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995~96년 1년반새 100만명 굶어죽어”
![]() 북한의 식량난이 극심했던 1997년 북한 어린이들이 배급된 식량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
![]() |
양곡생산 필요량의 절반 안돼… 덜 여문 옥수수 10만t 따먹어
“1995년 하반기에만 당원 5만 명을 비롯해 북한 주민 50만 명이 굶어 죽었으며 1996년 11월 중순까지 모두 100만 명이 아사(餓死)했다.”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국제담당 비서는 7일 1997년 탈북 직전 북한의 처참한 실상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황 전 비서는 답답한 마음에 당시 북한이 양곡을 얼마나 생산했는지 당 비서들을 통해 확인했다. 당시 생산된 양곡은 210만 t에 불과했다. 그것도 손질한 정곡이 아니라 겉껍질을 벗겨 내지 않은 겉곡식의 무게였다. 이는 북한 주민이 굶지 않을 안정적인 생산량인 450만 t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양이었다. 그는 급히 당시 홍성남 정무원 총리대리에게 전화를 걸었고 북한 내각은 당시 양곡 220만 t을 생산한 것으로 파악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왜 생산량 수치에 차이가 나는지를 묻는 황 전 비서에게 홍성남은 “강냉이(옥수수)가 여물기 전에 따먹은 것이 10만 t 정도 된다”라고 답했다. 평양은 그래도 나은 편이었다. 지방에 출장을 다녀온 모 중앙당 부부장은 “아침에 오는데 기차역마다 (굶어 죽은) 시체가 쫙 깔려 있었다”고 보고했다는 것이다.
식량난이 악화되면서 주민들은 공장의 기계와 부속품, 원료, 건축에 사용되는 기중기까지 해체해 시장으로 들고 나가 팔았다. 황 전 비서는 공장마다 현직 군인으로 구성된 교도대가 지키고 있었지만 교도대들은 “우리 가족이 다 굶어 죽는데 당신이 책임질 거냐”는 주민들의 절규를 듣고 이런 ‘불법 행위’를 용인했다고 전했다.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로호, 엔진이 다르다" (0) | 2009.08.11 |
---|---|
포스코 공장 봅시다” 20분 일찍 온 멕시코 대통령 (0) | 2009.08.10 |
요란했던 나진-선봉 경제특구 김정일에 세부 대책 물었더니 …” (0) | 2009.08.10 |
“친북좌파가 국민을 청맹과니 만드는데 왜 반격을 못하나” (0) | 2009.08.10 |
北 무력시위 상대하지 말고 정치 사상 경제 고립시켜야” (0) | 2009.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