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부자정권' 소리듣던 MB정권 '이상한 인기방정식

화이트보스 2009. 7. 29. 14:30

'부자정권' 소리듣던 MB정권 '이상한 인기방정식'

입력 : 2009.07.29 02:54 / 수정 : 2009.07.29 13:49

월수 100만원 미만 지지율 53%… 400만원 이상의 2배 넘어
고소득층 기대수준 못미쳐… 저소득층엔 고령층 많아 '소득아닌 나이 영향' 해석도

'부자(富者) 정권'. 이명박 정부를 향한 야당의 핵심 공격 논리 중 하나다. "감세 등 부유층을 위한 정책에 주력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정작 이 대통령의 지지도는 저소득층에 비해 고소득층에서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리서치 조사(7일)에서 대통령 지지율은 저소득층(월소득 100만원 미만)에서 53.7%로 가장 높았고 소득이 상승할수록 지지율이 낮아져 전체 가구의 상위 20%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월소득 400만원 이상)에서 24.3%로 가장 낮았다. 최근 실시한 동아시아연구원·한국리서치 조사(25일)와 원지코리아 조사(25일)에서도 추세는 비슷했다.

먼저 "현 정부의 실적이 고소득층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박길성 고려대 교수는 "노무현 정부와 달리 이명박 정부에게 반사이익을 기대했던 중산층들이 실제로는 경제와 교육 문제 등에서 얻은 게 별로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며 "이들은 최상위 1~2%의 최고소득층에게 상대적 박탈감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청와대가 얼마 전부터 시동을 건 중도·서민 행보에 대해 고소득층이 별로 '감동'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라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 이 대통령의 재산 헌납 이후 '대통령 이미지가 좋아졌다'는 응답이 저소득층은 41%였지만, 고소득층에선 절반가량인 24%(R&R 9일 조사)에 그쳤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사교육 문제에 대한 정부의 개혁 드라이브는 엄청난 사교육비를 쓰고 있는 30~40대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전략 중 하나"라고 했지만 실제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일부 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대통령 또는 정당 지지율 등 정치적 성향에는 소득수준보다 연령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고소득층에는 진보 성향의 고학력 30~40대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보수 정권'에 비판적인 반면, 저소득층에는 보수 성향의 고연령층이 많기 때문에 호의적이란 것이다. 실제로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고소득층은 30~40대가 다수(58%)인 반면, 저소득층은 60대 이상이 다수(65%)였다. 똑같은 월소득 400만원 이상에서도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30~40대(18%)와 60대 이상(44%)의 차이가 매우 커서, '유권자의 정치적 성향에는 소득수준보다 연령의 영향이 크다'는 해석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서우석 서울시립대 교수는 "'고소득 진보층'은 경제 문제에서만큼은 감세, 한·미 FTA 등에 찬성이 높은 보수 성향을 보이는 게 특징"이라며 "경기가 뚜렷이 회복하면 다시 현 정부 지지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중문으로 이 기사 읽기중문으로 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