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커 꾐에 속아 단돈 3000위안에 中두메산골로 넘겨져
탈북 후 중국 허베이 성 산골마을에서 살고 있는 여성 J 씨(31)가 자신의 집 마당에서 옥수수를 다듬고 있다. J 씨는 중국인 남편에게 팔려 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허베이=구자룡 특파원 |
“중국 가면 돈 많이 벌 수 있다”
첩첩산중 도착했을땐 이미 늦어
4∼5명씩 ‘집단면접’ 보기도
북한 함경북도 무산의 조그만 옷가게에서 ‘의상 디자이너’를 하던 J 씨(31)는 몇 차례 가게에 들른 중년 여성과 얼굴을 익히게 됐다. 장사가 안돼 때론 월급도 받지 못하는 것을 아는 듯 그 중년 여성이 어느 날 “중국 농촌에 가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 중국도 요즘 잘살게 됐다”고 말했다. 세상 물정에 어두웠던 J 씨는 다른 나라에 대한 막연한 환상도 없지 않았다. 그렇게 훌쩍 따라 나선 것이 6년 전. 지금은 산 너머에 뭐가 있는지도 모르는 중국의 산골 오지 농촌에서 옥수수 재배 등 농사일과 양을 키우며 살고 있다. 고향 소식도 알 도리가 없다.
“이곳에 도착했을 때 속아서 팔려 왔구나 하는 것을 알았지만 어쩔 수 없었습니다. 처음엔 남편의 문화(교양 학력 등) 수준이 낮은 것이 불만이었지만 지금은 그럭저럭 살고 있어요.”
○허망하게 속은 여성들
J 씨를 만난 곳은 허베이(河北) 성 어느 도시에서 자동차로 약 2시간 거리의 깊은 산골 마을. 도시에서 거리로는 100km가량이었다. 하지만 대로에서 산길로 접어들어 50km를 굽이굽이 달렸다. 현(縣)에서도 오지여서 물어물어 찾아가야 했다. 산 계곡을 따라 형성된 50여 가구의 이 마을은 가난의 때를 벗지 못한 곳이었다. 산비탈 다랑논에 옥수수를 재배하고 소규모 사과 과수원을 하거나 양을 키워 팔기도 한다.
북한 여성과 살고 있는 이 마을의 한 남성은 “이 마을 노총각들은 북한 여성을 데리고 와 결혼하는 것이 큰 목표”라고 말했다. 웬만한 중국 여성들은 시골에서 살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그는 “북한 여성을 데려오기 위해서는 농촌 수입으로는 적지 않은 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해 동안 저축을 하고, 빚을 내기도 한다”며 “나도 아내를 들일 때 약간의 빚을 졌다”고 말했다.
한 노인은 “지난해 초부터 이곳으로 오는 북한 여성이 없어 노총각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집이 쉽지 않거나 단속이 심한지 북한에서 넘겨주는 여성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이 마을에는 현재 10여 명의 북한 여성이 팔려 와 살고 있다. 한 주민은 “남편들이 대부분 잘 대해줘서 그런지 (북한 여성들이) 도망치지 않고 살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서 여성을 모으는 남녀 모집책들은 북한의 작은 도시와 농촌 여성들에게 “북한에서보다 더 잘살 수 있다”는 말로 유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중국에는 산이 많아 도토리를 따도 여기보다 잘살 수 있다”는 말에 귀가 솔깃해 팔려온 여성도 있다고 이 마을 주민 B 씨(36·여)는 귀띔했다. 그만큼 북한에서의 삶이 힘들었다는 것. B 씨는 “중국 농촌이 잘살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북한에서처럼 굶지는 않아서 낫다”고 하는 여성도 여럿 있다고 전했다.
허베이 성 번호판을 단 차를 타고 들어가긴 했지만 오지에 외부인이 들어오자 금세 마을 노인 10여 명이 모여 들었다. 만나기로 약속한 마을 주민 C 씨도 주위 눈치를 살피며 가급적 빨리 끝내고 돌아가 주기를 바랐다. C 씨는 “이 마을에서도 몇 차례 북한 여성이 잡혀간 적이 있어 항상 외부인을 경계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사실 마을 사람이나 인근 파출소가 북한 여성이 이곳에 팔려와 살고 있는 것을 다 알고 있다. 하지만 누군가가 경찰에 신고할 경우에만 ‘법대로’ 북한으로 송환한다고 한 마을 주민은 전했다.
○“면접 볼 때 팔려온 것 알았다”
자신의 며느리를 고르기 위해 ‘면접’을 보기도 했다는 중국 농촌의 한 노인은 “주문할 때 대략적인 금액을 제시하지만 나이와 건강상태, 교육수준, 특히 남편이나 시부모의 첫인상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등 흥정이 벌어진다”고 말했다. “여성들은 자신들이 ‘농촌 총각의 신붓감’으로 팔려나가는 것을 이 면접을 볼 때 아는 경우가 많다”고 한 탈북 여성이 전했다.
면접은 마을에서 떨어진 산속 공터에서 이뤄지기도 하고 농촌 총각의 집으로 밤늦게 데려와 진행되기도 한다. 거절하면 그대로 데리고 되돌아간다. 북한 여성들의 가격과 관련해 붙잡힌 탈북 여성들의 송환을 맡았던 한 관리는 “탈북 여성들의 말에 따르면 수년 전에는 3000위안(약 60만 원)+30달러가 가장 많았지만 지금은 많이 올랐다고 한다”고 말했다. 30달러는 북한에서 중국에서 넘겨줄 때의 ‘원가’이고 나머지는 중간 연락책들이 나눠가진다는 것.
이 마을의 주민은 “한 집에서는 10대 초반의 아이를 사와 20세가 넘을 때까지 돌본 후 그 집안의 총각과 같이 살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같은 동네 탈북여성끼리도 제대로 못 만나
중국 농촌 남성 중 상당수는 적지 않은 돈을 들인 북한 신부를 귀한 몸으로 잘 대해 속아서 팔려온 아픔을 달래주며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며 살고 있다. 일부는 이웃 주민들의 눈을 피하기 위해 대도시에 나가서 살 정도로 배려하기도 한다.
이 마을 주민은 “다른 지역의 말을 들어보면 북한 여성이 갈 데 없는 처지인 것을 악용해 학대하거나 파출소에 신고한다고 협박하는 사례도 있고 실제 북한으로 다시 송환되는 일도 있다”고 전했다.
북한 여성들이 팔려가는 마을에는 한두 명인 경우도 있지만 많게는 10∼20명이 되는 곳도 있다. 이들 여성은 서로 만나 고향 얘기도 하고 이국땅에서의 고독과 설움을 달랜다고 한다.
한 소식통은 “일부 지역에서는 도망갈 것을 우려하는 남편의 의심 때문에 탈북 여성들끼리 만나지 못하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 남성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한국말로 대화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껴 만나지 못하게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덧붙였다. 북한을 떠나 온 여성 중 고향 소식을 전해 듣는 여성은 거의 없었다.
허베이=구자룡 특파원 bonhong@donga.com
우리 엄마는 어디에 있나요?”
단란하게 지내던 이 가정의 아이들은 엄마가 탈북 여성이라고 경찰에 잡혀 간 이후 엄마를 그리워하며 지내고 있다. 허베이=구자룡 특파원 |
8년전 오지 농촌으로 팔려와
행복한 가정 꾸리고 살다 송환
아이들과 찍은 사진 보던 中남편
“돌아오도록 도와줄 수 없나요”
“우리 엄마는 고향에 가셨다는데 왜 안 와요?’
중국 허베이(河北) 성의 한 외진 마을에서 만난 다섯 살 꼬마 안(安·가명)은 이렇게 울먹였다. 안은 1년여 전 탈북 여성인 엄마가 신고를 받고 들이닥친 경찰 10여 명에게 잡혀간 것을 알지 못했다.
하지만 당시 상황을 또렷이 기억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인 안의 형(8)은 외부인을 만나자 잔뜩 겁을 먹은 모습이었다. “엄마가 얼마나 보고 싶으냐”고 묻자 끝내 울음을 터뜨리며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버지가 아무리 달래도 걱정과 불안이 가득한 표정이었다.
8년 전 북한에서 팔려와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살던 안의 엄마가 이웃의 신고로 송환되면서 안의 형제는 엄마 없는 아이들로 자라게 됐다.
안의 아버지 A 씨(39)는 “아내가 항상 붙잡힐까 봐 가슴을 졸이고 살면서도 밝은 모습을 잃지 않았는데 이렇게 됐다”며 허탈해했다. 그는 “어떤 사람은 잡혀갔다가 6개월 만에 다시 왔다는데 아내는 1년 이상 소식이 없다”고 말했다.
A 씨는 8년 전 한 해 수입의 두 배가량인 1만4000위안(약 280만 원)을 주고 21세의 꽃다운 북한 처녀를 색시로 맞았다. 동네에는 이미 여러 명의 북한 여성이 팔려와 있었다. A 씨의 아버지가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가서 ‘면접’을 본 후 데리고 왔다. A 씨의 아버지는 “키도 크고 인물도 좋아 선뜻 들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A 씨는 북한에서 식당 종업원을 하다 브로커에게 속아서 왔다는 말 외에 다른 과거는 아내에게 묻지 않았다. A 씨는 “내게는 물론이고 시부모에게도 잘하던 아내가 공안에 붙잡혀갈 때 온 가족이 눈물바다가 됐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A 씨는 마을 주민과 크게 싸운 기억이 없는데도 누군가가 신고를 해 아내가 잡혀갔다고 원망하면서 아이 엄마가 간 후에는 일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고 했다. 부부의 결혼사진과 아이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보며 A 씨는 “아내가 돌아오도록 도와줄 수 없느냐”고 힘없이 말했다.
허베이=구자룡 특파원 bonhong@donga.com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는 생존의 힘, 용서는 발전의 힘 (0) | 2009.03.28 |
---|---|
우리 엄마는 어디에 있나요?” (0) | 2009.03.28 |
中 농촌男 ‘주문’받아 北 여성 판다 (0) | 2009.03.28 |
美위성 로켓 포착→日자위대 1·2차 요격 (0) | 2009.03.27 |
중국 도매시장 (0) | 200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