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식물공장

정부, 토종 스마트 팜 동남아·중동 수출 지원

화이트보스 2019. 12. 23. 17:44



정부, 토종 스마트 팜 동남아·중동 수출 지원

                

입력 2019.12.23 13:31 | 수정 2019.12.23 13:32

교두보 마련 위해 해외에 시범온실 조성

정부는 차세대 농업의 핵심으로 부상한 스마트팜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에 시범(데모) 온실을 조성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실험실처럼 만들어진 스마트 농장. LED 조명과 수경재배 방식으로 365일 채소를 생산할 수 있다. /조선DB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3일 "스마트팜은 온실 설비·기자재·데이터·인력 등이 포함된 복합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출 시 높은 부가가치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 확대 방안’을 밝혔다.

기존 농업에 인공지능·정보통신·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시장 선점 경쟁도 심해지고 있다. 세계 스마트 팜 시장은 2018년 75억3000만달러(약 8조7500억원)에서 2020년 125억달러(14조50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구체적으로 한국형 스마트팜 수출을 체계적·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유망 국가 2개국에 시범 온실을 조성해 수출 거점으로 삼는다. 또 업체를 대상으로 인력 파견, 현지 교육, 시장조사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특성상 현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시설 유지·보수 등을 위한 사후 관리 거점이 필요했지만, 기업 차원에서는 조성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데모 온실이 만들어지면 스마트팜 수출 업체에 도움이 크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데모 온실 구축을 위해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림식품교육문화정보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관련 기관 간 협업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 스마트팜 전문 인력을 양성해 국산 스마트팜 시설의 사후관리 등을 맡기고, 해외에도 파견할 방침이다. 수출국의 현지 인력을 국내로 초청해 관련 교육과 기술 이전도 추진한다.

이밖에 업계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최우대금리를 지원하고, 해외투자자금 대출을 확대하는 등 무역금융 제도를 확충한다. 스마트 팜 수출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서 수출 시장 조사·무역 사절단·수출 상담회·박람회 등을 개최하고, 스마트팜 수출 전략 회의와 수출지원센터도 설치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중동 등 핵 심 전략 국가 특성에 따라 수출 전략을 마련하고, 아프리카 등 신규 진출 가능국 조사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는 테스트베드 설치와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통해 진출하고, UAE·카타르 등 중동 국가와는 스마트팜 관련 공동 연구 등 농업 협력을 추진해 수출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