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PRT요원 경계병 300여명 소요 판단`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에 전투병력이 아닌 지역재건팀(PRT) 요원들의 경계보호를 위한 '보호병력'을 파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정부가 국방부.합참 등과 함께 지난 2월부터 아프간 병력 파병 문제를 논의해온 끝에 최근 국민정서 등을 고려해 전투병력이 아닌 보호병력을 보내기로 의견 접근을 이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유명환 외교장관은 26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아프간 재건을 위해 최소한 130명 정도의 민간 전문요원을 파견해 운영할 생각이고 독자적으로 경비하는 문제도 지금 논의를 하고 있고 협의를 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조만간 국회와 상의를 해서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유 장관은 'PRT 요원 130명 정도를 보내면 병력이 어느 정도 필요하냐'고 묻는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의 질의에 대해 "바그람과 인근 지역은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병력)인원은 아닐 것"이라고 답변했다.
유 장관은 이날 국회 답변에서 파병 방식과 인력 구성에 대한 결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고 강조했지만 그의 발언은 들여다보면 사실상 '보호병력'을 파병하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는 게 정부와 군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군 당국도 최근 아프간에 추가로 보낼 PRT 요원들의 경계보호를 위해 최소한 300여명의 보호병력이 필요하다는 판단한 것으로 알려져 이런 분석에 힘을 보태주고 있다.
군의 한 고위 관계자는 "합참에서 아프간 지원 PRT 요원 경계에 소요되는 병력을 300여명 가량으로 판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보호병력 300여명 가량을 보내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다만 "정부 차원에서 그런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지만 어느 부대 병력을 보낼지는 아직 지정이 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와 군 당국이 아프간에 보호병력을 파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파병에 반대하는 국민정서를 고려하면서 아프간에 실질적인 기여를 원하는 미국 정부의 입장을 동시에 고려한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정부가 아프간 지역에 2차 실사단을 파견하고 우리 요원들의 안전한 활동이 보장되는 지역을 위주로 실사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은 국민에게 파병 결정에 따른 불안감을 최소화하려는 조치로 풀이되고 있다.
유 장관은 이와 관련, "(실사지역은) 바그람 인근지역이며 인원이 결정되면 2차 실사단을 보내 판단하도록 할 것"이라며 "현재 (아프간내에) PRT가 없는 지역이 3군데 정도 되며 그중 여건이 맞는 지역을 실사할 것"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나타냈다.
여기에다 유 장관은 "글로벌 코리아로 가기 위해 테러와의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하나의 의무이며 아프간 정세의 안정은 안정적인 주한미군 주둔 여건을 조성하는 문제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고 밝혀 아프간 파병 정책결정을 내리는 데 미국의 입장이 중요 변수가 될 것임을 명확히 했다.
파병될 '보호병력'은 합참이 평가한 300명 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초만 해도 검토됐던 병력의 규모가 상당했다"면서 "그러나 최근 합참이 경계보호에 필요한 병력을 300여명으로 소요 판단하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그런 방향으로 의견이 집약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보통 민간인을 경계보호하는 병력 판단은 1대2 또는 1대3 정도가 적합하다"면서 "130여명의 PRT 요원이 아프간에서 활동한다면 300여명 정도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보호병력은 특전사령부의 공수부대 요원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부대 요원들은 간부들로서 평상시 산악지형 작전과 민간요인 경호 훈련을 하고 있기 때문에 파병 결정이 내려지면 신속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아직 어느 부대 병력으로 구성할지에 대한 지침이 하달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군은 이미 파병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정부의 지침이 내려지면 부대를 편성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