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李珥), 《율곡전서(栗谷全書)》 年譜 중 |
구여도 (九如圖)> |
청심루(淸心樓) - 권상하(權尙夏) |
形贈影 (몸이 그림자에게) / 陶淵明 |
학(鶴) / 권상하(權尙夏) |
담박(淡泊)과 영정(寧靜) |
春 (봄) / 鄭夢周 (정몽주) |
귀거래사(歸去來辭) / 도연명(陶淵明) |
일출입행(日出入行) / 이백(李白) |
春夜宴 桃李園序 / 李白 |
조식 曹植 / 콩대로 콩을 삶으니 ( |
看花吟 (꽃을 바라보며) / 박상현(朴尙玄) |
등낙유원(登樂遊原)-이상은(李商隱) |
有感 (슬픔) / 잠곡(潛谷) 김육(金堉) ( |
차 한잔 / 강희맹 (姜希孟) |
매천(梅泉) 황현(黃玹)/ 절명시(絶命詩) |
題錦城女史藝香畵蘭 (난초 그림을 보면서) / 紫霞 申緯의 詩 |
申緯(신위;小樂府) / 醉不願醒(취불원성- 취하여 깨지 않았으면) |
추우(秋雨) / 정학연(丁學淵) |
四時(사시) 봄 여름 가을 겨울 / 도연명 陶淵明 (365 ~ 427) ( |
生과 死 (西山大師) |
귀먹으니 편하구나 / 윤추(尹推) |
口箴 (입을 경계하는 글) / 안방준 安邦俊 |
秋風辭 / 漢,武帝 |
絶句(절구)-杜甫(두보) |
曉坐 (새벽에 일어나 앉아) / 정약용(丁若鏞) |
차 한잔 맛보시게 / 조 주 (778~897) |
부벽루 [浮碧樓] / 목은 이색 |
인생무상(人生無常) |
친구에게 술을 따르며 / 왕유 (酌酒與裴迪 /王維(唐) |
김창협(金昌協) / 鑿氷行 (얼음 뜨는 자들을 위한 노래) |
퇴계 이황의 글씨 (1) |
가을 바람 - 秋風 / 金富軾 |
가을 밤 다듬이 소리 |
추야우중(秋夜雨中)/ 최치원 ( |
여몽령 / 이청조 |
歲月不待人 I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도연명) |
강촌 / 두보 |
오우가 / (五友歌) - 고산 윤선도의 연시조 |
세한도 / 김정희 |
박제가(朴齊家, 1750~1805)/ 옛 사람의 내면 풍경 - 공락(共樂) ( |
박제가(朴齊家)/ 옛 사람의 내면 풍경 - 공락(共樂) |
매화곡 (梅花曲 - 매화의 노래) -김삼의당(金三宜堂) ( |
무제(無題)/ 이상은(李商隱) |
少年以老學難成... |
황진이 시 모음 |
李穡(이색)/ 小雨(소우) ( |
牡丹 (모란) - 설도(薛濤 |
뜰에 가득한 달빛은 / 최충 |
우리는 언젠가 떠나야 할 나그네 / 陶淵明 |
李穡(이색)/ 驪江迷懷(여강미회) |
상사몽(相思夢) / 황진이 |
月下獨酌 / 이백 |
벗을 기다리는 미음 ( |
방랑시인 김병연 이 시인이 된 동기.. ( |
무제 / 두자미(杜子美) |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 은자를 찾았으나 만나지 못했네 |
평생 / 오리 이원익 |
풍교야박(楓橋夜泊)-장계(張繼) |
愁心 / 湖月 안행덕 ( |
自嘆 (자탄) / 김병연 (김삿갓) |
최항(崔沆)/ 절구(絶句) |
勸學文 朱子訓 권학문 주자훈 |
추야우중(秋夜雨中) / 최치원 |
奉別蘇陽谷世讓(봉별소양곡세양)/ 황진이(黃眞伊) |
김진(金搢)/ 백제회고(百濟懷古) |
采蓮曲)/ (허난설헌) |
이도령의 어사시 & 춘향의 옥중시 |
艱飮野店/주막에서 |
春江花月夜/張若虛 |
歸田園去 2/陶淵明 |
山居秋暝(산속의 가을 저녁) / 왕유 |
李白 /採 蓮 曲 |
나를 돌아보며 /김삿갓 |
歸田園居3/陶淵明 |
挽歌詩/陶淵明 |
난형난제 (難兄難弟) |
歸田園居 / 陶淵明 |
전원에 돌아와서2/ 도연명 |
파 경 (破 鏡) |
飮 酒 3 / 陶淵明 |
溺 缸(요강) /김삿갓 |
歲月不待人 / 陶淵明 |
歸田園居5 /陶淵明 |
음 주 4/陶淵明 |
蘭皐平生詩 /김삿갓 |
雜詩/陶 淵 明 |
김삿갓의 시 |
飮 酒 5/陶淵明 |
김삿갓의 시 |
采 蓮 曲채련곡/허난설헌 |
還甲宴(환갑잔치) /김삿갓 |
귀거래사(歸去來辭) |
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 杜甫 |
임종게(臨終偈) /天童正覺(천동정각) |
알고 싶어요 / 황진이 |
귀거래사(귀거래혜) - 도연명[歸去來兮 - 陶淵明] |
退溪 이황의 梅花詩 |
山中對酌 / 이백 |
蕭寥月夜思何事(소요월야사하사) - 황진이 |
무리를 이탈한 새 한마리 -도연명- |
추야(秋夜) 가을 밤 - 정철 (鄭澈) |
垂老別.下(수노별.하.늙어서의 이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