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원 규모 원전시장 잡아라”
[서울신문] "10조원 원전 시장을 잡아라."
정부가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소 10기를 추가로 건설키로 함에 따라 건설업계가 반색을 하며 수주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업체마다 태스크 포스(TF)를 구성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내에서 발주가 예상되는 원전공사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따라 발주되는 10기와 이미 예정돼 있던 신울진원전 1,2호기(내년 발주 예정)를 포함해 모두 12기나 된다.
이들 원전의 용량은 모두 140만㎾ 규모로 기자재를 제외한 시공비만 따져도 1기당 8000억∼9000억원이나 된다.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앞으로 20여년간 10조원 안팎의 시장이 형성되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최소한 2년에 1건씩은 발주를 해야만 2030년까지 전체 발전설비의 41%까지 원전비중을 높인다는 정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방한을 계기로 중국이 추진 중인 40여기의 중국 원전 건설사업에도 한국기업들의 진출이 가능해질 전망이어서 원전건설의 '제2의 르네상스'가 예상된다.
현재 국내업체 중 원전 건설 자격을 갖춘 업체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림산업, 두산중공업 등 5개사에 불과하다.GS건설과 SK건설 등이 현재 각각 신월성 1,2호기와 신고리 1,2호기 공사에 보조회사로 참여, 실적을 쌓고 있어 2010년부터는 원전 건설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들 업체는 우선 조직 및 인력확충에 나서고 있다.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전 20기 중 12기의 건설실적을 가진 현대건설은 앞으로 5년간 원전분야에 1년에 40명씩 신입사원을 뽑을 계획이다. 또 퇴직자들을 활용하기로 하고 인력풀 구성에 나섰다.
1999년 월성 원전 3,4호기 건설에 이어 타이완의 원전건설에 기술자문을 해줬던 대우건설은 국내 원전 공사 발주에 대비해 인력확보 계획을 수립 중이다. 해외진출도 모색 중이다.
삼성물산도 내년 신울진 1,2호기 등 원전공사 발주에 대비해 TF를 구성하고 인력 확보에 나섰다. 대림산업은 영광원자력 및 신고리 원자력 발전소 시공 경험자들의 특별관리에 들어가는 등 인력유출 방지에 나섰다. 외부 전문인력도 충원 중이다.
아직 실적이 부족해 원전 건설 주간사 회사로 참여를 못했던 GS건설은 단독 입찰자격을 갖추는 2012년쯤에는 본격적인 수주전에 뛰어들 계획이다. 올해 초 플랜트 사업본부내 발전사업팀을 발전사업본부로 확대개편한 데 이어 인원도 늘릴 계획이다.
SK건설도 2011년 원전 단독 입찰자격이 갖춰질 때에 대비해 올 연말까지 100여명의 인력을 확충하기로 했다. 해외진출도 준비 중이다. 송진섭 현대건설 상무는 "정부차원에서 고급 및 현장인력 확충 방안도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핵연료 재처리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측과 선점이 중요한 에너지 시장 (0) | 2008.10.05 |
---|---|
인도, 일본, 중국의 원자력동향 (0) | 2008.10.05 |
19년 파행 방폐장, 해법을 찾았나 (0) | 2008.10.05 |
韓·日·佛 원자력 삼국지 (0) | 2008.10.02 |
핵연료 재처리장 현지 르포 (0) | 2008.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