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功七過三’과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 ‘功七過三’과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안세영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입력 2017-08-22 03:00수정 2017-08-22 09:11뉴스듣기프린트글씨작게글씨크게트랜드뉴스 보기7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더보기중국의 6·25 참전 후유증… 마오쩌둥의 과오 초래한반도 평화는 中 안전 직결… 과거 역사에.. 민족사의 재발견/민족사의 재발견 2017.08.22
“방치된 시신… 노상엔 피… 내 민족을 눈물없이 볼 수 없구나” “방치된 시신… 노상엔 피… 내 민족을 눈물없이 볼 수 없구나” 동아일보 Tweet 기사보내기 기사보내기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네이버 구글 폰트 뉴스듣기 drawData('DA_ARTICLE_BODY'); ? --> 입력 2014-06-25 03:00:00 수정 2014-06-25 10:55:25 6·25전쟁 64주년… 참전용사가 2년간 쓴 일기장 6권 발굴 195.. 아픈역사에서 배운다/6,25전쟁 자료 2015.03.27
'흥남 철수' 주역은 실존인물 현봉학 '흥남 철수' 주역은 실존인물 현봉학 이한수 기자 이메일 hslee@chosun.com 기사 100자평(20) 글꼴선택 굴림 맑은고딕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 스크랩 이메일로 기사공유 기사 인쇄 페이스북에 내보내기 트위터에 내보내기 구글플러스에 내보내기 조선닷컴 블로그로 내보내기 URL줄이기 미투.. 아픈역사에서 배운다/6,25전쟁 자료 2014.12.24
6.25 전쟁 61주년을 맞아 다시 읽어보는 "조국을 구한 백두함" 대한민국 해군의 최초의 해전은 대한해협 해전입니다. 6.25전쟁 초기 북한군 특수부대는 옥계,삼척에 부대를 상륙시키고 마지막 남은 배 한 척에 600명의 특전대를 실고서 부산으로 항해 도중 백두함에 적발되어 26일 아침 격침이되고 600명의 북한군은 부산 앞바다에 수장되었습니다. 만약.. 아픈역사에서 배운다/다시보는 6.25 2011.06.25
한국전쟁과 미국 한국전쟁과 미국 포스트 상세 정보 2005-09-12 14:06:55 조회 (16) | 추천 (0) >-전후세대 여러분! 필독 바랍니다!!![수정문1] >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원인은 무엇이며 >미군이 왜 한국에 주둔하게 되었는지 의 진실을 기록한다!!! >경제보다 안보가 우선이다, 이념과 안보의 중요성을 망각하지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6,25전쟁 자료 2010.01.05
한국전쟁 및 베트남전쟁의 재인식과 국가안보 한국전쟁 및 베트남전쟁의 재인식과 국가안보 1. 문제의 제기 한국전쟁은 아직 안 끝났다. 휴전이란 전쟁당사자의 합의에 따라 전투를 잠정적으로 정지함을 뜻한다. 이는 교전국의 전 전선에 걸쳐 전투행위를 중지하는 전반적 정전과 특정 지역에 한하여 정지하는 부분적 정전이 있는데, 전자는 통상 .. 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2009.12.28
'철망 자르고 남침하는 인민군…' 비공개 사진 단독 입수 '철망 자르고 남침하는 인민군…' 비공개 사진 단독 입수 입력 : 2009.09.14 16:43 ▲ 우리 민족최대의 비극이었던 6.25. 내년으로 전쟁발발 60년을 맞게 되는 6.25를 재조명하기 위해 국내의 한 수집가가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는 당시 사진들을 공개했다. 계명대학교 정성길 명예박물관장(67)이 일본에서 직.. 아픈역사에서 배운다/6,25전쟁 자료 2009.09.14
[주간조선 특종] 캐나다 참전용사가 본 1951년 한국조성관 편집위원 maple@ [주간조선 특종] 캐나다 참전용사가 본 1951년 한국 조성관 편집위원 maple@chosun.com 기사 100자평(59) 입력 : 2009.05.26 15:54 / 수정 : 2009.05.31 00:08 My Korea, 1951 참혹한 폐허·가난…그러나 그들은 강인했다 <이 기사는 주간조선 2057호에 게재되었습니다.> 516. 한국전쟁 동안 목숨을 잃은 캐나다 군인의 수이.. 아픈역사에서 배운다/6,25전쟁 자료 2009.05.31
<52>6·25전쟁과 총력전 <52>6·25전쟁과 총력전 동서고금 전쟁양상 망라한 ‘국제전쟁’ ▲전쟁책임과 명칭 6·25전쟁은 내전(內戰)이 아니라 세계 열강 25개국이 참전한 세계 전쟁이다. 6·25는 북한군의 기습남침으로 시작돼 ‘국제전쟁’으로 종결됐다. 북한군의 1950년 6월 25일 전면 남침은 김일성·스탈린·모택동의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다시보는 6.25 2009.01.29
<58>미국 트루먼 대통령과 6·25전쟁 <58>미국 트루먼 대통령과 6·25전쟁 역사의 교훈 따라 美 참전 신속 결정 ▲트루먼의 역사관과 책임관 6·25전쟁 때 미국 참전의 최종 결정권자는 트루먼 대통령이었다. 맥아더도 이것을 분명히 시인했다. 그는 태극무공훈장을 전달받은 자리에서 미국이 6·25전쟁에 참전하는 데 가장 큰 공로자로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다시보는 6.25 200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