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격수의 세계/미사일보다 더 무서운 ‘인간무기’

<36>미 해병대의 저격수 훈련

화이트보스 2009. 1. 26. 18:25

<36>미 해병대의 저격수 훈련
전문성·강한 정신력 겸비한 스나이퍼 양성

베트남 전쟁에서 미 제1해병사단의 저격전은 성공적이었다. 사단의 저격 훈련소장 랜드(J. Land)는 스나이퍼의 임무수행에 필요한 동기 부여와 심리적 특성을 갖추도록 훈련시켰다. 그것은 무방비 상태의 적을 전문적으로 사살하는 일종의 살인행위에 대한 죄의식이나 본능적 거부감을 없애는 심리교육이었다.

“스나이퍼가 전장에서 혼자 된다는 것, 두려움에 맞서 혼자 되는 것은 특별한 용기가 필요하다. 불확실한 것에 대해 단독으로 대처하는 것. 힘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자기 자신밖에 없다. 이러한 용기는 잘 보이지 않으며 실질적인 것도 아니고 다만 아드레날린의 흐름으로 자극받게 된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겁쟁이라고 비난하는 것이 두려워 내는 용기는 진정한 용기가 아니다.

적어도 전문적인 스나이퍼라면 적을 증오하는 마음을 가질 필요가 없고 단지 사냥감으로 여기면 될 뿐이다. 전장에서 불필요한 증오심은 때때로 저격수를 망치게 할 수 있다. 적개심이나 복수를 위해 총을 쏘는 것은 결국 인간의 마음을 뒤틀리게 하고 오발을 가져오게 할 뿐이다. 스나이퍼가 조준경을 통해 표적을 관찰할 때 우선은 적의 눈을 보게 된다.

통상 표적을 확인할 때는 그림자나 실루엣, 혹은 눈으로 직접 형체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심리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조준경을 인간 표적에 고정시키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놀랍게도 사람의 눈인데 많은 저격수는 이를 불쾌하게 생각하고 마음의 갈등을 겪으며 방아쇠를 당긴다. 조준경 속에서 마주친 표적의 눈을 다시는 못 뜨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적을 편안한 마음으로 잠재울 수 있어야 진짜 스나이퍼다.”

속에서 저격수는 신체적·정신적으로도 강인해야 했다. 무더운 날씨와 습기를 참아내고 깊은 정글과 산악에서 활동하는 것은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고통과 긴장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해병대 최고의 저격수들은 정글전투에 숙달됐을 뿐만 아니라 전문성과 강인한 정신력을 갖춘 불굴의 전사들로 태어났다. 해병대 스나이퍼들은 그들의 자부심과 인내심을 스스로 강조했다.

“우리 저격수는 하루종일 잡초 속에 누워 온갖 벌레들이 몸을 기어 다니거나 물리는 것도 참아야 하고, 뜨거운 햇볕을 견디며 소낙비를 맞아야 한다. 적탄에 부상당하거나 복통이 일어나도 신음소리를 내지 않아야 하며, 바지에 똥오줌을 싸도록 참아야 하고 강해야 한다. 일촉즉발의 전장에서는 풀잎 하나라도 함부로 건드리면 적의 조준경을 자극하게 되고 결국 자신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저격수라면 자신의 임무를 명확히 알기 때문에 당연히 모든 고난을 극복해야 한다.”

베트남에서 전쟁이 지속됨에 따라 저격수에 대한 필요성도 커졌고 훈련이 더욱 강화됐다. 미 해병 저격수 훈련소가 캘리포니아의 펜들턴(Pendleton) 캠프에 추가로 세워져 지원병들이 엄격한 훈련을 받았다. 저격수들은 레밍턴 700-40 소총을 갖추고 사격장에서 강도 높은 훈련을 실시했다.

그들은 하루에 120발을 쏘면서 500m의 거리에서 움직이는 사람 크기의 표적을 맞히고, 고정표적은 1000m의 거리에서 명중시켜야 했다. 실수는 허용되지 않았다. 단 몇 발의 실수도 과정의 낙제로 이어졌다. 사격술과 더불어 독도법, 사거리측정, 정찰, 위장, 도피 및 탈출, 생존기술 등 베트남에서 부딪치는 특수 상황을 고려해 다양한 훈련이 실시됐다.

전통적으로 저격수들은 무기체계와 기술의 발전에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았다. 단지 정확한 노리쇠 작동식 소총과 인간의 의지만이 저격술의 기본 원칙이요 특별한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사상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베트남에서 미국 전략가들의 생각은 달랐다. 적을 조기에 제압할 수 있는 모든 전술과 방법을 구사하고 무기와 장비를 발전시켰다.

이는 당연히 저격술의 전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무렵 대형 삼각대를 사용하는 야간관측장비(NOD)보다 더 작은 야간투시경(AN/PVS2 Starlight Scope)이 소총에 직접 장착돼 약 400m 이내의 표적을 쏠 수 있는 조준경으로 사용됐다. 반면에 NOD는 1000m 이상의 사거리를 가졌다.

NOD는 무게가 22kg이나 나갈 뿐만 아니라 증폭장치로 인해 영상이 희미하고 혼동되는 등 많은 기술적 결함을 내포하고 있었다. 하지만 미군들이 베트남에서 적과 야간전투를 수행할 때는 확실한 우월감을 갖게 했다.이러한 관측장비들이 베트남 전쟁의 저격전에서 빛을 발하기 시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