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리먼브러더스 파산(9월 15일)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하기 전인 6월 말의 BIS 비율(11.36%)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BIS 비율이 11~12%는 돼야 건전한 우량은행으로 인정받는다.
본지가 27일 입수한 금융감독원의 '국내 은행의 11월 중 후순위채 발행동향'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이 올해 안에 발행할 후순위채 물량은 총 6조940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이 1조5000억원, 우리은행 1조원 등 4개 은행이 이미 후순위채 발행을 완료한 것을 비롯, 지난 21일까지 발행계획의 58%인 4조433억원어치가 발행됐다. 이는 후순위채가 연 7.7~8.8%의 높은 금리 덕분에 잘 팔리고 있기 때문이다.
후순위채의 순조로운 발행에 따라 지난 9월 10.79%로 떨어져 2001년 3월(10.47%)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던 은행권 전체의 BIS 비율은 11.37%로 상승할 것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신한은행의 경우 9월 말 11.9%에서 12.64%로, 우리은행은 10.53%에서 11.18%로, 하나은행은 10.65%에서 11.71%로 높아진다. 지주회사 전환 때문에 BIS비율이 10% 밑으로 내려갔던 국민은행도 10.71%로 올라간다.
이 같은 국내 은행들의 BIS 비율은 구제금융을 받은 선진국 은행에 비해 높지만, 실물경기 침체로 부실 대출 가능성이 커질 것에 대비해 더 높여야 한다고 금융위원회는 밝혔다.
신한은행의 경우 9월 말 11.9%에서 12.64%로, 우리은행은 10.53%에서 11.18%로, 하나은행은 10.65%에서 11.71%로 높아진다. 지주회사 전환 때문에 BIS비율이 10% 밑으로 내려갔던 국민은행도 10.71%로 올라간다.
이 같은 국내 은행들의 BIS 비율은 구제금융을 받은 선진국 은행에 비해 높지만, 실물경기 침체로 부실 대출 가능성이 커질 것에 대비해 더 높여야 한다고 금융위원회는 밝혔다.
입력 : 2008.11.28 00:52 / 수정 : 2008.11.28 00:52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 내려놓고 한숨 쉬는 '기업도시' (0) | 2008.11.29 |
---|---|
이헌재 “경제위기 2년이상…확실·단호 대처해야” (0) | 2008.11.29 |
외환보유액 1달러도 함부로 낭비하지 말라 (0) | 2008.11.28 |
독도 2차 광고낸 美유타대 유학생들 (0) | 2008.11.27 |
'허위학력' 울 아버지, 바위 아니었네 (0) | 2008.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