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10%가 75%(거주주택 제외 총자산)를 가진 사회
-
댓글 6
- ㅣ
- 6
- ㅣ
- 0
ㆍ하위 50% 합해도 1% 안돼… 이정희 의원 “양극화 심각”
자산 소유 상위 10%가 전체 자산 총액의 절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 중 살고 있는 집을 제외하면 전체의 75%에 육박하는 등 자산 소유의 불평등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극화 사회의 단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은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07년 노동패널’ 조사를 분석한 결과, 자산 상위 10%(10분위)가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을 합한 전체 자산 총액의 53.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0분위의 평균 보유자산액은 10억5721만원이었고, 이 중 상위 1%가 전체 자산 총액의 15.1%를 소유했다. 9분위는 전체의 18.38%(3억6359만원)를 가졌다.
반면 자산 하위 10%(1분위)는 자산이 전혀 없었으며, △2분위 0.03%(114만원) △3분위 0.29%(601만원) 등 ‘자산 소유의 양극화’가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주택을 제외한 자산총액은 10분위가 전체 자산 총액의 74.76%(평균 6억8470만원)를 소유했다.
1·2분위는 전혀 보유하지 않았으며 3분위(0.01%), 4분위(0.20%), 5분위(0.56%) 등 전체 가구수의 절반을 합해도 점유율이 1%가 되지 않았다.
주거용·비주거용 부동산과 토지, 전세보증금 등 부동산자산의 쏠림 현상은 더욱 확연했다. 10분위는 거주주택을 뺀 전체 부동산자산의 84.27%(평균 6억1162만원)를 차지한 데 비해 1분위에서 7분위까지 모두 점유율이 ‘0’이었다.
이정희 의원은 “다주택 보유로 인한 자산소유의 불평등이 매우 심각하다는 증거”라고 풀이했다.
예금·주식 등 금융자산도 1분위에서 3분위까지는 금융자산이 하나도 없었으며 4분위는 평균 73만원으로 전체의 0.22%를 보유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상위 5%는 전체 금융자산의 50.1%를, 상위 10%는 66.46%(1억2658만원)를 각각 차지했다.
이 의원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경우 자산을 많이 보유한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의 보유 자산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며 “심각한 자산 양극화가 소득 양극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이루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안홍욱기자 ahn@kyunghyang.com>
자산 소유 상위 10%가 전체 자산 총액의 절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 중 살고 있는 집을 제외하면 전체의 75%에 육박하는 등 자산 소유의 불평등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극화 사회의 단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은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07년 노동패널’ 조사를 분석한 결과, 자산 상위 10%(10분위)가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을 합한 전체 자산 총액의 53.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자산 하위 10%(1분위)는 자산이 전혀 없었으며, △2분위 0.03%(114만원) △3분위 0.29%(601만원) 등 ‘자산 소유의 양극화’가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주택을 제외한 자산총액은 10분위가 전체 자산 총액의 74.76%(평균 6억8470만원)를 소유했다.
1·2분위는 전혀 보유하지 않았으며 3분위(0.01%), 4분위(0.20%), 5분위(0.56%) 등 전체 가구수의 절반을 합해도 점유율이 1%가 되지 않았다.
주거용·비주거용 부동산과 토지, 전세보증금 등 부동산자산의 쏠림 현상은 더욱 확연했다. 10분위는 거주주택을 뺀 전체 부동산자산의 84.27%(평균 6억1162만원)를 차지한 데 비해 1분위에서 7분위까지 모두 점유율이 ‘0’이었다.
이정희 의원은 “다주택 보유로 인한 자산소유의 불평등이 매우 심각하다는 증거”라고 풀이했다.
예금·주식 등 금융자산도 1분위에서 3분위까지는 금융자산이 하나도 없었으며 4분위는 평균 73만원으로 전체의 0.22%를 보유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상위 5%는 전체 금융자산의 50.1%를, 상위 10%는 66.46%(1억2658만원)를 각각 차지했다.
이 의원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경우 자산을 많이 보유한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의 보유 자산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며 “심각한 자산 양극화가 소득 양극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이루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안홍욱기자 ahn@kyunghyang.com>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태영-게이츠 합의 뒤에 남는 불안 (0) | 2009.10.23 |
---|---|
50m 수직이륙 제자리비행 ‘쇼’ (0) | 2009.10.23 |
게이츠 “한국, 국제적 군사기여 국익에 도움” (0) | 2009.10.22 |
경찰 간부가 ‘청와대서 내려온 사건’ 수사 독촉” (0) | 2009.10.22 |
일본산 기저귀 품귀…엄마들 발 동동 (0) | 2009.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