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이 다른 매화를 만나러 간다. 절정의 화사함을 뽐내고 서서히 내년 봄을 기약하고 있는 섬진강변의 매화가 아니다. 지금 만개한 매화다. 아주 오래 된 고매, 격이 다른 고품격의 명품 매화다. 흔히 화엄사 매화, 선암사의 선암매, 백양사의 고불매, 강릉 오죽헌의 율곡매를 대한민국 4매라 한다.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그 가운데 한 곳이다. 지리산 화엄사다. 화엄사에 가면 지금 꽃을 활짝 피워 절정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는 매화를 만날 수 있다. 지금, 그곳이 아니면 만날 수 없는 매화다. 화엄사 매화는 각황전 옆에서 만난다. 가지마다 연지곤지 찍은 것처럼, 붉은 꽃망울을 매달고 있다. 붉은 꽃망울이 절집의 위엄을 한순간에 흩트려 놓는다. 절집의 분위기까지 화사하게 밝혀준다. 단청을 하지 않은 각황전과 어우러져 고혹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평소 화엄사를 대표하는 건축물인 각황전이지만, 홍매에 밀려 조연으로 밀려난 형국이다. 주연 자리는 홍매화가 꿰차고 있다. 화엄사 홍매화는 300여 년 전부터 있었다. 각황전 중건을 기념하려고 계파선사가 심었다고 전해진다. 각황전을 중건한 게 1702년이니, 올해 316살 된 셈이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장육전을 숙종 때 중건하고, 이름도 각황전으로 바꿨다. 각황전은 당초 석가여래입상을 모신 장륙전이었다. 각황전 옆 홍매화를 ‘장륙화’라고도 부른다. 다른 홍매와 달리 꽃송이가 붉다 못해 검은 빛을 띤다고 ‘흑매’라고도 불린다. 이 매화의 진분홍 자태에 반한 사람들이 지금 많이 찾고 있다. 사진 좀 찍는다는 전국의 진사님들은 삼각대에다 망원렌즈까지 갖추고 발걸음을 하고 있다. 홍매화는 요염하게 생겼다. 홍매를 보고 있노라면, 꽃의 매력에 빨려 들어가는 느낌을 받는다. 한눈에 홀리게 한다. 청초하면서도 매혹적이고 고혹적인 느낌을 선사한다. 진사님들은 빛의 각도에 따라 여러 가지 색깔의 꽃으로 담아낸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이렇게 아름다운 매화가 있었냐’며 감탄사를 토해낸다. 절집을 대표하는 문화재인 각황전, 석등, 사사자삼층석탑과 어우러져 특유의 개성까지 뽐내는 매화다. 그렇다고 이 홍매화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건 아니다. 꽃의 아름다움과 나무의 자태를 보면 천연기념물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지만, 아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화엄사 매화는 따로 있다.
화엄사에 딸린 암자, 길상암에 있다. 화엄사에서 걸어서 10분 남짓 걸리는 거리다. 구층암과 인접해 있다. 이 암자의 네모난 작은 연못가에 있다. 이 매화를 ‘들매화(野梅)’라 한다. 사람이나 동물이 먹고 버린 씨앗이 자연스럽게 싹을 틔워서 자란 나무란다. 꽃은 흔한 백매다. 매실 생산을 목적으로 한 개량종 매화보다 꽃이 작고 듬성듬성 핀다. 단아한 기품과 짙은 향기는 개량종 매화에 견줄 바가 아니다. 토종 매화 연구의 학술적 가치도 크다고 문화재청이 주목하고 있다. 수령 450년 정도로 추정된다. 천연기념물 제485호로 지정돼 있다. 수백 년 동안 한결 같은 빛깔과 생김새로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해 온 나무다. 누구라도 경외심이 절로 든다. 하지만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화엄사에 가서 홍매화만 보고 발길을 돌리기 일쑤다. 홍매가 천연기념물인 줄 알고 간다. 각황전 옆의 홍매를 본 여행객 대부분은 길상암에 들르지 않는다. 길상암에는 그만큼 찾는 사람이 없다. 암자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다. 덕분에 천연기념물 화엄사 매화를 차분히, 조용한 분위기에서 맘껏 감상할 수 있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 길상암과 인접한 구층암도 아주 소박하면서도 멋진 암자다. 화엄사 뒤쪽으로 아늑한 대숲을 따라가서 만난다. 대숲에 일렁이는 바람소리까지도 귀전에 속삭이는 암자다.
구층암은 요사채의 기둥까지도 울퉁불퉁한 모과나무 기둥을 그대로 가져다 받쳐 놓을 정도로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지어졌다. 복원하지 않고 듬성듬성 쌓아놓은 3층 석탑도 자연스럽다. 스님이 내어주는 차 한잔도 감미롭다. [출처] 절집 분위기를 요염하게...화엄사 홍매|작성자 이슬떨이 |
'풍수기행 > 남도에 맛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유산 ‘숲속 요리교실’ 지난주 열려 (0) | 2020.06.07 |
---|---|
산에서 나는 ‘산 음식’… 몸과 마음이 맑아져요 (0) | 2020.06.07 |
3000㎞ 여정서 얻은 힘 오전부터 폭염주의보라니. 녀석을 떠올린다. 기차를 집어탄다. 전남 광양까지 달려간 까닭은 맨손으로 자연산 민물장어를 잡는 (0) | 2017.06.22 |
조계산 보리밥집 (0) | 2014.08.13 |
봄 내음, 사람 향기 솔솔 풍기는 옛날 식당들 (0) | 201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