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2년의 늪] [8] 기강 무너진 원자력안전委

하지만 사고 사실은 원안위원장과 위원들에게 즉시 보고되지 않았다. 당시 엄 위원장은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3시 35분까지 원안위 전체회의를 주재했지만, 한빛 원전 사고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사고 발생 사실도 몰랐던 것이다. 원안위는 사고 발생 7시간 24분이 지난 오후 5시 55분에서야 위원들에게 사고 상황을 문자메시지로 보고했다.
하지만 위원장과 위원들은 사고 상황을 보고받은 뒤 바로 사고 대책을 논의하지도, 지침을 내리지도 않았다. 더구나 엄 위원장은 사고 상황을 인지한 뒤에도 서울 종로의 유명 보신탕집에서 만찬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엄 위원장의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에 따르면, 엄 위원장은 오후 7시 58분 개고기집에서 16만9000원을 썼다. 업무추진비 사용 목적은 '원안위 회의 쟁점 사항 논의'라고 썼다. 원안위는 엄 위원장이 누구와 만찬 했는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야당에서는 "원전 전문가가 아닌 위원장과 원안위원들이 보고를 받고도 사고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며 "그러면서 야당 추천 몫의 위원은 모두 임명을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원안위는 상임위원 2명(위원장, 사무처장)과 비상임위원 7명(위원장 제청 3명, 국회 추천 여당 2명·야당 2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위원은 청와대가 임명한다. 현재 원안위원은 상임위원 1명(엄재식 위원장), 비상임위원 4명 등 5명뿐이다. 이 중엔 원자력 전공자가 한 명도 없다. 위원장은 사회복지학 전공이고, 위원은 화학과 교수, 탈핵 운동을 했던 민변 회장, 예방의학 전공 의대 교수, 지질학 교수 등이다.
앞서 엄 위원장은 지난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빛 원전 정지 결정이 늦어진 것에 대해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그는 "왜 (수동 정지 결정을) 미적거렸느냐"는 여당 의원의 질문에 "반성하고 있다. 관리 및 감독의 책임에 대해 통감한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김호철 원안위원이 지난 4월 30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최한 토론회에 발표자로 참석해 50만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원안위 설치법은 '최근 3년 이내 원자력 이용자 또는 원자력 이용자 단체로부터 연구개발 과제를 수탁하거나 사업에 관여한 사람은 결격'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감사원은 "원자력연구원도 '원자력 이용자'에 해당한다"고 했다. 김 위원이 원안위원 결격 사유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것이다. 김 위원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회장을 맡고 있다. 앞서 현 정부가 임명한 강정민 전 위원장은 원자력연구원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