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0.05.04 03:20
PK 지역 보수야당 총선 성적… 의석 늘었지만 지지는 줄어
대선 땐 더욱 아프게 작용할 듯
지역주의 늪 못 벗어나면 정치적 미래 없어
호남에도 있을 보수 유권자… 진정성 있게 그들에게 다가가야
선거 이후 보름이 지났지만 미래통합당은 참패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당의 진로를 두고 분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그보다 먼저 보수가 왜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렀는지 뼈아픈 자기반성이 필요해 보인다. 이번 선거 결과 미래통합당은 '영남 지역당'으로 쪼그라들었다. 미래통합당이 지역구에서 얻은 84석 가운데 3분의 2에 해당하는 56석을 경북·대구 지역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얻었다. 영남당이라는 명칭이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하지만 이처럼 보수 정치의 든든한 지지 기반이 되어 온 '영남'도 다시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부산, 울산, 경남 등 이른바 PK 지역에서 보수가 차지한 의석은 4년 전보다 조금 늘어났다.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은 이 지역에서 33석을 차지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부산 3석, 울산 1석, 경남 3석을 얻는 데 그쳤다. 4년 전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이 지역에서 27석을 얻었고, 더불어민주당은 부산 5석, 경남 3석을 차지했는데 울산에서는 의석을 얻지 못했다. 고전했던 이번 선거에서 미래통합당이 버티는 데 PK 지역이 중요하게 이바지한 셈이다.
하지만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PK 지역 민심의 의미심장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구 선거 득표율을 기준으로 보면 4년 전과 비교할 때 더불어민주당은 부산에서는 37.7%에서 43.5%로, 경남에서는 29.8%에서 37.1%로, 그리고 울산에서는 16.2%에서 무려 38.6%로 높아졌다. 민주당이 잠식한 만큼 이 지역에서 보수 세력에 대한 지지는 줄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PK 세 지역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민주당이 모두 승리했고 줄곧 보수 세력이 독점해 왔던 기초단체장도 민주당이 다수 차지했다. 한 표라도 더 얻으면 당선되는 단순 다수제 선거 제도 탓에 PK 지역의 지지를 '싹쓸이'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미래통합당에 대한 지지는 하락해 왔다. 전국이 한 선거구가 되는 대통령 선거라면 이런 변화가 미래통합당에는 더욱 아프게 작용할 것이다.
그동안 보수 정당이 각종 선거에서 유리함을 지닐 수 있었던 건 1990년 1월의 3당 합당 때문이다. 3당 합당은 호남을 제외한 TK, PK, 그리고 충청의 지역 연합이었다. 그 뒤 김종필이 민자당을 탈당하면서 충청 지역이 이탈했지만, TK와 PK라는 영남 지역 연합만으로도 보수는 여전히 선거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호남의 인구와 대구·경북 지역 인구가 거의 비슷한 데 비해, 이 지역보다 인구가 훨씬 많은 PK 지역에서 보수에 대한 높은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그 영남 연합이 약화되고 있다. 지역주의 연합이 와해하고 있다면 미래통합당도 거기에 맞게 변화해 가야 한다.
PK 지역에서 이런 변화가 생겨난 건 지역주의 타파를 내걸고 달려든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빼놓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대구의 김부겸이나 부산의 김영춘 등은 이번 선거에서 낙선하기는 했지만 이들 덕분에 지역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민주당의 정치적 명분은 더욱 커졌다. 이제 지역주의의 늪에 홀로 빠져 있는 건 미래통합당이다. 거기에 머물러서는 정치적 미래가 없다. 이제 보수 세력도 호남을 향해 달려가야 한다. 미래통합당은 이번 선거에서 호남 지역 28선거구 가운데 16곳에는 아예 후보를 내지 못했다. 한 나라를 다스리겠다는 정당이 특정 지역에서는 아예 후보도 내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 보수가 호남 유권자에게 다가선다는 건 PK 지역에서 잃어버린 표를 회복한다는 것 이상의 큰 의미가 있다. 호남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미래통합당이 무엇보다 광주의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것은 바로 보수 정치에 드리워져 있는 권위주의 시대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는 길이고 탄핵으로 폐기된 구태의 보수를 넘어서는 길이다.
호남의 고령 유권자들 역시 박정희 시대에 대한 그리움이 있을 것이고, 호남의 상공인들 역시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으로 고충을 겪을 것이다. 그동안 보수를 자칭했던 정치 세력이 호남의 보수 유권자들을 배척했던 것이다. 바닥까지 떨어진 보수 정당이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세대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도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 호남을 그동안 소홀히 했음을 사과하고 이들에게 다가설 진정성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런 근본적 자기 개혁 없이는 쪼그라진 야당에서 수권 정당으로, 영남당에서 전국 정당으로, 그리고 낡은 보수에서 새로운 보수로 거듭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PK 지역 민심의 의미심장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구 선거 득표율을 기준으로 보면 4년 전과 비교할 때 더불어민주당은 부산에서는 37.7%에서 43.5%로, 경남에서는 29.8%에서 37.1%로, 그리고 울산에서는 16.2%에서 무려 38.6%로 높아졌다. 민주당이 잠식한 만큼 이 지역에서 보수 세력에 대한 지지는 줄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PK 세 지역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민주당이 모두 승리했고 줄곧 보수 세력이 독점해 왔던 기초단체장도 민주당이 다수 차지했다. 한 표라도 더 얻으면 당선되는 단순 다수제 선거 제도 탓에 PK 지역의 지지를 '싹쓸이'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미래통합당에 대한 지지는 하락해 왔다. 전국이 한 선거구가 되는 대통령 선거라면 이런 변화가 미래통합당에는 더욱 아프게 작용할 것이다.
그동안 보수 정당이 각종 선거에서 유리함을 지닐 수 있었던 건 1990년 1월의 3당 합당 때문이다. 3당 합당은 호남을 제외한 TK, PK, 그리고 충청의 지역 연합이었다. 그 뒤 김종필이 민자당을 탈당하면서 충청 지역이 이탈했지만, TK와 PK라는 영남 지역 연합만으로도 보수는 여전히 선거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호남의 인구와 대구·경북 지역 인구가 거의 비슷한 데 비해, 이 지역보다 인구가 훨씬 많은 PK 지역에서 보수에 대한 높은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그 영남 연합이 약화되고 있다. 지역주의 연합이 와해하고 있다면 미래통합당도 거기에 맞게 변화해 가야 한다.
PK 지역에서 이런 변화가 생겨난 건 지역주의 타파를 내걸고 달려든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빼놓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대구의 김부겸이나 부산의 김영춘 등은 이번 선거에서 낙선하기는 했지만 이들 덕분에 지역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민주당의 정치적 명분은 더욱 커졌다. 이제 지역주의의 늪에 홀로 빠져 있는 건 미래통합당이다. 거기에 머물러서는 정치적 미래가 없다. 이제 보수 세력도 호남을 향해 달려가야 한다. 미래통합당은 이번 선거에서 호남 지역 28선거구 가운데 16곳에는 아예 후보를 내지 못했다. 한 나라를 다스리겠다는 정당이 특정 지역에서는 아예 후보도 내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 보수가 호남 유권자에게 다가선다는 건 PK 지역에서 잃어버린 표를 회복한다는 것 이상의 큰 의미가 있다. 호남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미래통합당이 무엇보다 광주의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것은 바로 보수 정치에 드리워져 있는 권위주의 시대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는 길이고 탄핵으로 폐기된 구태의 보수를 넘어서는 길이다.
호남의 고령 유권자들 역시 박정희 시대에 대한 그리움이 있을 것이고, 호남의 상공인들 역시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으로 고충을 겪을 것이다. 그동안 보수를 자칭했던 정치 세력이 호남의 보수 유권자들을 배척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