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대통령 7

<46>이승만 대통령과 한미연합군 지휘관들

&lt;46&gt;이승만 대통령과 한미연합군 지휘관들 한미군 지휘관을 지도한 전쟁지도자 ▲이승만의 역량과 능력 6·25전쟁 때 이승만 대통령은 국군총사령관으로서 전쟁을 지도하고 총괄했다. 여기에 국군은 물론이고 한국을 지원하러 온 미군 장성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전쟁 동안 그가 상대했던 사단장 ..

<57>이승만 대통령과 주한미국대사

&lt;57&gt;이승만 대통령과 주한미국대사 외교전선 최선봉에서 고군분투 ▲이승만 대통령의 대미외교 기조 6·25전쟁 때 이승만 대통령이 추구한 외교 중심축은 미국이었다. 그는 단순한 대미(對美) 일변도가 아니라 미국을 외교의 전부로 생각했다. 미국에서 30여 년간 망명생활을 하며 고학으로 최고 ..

<68>이승만 대통령과 밴플리트 장군

&lt;68&gt;이승만 대통령과 밴플리트 장군 밴플리트, 李대통령 친아버지처럼 따라 이승만 대통령은 주한미군 장성들에게 경외(敬畏)의 대상이었다. 그런 미군 장성들을 이대통령은 자식처럼 사랑하며 각별히 대했다. 렘니처(미8군사령관)·테일러(미8군사령관)·화이트(유엔군사령관)·밴플리트(미8군..

<75>이승만 대통령의 국군 작전지휘권 이양의 참뜻

&lt;75&gt;이승만 대통령의 국군 작전지휘권 이양의 참뜻 주권 포기가 아닌 지키기 위한 심모원려&lt;深謀遠慮&gt; 6·25전쟁 초기 이승만 대통령은 왜 국군의 작전지휘권을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했을까? 이대통령이 이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않은 상태에서 이의 정확한 이유를 알 수는 없다. 그러나 당시..

<78>휴전회담과 이승만 대통령의 현명한 대처

&lt;78&gt;휴전회담과 이승만 대통령의 현명한 대처 한미상호방위조약·경제원조 받아내 6·25 때 중공군 개입은 전쟁을 전혀 새로운 국면으로 치닫게 했다. 한만(韓滿) 국경을 눈앞에 두고 있던 국군과 유엔군에게 이는 청천벽력이었다. 미국은 중공 참전이라는 새로운 상황을 맞아 확전·철군·휴전방..

<87>이승만 대통령의 38도선 폐지론과 북진통일

&lt;87&gt;이승만 대통령의 38도선 폐지론과 북진통일 북의 불법 남침을 통일 기회로 판단 6·25전쟁 시 이승만 대통령의 지고지선(至高至善)한 염원은 북진통일이었다. 그는 북한의 불법 남침을 남북통일의 절호의 기회로 여기고, 광복 후 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38도선은 북한이 침..

대마도는 우리 땅 역사적 근거 많다

대마도는 우리 땅 역사적 근거 많다 조선초 태종 등 영유권 강력 주장 이승만 대통령도 "반환하라" 요구 "대마도(對馬島)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조공을 바친 우리 땅이었다. 임진왜란을 일으킨 일본이 그 땅을 무력 강점했지만 결사 항전한 (대마도) 의병들이 이를 격퇴했고 의병 전적비(戰蹟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