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중국령 신강성 위구르 자치구역 중심도시 우루무치에서 人種폭동이 일어나 140명이 죽었다고 한다. 광주사태급의 流血이다. 1996년에 이 지역을 다녀와서 쓴 紀行文을 싣는다. 이번 사건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북경공항의 위구르族
오전 11시에 김포공항을 떠난 아시아나 항공 보잉 767機는 서해를 가로질러 두 시간 뒤 북경공항에 도착했다. 우리 일행 3명(趙甲濟·李明元·朴在錫)은 입국심사를 끝낸 뒤 공항 청사 2층에 있는 국내선 카운터로 옮겨갔다. 우루무치(중국에선 鳥魯木齊로 표기)行 카운터 앞은 혼잡스러웠다. 하얀 빵모자를 쓴 위구르 사람들이 이삿짐으로 오인할 만큼 많은 보따리와 가방들을 쌓아놓고 짐 붙이기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의 얼굴은 이란 사람을 닮았지만 체구는 한국인 정도였다. 우리가 보기엔 서양인 같고, 서양인이 보면 동양인 같다고 할 것이다. 동양과 서양이 정확하게 50%씩 피를 섞은 종족이란 느낌을 주었다.
위구르<중국에선 회흘(回紇)이라 표기> 사람들은 중국 기록에는 흉노(匈奴)의 먼 후예로 기록돼 있다. 원래 突厥(돌궐·Turk의 語源. 지금 터키 민족의 선조뻘이 되는 종족으로서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서기 6세기에 유라시아 북방 草原지대에 대제국을 건설했다)의 통치하에 있던 한 부족이었다. 세계 최대의 담수호(湖) 바이칼로 들어가는 몽골의 세렌가江 상류지역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 종족은 돌궐 제국이 쇠퇴하자 만리장성 이북(漢北)지역을 통일하여 7세기부터는 유목민족 국가로서 등장한다回紇國).
서기 8세기 중엽 당(唐)의 현종(玄宗)이 경국지색(傾國之色)인 양귀비(楊貴妃)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고 있을 때 안록산(安祿山)(그는 이란 혹은 투르크系 인물로 알려져 있다)이 반란을 일으켜 수도 長安(지금의 西安)의 인접도시로서 물산(物産)의 집하지인 낙양(洛陽)을 점령했다. 唐은 위구르 군대를 지원받아 반란을 진압할 수 있었다. 그 뒤에는 위구르 군대가 당나라의 심장부 도시들을 약탈하면서 돌아다녔고, 唐은 공주를 위구르의 왕에게 시집보내고 막대한 금품을 주는 방식으로써 그들을 달래야 했다.
유목민의 변종
위구르人들은 몽골고원에서 서남쪽으로 이동하여 天山산맥을 넘어 지금의 신강성 남쪽 타림 분지로 이동했다. 이곳을 지배하던 티벳족을 내쫓고 선주(先住) 백인종과 혼혈하기 시작했다. 지금 신강지역(당시 중국기록에서는 西域)에서는 現 우즈베키스탄 쪽에서 넘어온 소그드人(백인종)이 [비단길]을 개척, 무역을 하고 있었다. 유목민인 위구르人은 상업人인 소그드의 문명을 받아들이면서 정착민으로 변해갔다. 이란系인 소그드人들의 마니교와 소그드 文字를 배웠다. 영농기술도 배웠고 유목민족으로서는 최초로 성곽도시를 세웠다. 위구르人들은 위구르 제국이 서기 840년에 또 다른 투르크계 부족(키르기스)의 침입에 의해 망한 뒤에도 몽골고원으로 철수하지 않고 지금 신강지역에 남아 유목민족의 전통을 버렸다.
위구르 족은 신강의 오아시스에 토착하여 살고 있던 백인종의 농경민족과 결혼을 통해 동화돼 가면서 그 모습은 脫몽골인化(위구르) 됐던 것이다. 투르크族도 몽골을 근거로 突厥제국을 세웠을 때는 우리와 비슷한 몽골인의 얼굴이었다. 그러나 唐에 쫓겨 서쪽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이란, 아랍인들과 혼혈하여 서양사람을 더 닮은 지금의 터키 사람들이 되었다. 무역과 전쟁을 통해서 민족이 끊임없이 뒤섞이는 中央아시아는 오랜 민족을 녹이고 새로운 민족을 빚어내는 용광로이기도 한 것이다.
우루무치, 세계에서 가장 깊은 내륙(內陸)
오후 3시에 북경공항을 이륙한 신강민항(新疆民航)(XINJIANG CIVIL AVIATION)의 여객기는 소련제였다. 거의 보잉 747과 비슷한 크기였는데 만원이었다. 여객기는 3시간 30분만에 우루무치 공항에 도착하였다. 왼쪽 창밖으로는 눈덮인 天山산맥이 장엄한 스카이라인을 그리고 있었고, 산자락이 부채살처럼 드리워지는 곳에는 나무 한 포기 없는 회색의 산맥과 드문 드문 초록색의 목초지, 그리고 눈 녹은 물을 담은 호수와 댐이 내려다 보였다.
우루무치는 [아름다운 초원]이란 뜻의 몽골語이다. 해발 900m에 자리잡은 이 도시는 신강-위구르 자치성의 수도로서 인구는 약 150만 명이다. 우루무치는 세계기록을 하나 갖고 있다. 바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도시(2250km). 이 도시 근방의 투르판은 年中 299일이 맑은 날이고, 여름엔 섭씨 78도를 기록하는 혹서·혹한·건조한 날씨를 보여주고 있다. 天山산맥은 신강성을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는데 우루무치는 그 북쪽 기슭 밑에 자리잡고 있다.
신강성의 넓이는 160만㎢. 중국의 약 6분의 1, 한반도의 약 8배, 프랑스의 약 3배에 이르는 광대한 땅이다. 알래스카와 비슷한 면적이다. 인구는 1600만, 47개 종족으로 구성된 인종종합 전시장이다. 최대종족은 위구르族으로서 720만, 다음이 漢族으로서 570만 명쯤 된다. 아직도 유목생활을 하고 있는 투르크系 카자흐族이 110만 명, 回族이 68만 명, 만주족도 1만8000 명이 살고 있다. 이 만주족은 여진족이 중국을 정복하던 300년 전에 이곳으로 파견된 군대의 후손이다.
우리 일행을 안내하기 위해서 우루무치 공항에 나타난 24세의 젊은이는 고언군(高彦軍)이라는 이름을 가진 回族 출신이었다. 중국신강서역국제여행사(中國新疆西域國際旅行社)-中國第一類旅行社란 명함을 내민 그는 "回族의 선조들은 원래 이란쪽에 살았는데 唐나라에 대한 지원군으로서 이 지역에 들어와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부족명으로 돌아갈 回자를 쓴 것은 귀향에의 그리움을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강성 부근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온 지역이다. 중국에선 西域, 유럽 사람들은 [투르크族의 땅]이란 뜻으로 중앙아시아를 투르키스탄(신강성은 東투르키스탄에 속한다)이라고 했다. 장안(長安)에서 시작되는 실크로드(비단길)가 天山산맥 북쪽을 지나가는 것을 천산북로(天山北路), 남쪽으로 지나는 길은 남로(南路)라고 불렀다. 우리가 발을 디딘 우루무치는 天山北路쪽이다. 지난 2천년 동안 이 신강지역을 바람처럼 휩쓸고 지나간 수많은 민족 중에서 주연(主演)급에 속하는 종족은 漢, 몽골(흉노, 돌궐=투르크, 위구르, 징기스칸軍), 그리고 이란-아랍系 종족이다.
고선지(高仙芝)의 탈라스江 결전(決戰)
서쪽의 이슬람·기독교 문화, 북쪽의 몽골 초원 유목문화, 동쪽의 漢族 유교문화, 남쪽의 불교문화가 세계사의 십자로인 중앙아시아에서 부딪쳐 만들어진 파란의 역사 속에는 우리의 귀에 익은 사람들도 등장한다. 신라와 손잡고 백제(百濟)를 멸망시켰던 唐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은 당 고종시절이던 서기 656년 신강성(서역) 지역을 지배하던 서돌궐(西突厥)에 대한 원정군을 지휘하여 이곳을 唐에 복속시킨 뒤, 다시 西進하여 지금의 우즈베키스탄의 타슈켄트 지역까지 진출했던 장군이었다. 이것은 唐뿐 아니라 漢族이 만든 제국으로서는 가장 멀리 서쪽으로 진출한 경우였다.
唐 현종은 서기 750년 고구려 출신의 용장 高仙芝에게 사라센제국 군대의 서역 침입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高仙芝는 고구려가 망한 후 아버지(舍鷄)를 따라 당에 들어가 武人으로 출세, 지금의 인도 북쪽·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티벳·파밀고원 지대를 원정했었다. 룩 콴텐(벨기에人 출신의 미국 역사학자)의 명저(名著) [유목민족제국사]에는 高仙芝가 750년에 타슈켄트를 점령, 약탈하자 지금 우즈베키스탄지역의 도시국가들이 압바시드 칼리프國에 원조를 요청했다고 쓰고 있다. 신흥 이슬람교(敎)로 무장된 이 아랍人 국가는 對唐연합군을 조직했다. 티벳軍뿐 아니라 突厥(투르크)의 카르룩族도 가담, 지금의 카자흐스탄에 있는 탈라스江 유역에서 高仙芝의 唐軍과 결전했다. 唐軍은 대패했다.
이 탈라스江의 대회전은 唐의 영향력이 天山산맥에서 끝나고 지금의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주변)에는 미치지 못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中國문화의 서쪽 한계를 그은 전투였다. 그 뒤 중앙아시아와 신강지역은 종교적으로는 이슬람敎, 정치적으로는 투르크族의 영향권 안에 들어간다. 이 신강지역이 확실하게 중국의 영토가 된 것은 1884년 청조(淸朝) 때였다. (이슬람)반란군을 쳐부수고 새로 얻은 땅이란 의미로 이때부터 西域 대신 신강(新疆)이라 부르게 되었다. 탈라스江 결전의 또 다른 세계사적 의미는 아랍군대에 포로가 된 唐나라 사람들에 의해 종이 만드는 기술이 서양으로 전해졌다는 점이다. 高仙芝 장군은 安祿山의 난(亂) 이후 어떤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당했다.
天山산맥의 天池
5월 24일 오전 8시30분에 우루무치市內 홀리데이 인 호텔을 출발한 우리 일행 4명(回族출신 안내자 高彦軍씨 포함)은 도요타 밴(VAN) 편으로 天池로 향했다. 세 시간의 드라이브는 天山산맥의 기슭에 발달한 草地를 지나가는 것이었다. 길 양쪽의 키 큰 포플러 가로수로 해서 한국의 시골 國道를 달리는 것 같은 분위기였다. 붉은 벽돌로 지은, 성냥갑처럼 납작하고 길죽한 집들이 드문드문 보였다. 낙타와 양떼가 도로 주위를 서성거리다가 재빨리 횡단한다. 4차선 國道에는 중앙선도 횡단로도 없어 우리 운전사는 10초에 한번 꼴로 경적을 누르면서 달렸다. 말을 탄 카자흐人들이 자주 나타나기 시작했다. 양떼와 낙타떼를 몰고 가는 카우보이 같은 카자흐人, 그냥 혼자서 자가용 몰듯이 말을 타고 유장하게 길을 가는 이도 보였다.
세 시간 만에 天池에 도착했다. 한계령 같은 산복 도로를 지나 해발 2000m 지점에 다다랐다. 우루무치 동북쪽 약 100㎞, 짙은 코발트色의 天池가 협곡 사이로 드러나 있었다. 대략 4×2㎞ 크기였다. 그 북쪽 끝은 깎아지른 天山산맥으로서 V자 모양의 협곡이었다. 건조한 바람이 상쾌했다. 구름 한 점 없는 하늘 저 끝엔 천산산맥 제2의 고봉(高峰)인 보고다峰(5405m)이 만년설을 이고 있었다. 히말라야의 눈덮인 연봉(連峰)과 비슷했지만 보다 친숙한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었다. 우리는 좀더 근사한 조망(眺望)을 위해 말을 빌어 타고 산을 올랐다. 말은 조랑말처럼 작았지만 가파른 비탈을 등산하듯이 아주 요령 있게 올라갔다. [신강부강시천지여유접대참(新疆阜康市天池旅遊接待站) 이란 명함을 보여준 24세의 카자흐人 젊은이가 다른 말을 타고 기자의 말을 앞에서 인도하면서 올라갔다. 그는 입만 열지 않으면 그대로 한국 사람 행세를 할 수 있을 만한 얼굴이었다.
馬上에서
말을 타 보니 비로소 북방 草原의 몽골인 유목민들에게 동물이 가졌던 의미를 짐작할 수 있었다. 馬上에 앉아 이 세상을 내려다본다는 것은 우월감, 정복욕, 진취성을 북돋운다. 걸을 때보다 약 50㎝ 정도 높아진 시야이지만 세상을 보고 느끼며 생각하는 자세를 바꾼다. 그런 의미에서 말은 정치적 군사적 동물이요, 소는 경제적 동물이다. 소를 몰아 농사 짓는 사람들은 대체로 馬上의 인간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농경민족 對 유목 기마민족, 평민 對 기사로 구분시켜주는 핵심적 상징물이 말과 소였다. 유라시아 북방 초원의 유목민족들이 말을 다룰 줄 알게 된 기원 전 10세기부터 그 남쪽에 사는 중국 및 中東의 농경 민족들은 편할 날이 없게 되었다. 그 뒤 아시아 역사 3000년은 북방 초원의 기마민족과 남쪽의 농경민족 사이의 힘 겨루기로 전개되었다. 그 불연속 접촉선이 남북으로 오르내리는 사이에서 전쟁과 무역과 建國·亡國이 되풀이되었다.
말이 주는 자신감·진취성
기자는 이날 300m 높이의 산비탈을, 말을 타고 1시간30분만에 왕복했다. 걸었다면 4시간은 걸렸을 것이다. 아무리 경사가 심해도 인간이 걸어갈 수 있는 곳은 말이 갈 수 있다. 몽골 기마군단이 저 눈덮인 天山산맥을 넘어 풍요한 오아시스 국가로 쏟아져 내려올 수 있었던 것은 말 덕분이겠는데, 말을 타고 산을 넘는 일은 쉽고도 즐거웠을 것이란 생각이 들 정도였다. 馬上에서 느끼는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실천으로 나타날 때는 기동력이다. 말의 타력(他力)을 빌어 빨리, 멀리 움직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진 기마민족과 이동에 대해선 공포감을 가진 농경민족의 차이! 우리 민족의 조상들이 수 천년 전 고향인 몽골고원을 지나 동쪽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한반도에 들어와 정착하고 그 일부는 바다를 건너 일본에까지 갈 수 있었던 진취성과 자신감도 말에서 나왔을 것이다.
왼쪽으로는 파란 天池가 내려다보이고 오른쪽 저 멀리로는 운산(雲山)이 거대한 병풍을 이룬 파노라마를 해발 2500m의 능선 그리고 馬上에서 조감하면서 기자는 우리 민족이 야성을 잃은 것은 지도층이 기마민족의 전통을 버리고 말에서 내려버린 데 중요한 계기가 있었으리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신라(新羅) 고분의 발굴 현장에 가보면 피장자의 신분이 높을수록 마구(馬具)가 화려하고 다양하다. 천마총(天馬塚)의 천마도(天馬圖)는 말의 배를 보호하는 가리개에 그려진 그림이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지배층이 보여준 그 야성과 생동감 넘치던 삶의 모습은, 삼국시대 때 유교가 들어오고 고려를 거치면서 중국文化의 영향권 안에 편입되더니 조선(朝鮮)이 개국하자마자 주자학(朱子學)을 통치이데올로기로 채택하고 이를 절대적 가치체계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사라지게 된다.
말에서 내린 민족의 운명
1894년 한국을 여행한 뒤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이란 名著를 남긴 영국의 지리학자 이사벨라 비숍 여사는 이 책에서 서울시내를 말 타고 가는 양반의 모습을 추하게 묘사했다. 양반이 말에서 떨어지지 않게끔 두 명의 종은 엉덩이를 양쪽에서 밀고, 세 번째 종은 고삐를 잡고 간다는 것이다. 天池에서 기자는 말을 탄 지 30분만에 혼자서 고삐를 잡고 말을 몰면서 갈 수 있었다. 발걸이와 안장을 3각점으로 하여 몸을 안정시키는 요령을 터득하니 馬上이 그렇게 편안하게 느껴질 수가 없었다. 말의 동작과 심리도 전해 왔다. 같은 리듬으로 움직이는 인마(人馬)의 일심동체감(一心同體感)이었다. 삼국시대의 벽화나 고분에서 적나라하게 표현되었던 거칠고도 힘찬 기마 풍습은 어디로 가고 혼자서는 말도 못타는 양반으로 전락했던가. 한국인의 그런 야성 상실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은 유교, 그 중에서도 朱子學이었다.
주자학은 중국 宋나라의 주자(朱子)가 기존의 유교분파들을 통합하여 세운 巨大한 사상체계이다. 朱子學은 우주·자연·인간·가족·국가를 관통하는 기본원리로서의 理로 우주·인간의 본질과 작동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그 체계의 거대함과 정교함에 있어서 마르크스 이론과 비교될 수 있다. 마르크스 이론은 유물론, 朱子學은 유심론에 근거함으로써 출발점은 정반대이지만 만나는 곳은 같다. 그 접점은 절대화이다. 朱子學과 마르크시즘은 각각의 이념을 종교적 차원으로까지 끌어올려 反論이나 理見을 허용하지 않는 독선적 요인을 내장하고 있다. 이런 경향의 사상이 한 시대, 한 국가의 정치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면 사회는 경직되고 인간의 생동성은 고갈되며 결국은 쇠망으로 흐르게 된다.
朱字學은 만물의 본질이자 원리인 理가 인간에게 들어오면 성(性)이 된다고 했다(여기서 性理學이란, 朱子學의 별칭이 생겼다). 性, 즉 인간이 태어날 때(生) 가지고 나온 마음(心)은 [본연의 性]이라 하여 절대선으로 보았다. 이 절대선의 바탕을 가진 인간이지만 개인적인 기질과 반응하여 [기질의 性]이라는 여러 가지 심리적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4단(端)7정(情)으로 불리는 이런 성격의 발현은 惡일 수도 善일 수도 있다.
朱子學은 여기서 중요한 방향을 제시한다. 인간은 수양을 통하면 4단7정이란 안개를 뚫고서 본연의 性이 지닌 절대善에 이를 수 있다. 이 수신(修身)의 방법은 무엇인가. 朱子學은 독서와 명상을 방법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단아하게 의관을 정제하고 조용한 곳에서 중국의 고전을 읽으며 수기(修己)에 임하는 선비의 정형(定型)이 등장한다. 이 修身·修己의 목적은 인간의 도덕적 완성이다. 근대정신은 인간이 도덕적이기 위해서는 이론뿐 아니라 실천을 통하여 그 타당성이 검증되어야 한다는 실증(實證)의 원칙을 가르치고 있다.
그 실천은 보통 사회적 행동, 즉 사회생활과 국가 경영의 형태로 나타난다. 상공업, 전쟁 같은 모습이다. 朱子學은 이런 실천의 學에 대한 별다른 대안의 제시가 없다. 독서와 수양을 최고·최선의 방법론으로 강조함으로써 상업·군사활동을, 문인적(文人的)활동에 비해서 천시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은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신분차별로 나타났다. 이 士는 일본에선 무사(武士)를, 조선조에선 선비를 의미했다. 文武 병존이 아니라 武가 文에 예속되었다. 이로써 朱子學이 뿌리를 깊게 내리는 사회일수록 상무(尙武)정신과 기업정신은 목졸림을 당해 국가의 생산력과 효율성이 고갈될 가능성에 처하게 된다. 조선조가 그런 경우이다. 선비 집단, 즉 사림파(士林派)가 정권의 심장부를, 장악한 선조 때부터 조선조 사회는 국가의 활력과 민족의 야성을 버리고 농경사회 특유의 정체 속으로 빠져들게 되었다. 지배층이 馬上에서 내리게 된 탓이다.
朱子學에서 해방되었다
한국인은 말과 배를 양수겸장으로 두루 이용할 수 있는 지정학적, 인류학적 위치에 있었다. 기마민족으로서의 전통과 3면이 바다라는 지리적 조건이 그것이다. 주자학은 이 두 가지 가능성도 말살했다. 기마로 표현되는 상무정신, 배로 표현되는 어업·무역·상업·개방·국제화 등 해양 정신을 우리는 잃어버렸다. 朱子學的 질서는 일제의 식민통치, 해방, 분단, 6·25 동란을 통해서 그 물질적 기반을 상실하였다. 비로소 朱子學的 이데올로기에서 해방된 한민족은 해양문화권에 편입된 덕도 보면서 잊었던 야성을 되찾아 유라시아 초원을 달리던 기마민족처럼 세계로 뻗어갈 수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의식면에서 朱子學이 완전히 정리된 것은 아니었다. 봉건적 질서의 찌꺼기로서 주자학적인 의식(지나친 명분론, 독선, 위선, 文民 우대, 기업·군대 천시, 사대주의, 권력투쟁)은 현대의 선비·양반 계급인 정치인·검찰·기자·지식인 등 士자 계급의 머리 속에 계속 들어 붙어 있다. 이 성향은 상무·기업·실용정신으로 무장한 대다수 한국인의 활력을 죽이는 방향으로 작동될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권력을 장악한 士자 계급이 주자학적인 찌꺼기의 악취를 계속 뿜어내면서 약진하려는 한국을 뒤로 잡아당기는 현상이 강화되면 21세기의 한국은 어둡다.
반대로 기업·군대·공무원·생활인으로 대표되는 실용파가 수에선 한줌 밖에 되지 않는 관념론자들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을 때 21세기의 한국은 민족의 야성을 더욱 발전·승화시켜 나가면서 자유통일을 이룩하여 한국이 세계 강국으로 도약하는 결정적 계기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럴 수 있으려면 실용파는 한국 사회의 주류(主流)라는 자신감을 가져야 하고 그 자신감을 객관적·보편적 文法으로 설명할 수 있는 논리를 가져야 할 것이다.
기자가 30분만에 말을 부리면서 가파른 산길을 통행할 수 있었던 것은 안장과 발걸이 덕분이었다. 특히 양쪽 발걸이는 말 탄 사람의 자세를 안정시켜 말을 탄 채로 활을 쏠 수 있게 만든다. 3국시대의 큰 고분을 발굴하면 거의 어김없이 발걸이, 즉 등자가 출토된다. ㅎ모양의 쇠붙이지만 이것은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발견이었다.
군사력은, 이동 속도의 제곱에 비례
기원전 7세기 이란 북부 카스피海 근방에서 강대국을 만든 스키타이 유목민(이들은 백인종이다)이 기마술에다가 등자를 실용화하여 기사(騎射)전술을 발전시켰다. 이 전술이 북방 초원의 몽골族에게 전파되면서 그들은 남쪽 농경민족에 대하여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기마병을 기계화사단, 활을 장거리포에 비교한다면 이 두 기능을 결합시킨 유목민은 기갑사단의 파괴력을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문제는 정치력이었다. 농경정착 사회처럼 권력자가 방대한 인력을 조직·동원할 수 있게 하는 정치력에서 유목민족은 열세였다. 징기스칸 같은 위대한 지도자가 나타나면 순식간에 거대한 군사 집단으로 뭉치지만 그런 지도력이 사라지면 흩어져 버린다. 말이 기병용으로 이용되면 부대 이동의 속도가 달라진다. 농경민족 군대는 전투병력과 보급병으로 나뉘어진다. 이 군대의 전체 평균 이동속도는 가장 느림보인 보급병에 맞춰져야 한다. 그러하지 않으면 전투병이 홀로 적진 속에 들어갔다가 보급선이 차단돼 장기전을 유지하지 못하고 섬멸된다.
몽골 기마군단은 전투병과 보급병의 구별을 두지 않고 모두 전투병으로 운영되었다. 원정 땐 한 병사가 여러 마리의 말을 몰고 갔다. 이 말은 보급병일 뿐 아니라 잠 잘 때는 그 체온으로 이불·침대가 되어 주었다. 목이 말라 죽기 직전까지 가면 말의 피를 빨았다. 이러니 몽골 기마군단의 진행속도는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 되었다.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대의 이동속도이다. 예상할 수 없는 지점에 예상할 수 없는 시기에 군대가 나타나면 기습이 되고, 예상할 수 없는 수의 병력이 순간적으로 모일 때 집중이 되는 것이다. 勝戰의 3大 요인인 집중·기동·기습은 부대이동 속도의 다른 표현이다. 물리학 공식으로도 설명할 수 있는데 F(힘)=½M(질량)×V제곱(속도) ,즉 군대의 파괴력은 규모(M)에 정비례하지만 이동속도에는 제곱에 비례한다. 이런 전투의 원리를 극대화한 것이 징기스칸의 몽골 기마군단이었고, 그로 해서 세계의 역사가 바뀌었다.
박물관의 신라지도
天池에서 돌아와 우루무치 시내에 있는 신강자치구 박물관을 찾았다. 당대(唐代)의 세계지도가 붙어 있었다. 고구려와 백제까지 청색으로 표시하여 唐의 영토로 그려놓은 지도였다. 신라만이 독립국임을 뜻하는 백색으로 돼 있었다.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데 당군(唐軍)이 큰 역할을 했다는 의미로 그런 표시를 한 것 같기도 했다. 지도를 보면 7∼8세기 최전성기의 唐이 복속시키지 못한 東아시아 대륙의 유일한 나라가 신라로 돼 있다. 소정방(蘇定方)은 신라군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킨 뒤 귀국, 고종에게 보고하는 자리에서 고종이
"왜 내친 김에 신라까지 정복해 버리지 그랬느냐"고 따지자 이렇게 대답했다(三國史記).
<신라는 그 임금이 어질고 백성을 사랑하며, 그 신하가 충성으로 나라를 섬기고 아랫사람은 윗사람 섬기기를 父兄 섬기듯 하니 비록 나라가 작지만 도모할 수가 없었습니다>
즉 官·軍·民·지도자가 일치단결한 것이 신라의 對唐 自主독립의 비결이었다는 교훈이다. 김유신(金庾信)은 또 唐이 백제 점령 후 신라 정복의 야욕을 드러내자, 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 김춘추(金春秋)가 "우리를 도와준 唐과 차마 어떻게 싸우겠느냐"고 머뭇거릴 때 이렇게 말한다(三國史記).
"개는 주인을 두려워하지만 주인이 다리를 밟으면 뭅니다. 우리가 어려움을 당했는데 어찌 스스로 구하지 않겠습니까."
삼국통일의 주체세력인 무사집단 화랑도의 행동철학을 담은 세속5계에는 [살생유택(殺生有擇)]이 있다. 이것을 지은 원광(圓光)법사는 살생을 금하는 불교의 승려였다. 그런데도 '나는 불교승려이기 이전에 신라인'이라면서 세속5계를 만들었다고 한다. 국적 있는 종교이념은 自主정신의 기반이며, 종교·이념이 朱子學처럼 사대化되면 내분과 외세개입이 발생한다. 우루무치 박물관의 지도를 보면서 기자는 아직도 고구려 정통론에 빠져 金庾信·金春秋 콤비에 의한 삼국통일을, 외세를 업은 통일이라고 비난하고 있는 북한과 국내 좌파 역사학자들을 생각해 보았다.
아름다운 미이라 女人
신강박물관에는 10구의 미이라가 전시돼 있었다. 1970∼80년대에 신강지역 고분에서 발굴된 3000∼4000년 전 미이라였다. 건조한 사막 기후 덕분에 보존돼 있었을 것이다. 1980년 누란(樓蘭)에서 발굴된 신장 157㎝(생존 떄 신장 추정)의 여인은 [누란의 미인]으로 불리는데 날씬한 몸매와 작지만 뚜렷한 윤곽의 얼굴이 시체 상태로도 아름다웠다. 갈색 머리에 새 깃털을 장식용으로 꽂은 이 여인의 혈액형은 O형, 생존연대는 약 4000년 전, 인종적으로는 유럽계통의 백인종. 3∼4000년 전 미이라의 대부분은 백인종인데 예외가 하나 있었다. 체모(且末)란 곳에서 발굴된 3000년 전 여자의 미이라는 백인종과 몽고인종의 혼혈로 판정되었다.
신강지역의 원주민은 백인이었는데, 북쪽 초원에서 내려온 몽골인과의 혼혈이 3000년 전부터 이뤄지고 있었다는 얘기다. 몽골족은 흉노·돌궐·징기스칸 제국을 통해서, 이란-아랍계통의 세력은 사라센 등 이슬람 제국을 통해서, 漢族은 漢·唐 제국 때 각각 이 문명의 십자로에서 주도권을 행사하였다. 오늘날 신강지역은 정치적으론 한족, 종교·문화적으로는 위구르·카자흐족을 중심으로 한 이슬람이 지배하고 있는 형국이다. 우루무치의 시장, 음식점, 모스크(이슬람 교회당), 노래, 냄새 그리고 분위기는 이슬람적이다. 시장에 갔더니 10여 년 전 쿠웨이트의 시장에 갔던 때의 기억이 떠오르는 것이었다. 카페트, 칼, 양고기, 독특한 냄새…. 위구르족은 어디에 가도 눈에 뜨이는데 漢族, 만주족은 잘 구별이 안된다.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시켜주는 가장 중요한 2大 요소는 언어와 종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