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車) 어떻게 되나
비용 획기적으로 줄이고 생산성은 2~3배 높여야
정부, 법원결정에 따를듯
쌍용자동차가 앞으로 생존하려면 '운영·개발자금 투입'과 '영업이익 확보'라는 두 가지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어느 것 하나 현 시점에서 속 시원한 해결이 어렵다는 점이다.
기업 구조조정 전문가인 이성신 BMR컨설팅 대표는 "쌍용차가 살려면 신차 개발 등 장기생존이 가능한 수준의 자금이 일단 지원돼야 하고 차를 만들어 파는 것만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로 탈바꿈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공장 재가동 자체가 무의미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쌍용차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다음 주 초에 쌍용차 공동관리인과 만나 자금지원을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는 종업원 퇴직금 지급을 위한 구조조정 자금일 뿐이며, 1500억원에 이르는 신차(C200) 개발 자금 지원은 유보된 상태다. 산은 기업구조조정실의 김수생 팀장은 "당장 자금 지원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법원 허가 등의 절차가 남아 있어 지원은 이달 중순 이후에나 가능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규모는 1000억원대"라고 말했다.
◆정부, 법원 결정에 따라 지원할 듯
정부나 산업은행은 일단 다음 달 15일 쌍용차 회생계획안 제출 후, 법원의 회생계획 지속 여부에 대한 판단을 지켜보고, 법원이 지속을 결정하면 추가지원을 논의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제3자 매각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추가지원의 경우도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한다든지, 제3자 매각을 직접 주도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쌍용차에 대한 직접 지원은 경영위기에 빠질 우려가 제기되는 GM대우에 대한 정부의 대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GM대우는 모기업인 GM의 부실로 인해 연쇄적인 경영난을 겪고 있으며, 쌍용차보다 규모가 10배 이상 크기 때문에 위기를 맞을 경우 국내 자동차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쌍용차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클 것으로 예상된다. GM대우의 모기업인 GM은 GM대우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1조원대 이상의 자금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나, 산은은 GM 본사 차원에서 GM대우의 회생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한 추가지원은 어렵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지식경제부 조석 성장동력실장은 "정부가 쌍용차에 직접 지원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단 쌍용차가 경쟁력을 회복하고 새 주인을 찾을 경우, 정부가 인수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으로 간접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회생하려면 생산성 2배 높여야"
쌍용차가 회생계획 절차를 지속하고 제3자 매각을 꾀하려면, 단기간에 영업적자를 내지 않는 구조를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를 법원과 채권단에 증명해 보여야 한다. 부채상환 유예나 탕감 문제도 쌍용차가 영업이익을 낼 수 있다는 게 전제될 때만 논의가 가능하다.
문제는 쌍용차가 현재로서는 영업이익을 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는 것이다. 지난 4월 8일 발표한 쌍용차의 자체 회생계획안을 보면, 구조조정 성공을 전제로 올해 매출 1조8476억원에 1425억원 영업적자를 내고 2011년에 흑자 전환하는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점거파업으로 인해 석 달간 공장 가동을 못한 데다 이 기간의 매출차질 등을 감안하면 올해 2000억~3000억원의 영업 적자가 불가피하다. 쌍용차가 애초 계획했던 구조조정도 절반밖에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가중될 우려도 있다.
자동차산업학회의 김소림 부회장은 "쌍용차가 회생하려면 비용은 획기적으로 줄이고 생산성은 지금의 2~3배로 높여 손익분기점을 크게 낮춰야 한다"며 "쌍용차 구성원들 스스로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하는 시점인 다음 달 15일 이전에 추가적인 생존노력을 확실히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