신과 이미지 제고의 광고탑이다. 일선 지자체들은 “축제ㆍ행사를 수익 차원에서만 접근해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들 했다. 직간접적 파급 효과가 크다는 얘기다. 전남도 관계자는 “축제는 적자를 내더라도 관광객과 귀농ㆍ귀촌 유치, 지역 홍보 효과가 있다면 소기의 목표를 이룬 것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제는 한둘이 아니다. 첫째는 차별화다. 겨울, 봄 축제는 특산물과 자연환경 일색이다. 낚시나 맨손 고기 잡기 등 소프트웨어도 거기서 거기다. 둘째는 체류형 관광으로의 거듭나기다. 그래야 지역에 돈이 떨어지고 일자리가 생겨 사람이 꼬인다. 함평군은 1회 축제를 연 1999년 인구가 4만8300여명이었지만 그새 30%(1만4900명)나 줄었다. 축제만으론 인구 절벽, 지방 소멸의 대세를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얘기다. 외국인 관광 유치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일본에서 하는 지역 간 관광 연계와 외국인 친화적 관광 인프라 구축은 큰 과제다.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축제는 참가자 자기 부담 비율이 월등히 높은 일본 등과 달리 95% 이상이 공공 재원에 의존한다”며 “지자체가 과잉 경쟁을 하면서 스펙터클 형 축제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 ‘남의 축제’ 아닌 ‘내 축제’가 돼야 건전한 공동체 형성에 기여한다”고 말했다. 공동체 의식이 강하면 지역주민의 도시 유출도 줄어든다. 울며 겨자먹기식 축제는 지방의 고민을 웅변하고 있다.
대구ㆍ광주ㆍ춘천= 오영환 지역 전문기자, 최경호ㆍ박진호 기자 hwasa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