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차 세계대전 중인 1942년 4월 일본군이 필리핀 루손섬에서 자행했던 '바탄 죽음의 행진'에서 살아남은 전(前) 미군 포로와 후손들을 내년에 일본에 초청키로 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13일 전했다.
'바탄 죽음의 행진'은 당시 필리핀 루손섬 바탄 반도를 공략한 일본군이 미군과 필리핀군 포로 약 7만명을 뙤약볕 속에 약 100㎞ 구간을 강제로 행진하게 한 사건이다.
전쟁 포로들은 행진 과정에서 구타와 굶주림에 시달렸고 결국 7만명 가운데 2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사건은 일본의 대표적인 전쟁 범죄의 하나로 꼽힌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전 미군 포로를 공식 초청하는 것은 처음이다. 포로 출신들은 지금도 반일 감정이 강한 만큼 일본 정부는 이런 활동을 통해 이들에게 이해를 구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미국 내에서는 포로 출신들로 구성된 '전미 바탄·코레히도 방위병 모임'이 있었지만, 회원들의 고령화로 인해 지난 5월 텍사스주에서 해산식을 갖고 모임을 해체했다.
당시 후지사키 이치로(藤崎一郞) 주미대사가 일본 정부를 대표해 참석, "바탄반도, 코레히도섬 등에서 비참한 경험을 한 전 전쟁포로들을 포함해 많은 분들에 커다란 손해와 고통을 준 데 대해 진심으로 사죄의 뜻을 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 정부가 전 포로들에게 직접 사죄한 것은 당시가 처음이었다.
전 미군 포로들의 방일 계획은 후지사키 대사의 사죄를 계기로 추진됐다. 방일 대상은 죽음의 행진에서 살아남은 전 포로와 자손 등 수백 명으로 계획 중이다.
일본 정부는 2004년까지 약 10년간 일본이 전쟁으로 인해 피해를 준 국가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평화우호교류계획'을 시행해 왔다.
외무성에 따르면 호주, 영국, 네덜란드 전 포로들의 일본 초청은 성사됐지만 일본과 강도 높은 전쟁을 벌였던 미국측으로부터의 방문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일본의 전쟁 피해자들 사이에서는 미국이 히로시마(廣島)와 나가사키(長崎)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것을 거론하며 "오히려 미국측의 사과를 받아야 한다"는 강경론도 적지 않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日, `바탄 죽음의 행진` 피해자 초청 [연합]
'경제,사회문화 > 정치,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대중-노무현 이후'의 야당 (0) | 2009.08.17 |
---|---|
현대-北, 이산가족상봉 등 5개교류사업 합의 (0) | 2009.08.17 |
연방제를 생각해본다 (0) | 2009.08.13 |
24시간 피 걸러주는 신장 투석기 욕창(褥瘡)엔 피부 재생 돕는 약물 투여김 (0) | 2009.08.12 |
사설] 전 대통령 병상 옆 현 대통령의 기도 (0) | 200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