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일 낙동강 살리기 기공식에 앞서 열린 경북지역발전위원회 회의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해 "(환경을) 오염시키기 위해 (4대강) 사업을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앞으로는 (이 문제에) 답변하지 않으려 한다. 그 정도로 듣고 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기공식에서는 "과거를 기준으로 한 낡은 생각과 지역정치 논리로는 결코 미래를 열 수 없다"며 "가장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첨단기술을 배합한 미래형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은 "공사과정에서 수질이 나빠질 것이라 하는데 이 시대에 수질이 나빠지게 하는 공사를 할 리가 있겠느냐"고도 했다.
일부 시민단체는 4대강 사업을 하면 강이 오염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오염돼 있고 수량도 형편없는 4대강을 그대로 두자는 이런 주장은 환경을 내세워 오염을 방치하자는 것밖에는 되지 않는다. 대통령 말대로 세상의 어느 대통령이 환경오염이 뻔한 사업을 하겠는가. 우리나라의 공사 장비와 기술은 세계적 수준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대통령의 항변은 일리가 있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대통령이 국민 앞에서 "앞으로는 답변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닐뿐더러 4대강 살리기 자체를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금 여론조사를 보면 4대강 살리기 찬·반이 팽팽한 가운데 '사업은 하되 규모는 줄이자'고 응답하는 사람들이 40% 안팎에 달하고 있다. 이들은 4대강 살리기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논란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여러 문제점 때문에 선뜻 동의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정부는 4대강 살리기에 14조원이 든다고 했다가 22조원으로 바꿨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생략하고 사전 환경 검토도 약식으로 끝냈다. 거기에다 공사가 특정 학교 출신들에게로 많이 넘어갔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4대강을 이대로 둘 수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정부가 이 큰일을 하면서 뭔가 허술하고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가지게 된 것이다.
국민 일각의 이 인식을 바꾸지 못하면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앞으로도 순항하기 힘들다. 국민의 생각을 바꾸는 가장 좋고 확실한 방법은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설명하고 설득하고 호소하는 것이다. 한 번으로 되지 않으면 두 번, 세 번, 열 번, 백 번이라도 해야 한다. 대통령은 답답할수록 더 귀를 열어 듣고 입을 열어 대화해야 한다.
그래도 대통령은 답변하고 또 답변해야 한다
- 기사
- 100자평(23)
입력 : 2009.12.03 22:03 / 수정 : 2009.12.04 01:34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대중 치욕정권 두번다시 탄생 안된다! (0) | 2009.12.04 |
---|---|
오바마 중국 방문후느낌점.. (0) | 2009.12.04 |
하토야마, 미·일외교 보다 내정 우선 (0) | 2009.12.04 |
철도파업 8일만에 '백기 투항' (0) | 2009.12.04 |
철도파업' 종료..수출 피해만 5천억 (0) | 2009.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