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普熙 UN군 한국전 참전 60주년 기념사업회 추진위원장 | |
 | |
|
“한국전 참전 공로 잊지 말아야 한국 國格 올라가” |
| |
 |
 |
 |
 |
⊙ 6월 중순 미 케네디센터 공연부터 16개국 순회 ⊙ 정부, 공연지원 위해 50억원 배정
朴普熙 ⊙ 충남 아산 출생. ⊙ 육군종합학교 2기 졸업. 미국 보병학교 특수연합군반 유학. 아르헨티나 라프타대 명예철학박사. ⊙ 駐美대사관 무관보좌관. 재단법인 한국문화재단 창설, 이사장 겸 총재. 선화예술학교 교장. 워싱턴타임스 회장. 미국 뉴욕트리뷴 사장. 세계일보사 사장 겸 발행인. ⊙ 화랑무공훈장. 국민훈장 동백장. 국민훈장 은관문화훈장 등.
취재지원 : 朴熙錫 인턴기자 |
 |
 |
 |
 |
 |
한국문화재단 총재 박보희(朴普熙·80)씨에게 ‘2010년’은 조바심 나는 해다. 평생 미뤄둔 숙제를 올해는 꼭 마쳐야 한다. 그래서 함께 숙제를 해야 할 사람들을 모았다. 모임 이름은 ‘UN군 한국전 참전 60주년 기념사업회(이하 기념사업회)’다. 참여한 사람들의 면면이 화려하다. 남덕우·강영훈·이한동 전(前) 국무총리, 이만섭·김수한·박관용 전 국회의장, 백선엽 전 육군참모총장, 이상훈 전 국방부 장관, 이철기 전 천도교교령 등. 추진위원장은 박보희 총재가 맡았다. 서울 능동 리틀엔젤스 회관에서 만난 박 총재는 두 개의 명함을 건넸다. 하나는 한국문화재단 총재, 다른 하나는 기념사업회 추진위원장 명함이다. 올해 80세지만 얼굴에 주름살을 찾기 어려웠다. 건강 비결부터 묻자, “평생 일을 만들어서 쉬지 않고 바쁘게 지낸 덕분이 아닐까요”라고 했다. “어떤 운동을 하느냐”는 질문에 “시간 날 때 걷는 게 유일한 운동”이라고 말했다. 골프도 치지 않는다. 시간이 없어서란다. 몇 해 전 송사(訟事)에 휘말려 잠시 구속되기도 했다. 또 통일교 일에서 손을 뗐다는 말이 떠돌았다. 이에 대해 박 총재는 “불미스러운 일은 다 지나갔고, 통일교에서는 내가 ‘외무부 장관’쯤 된다”며 웃었다. “이제 참전용사 위로할 시간이 없어” ―바쁜 일이 많을 텐데 기념사업회 일까지 맡으셨군요. “아무리 바빠도 기념사업회 일은 올해 반드시 해야 합니다. 더 이상 시간이 없습니다. 올해가 UN군이 한국전에 참전한 60주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60년은 ‘환갑’을 뜻하기 때문에 의미가 각별합니다. 더 중요한 건 한국전에 참전한 16개국 생존 용사들의 나이가 이제 80세, 90세가 됐습니다. 올해가 지나면 그분들을 위로하고 감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칠 겁니다.” ―한국전 참전용사들 가운데 얼마나 생존해 있습니까. “정확한 자료는 없습니다. 한국전 유공자 협회장 말씀에 따르면 4분의 3이 돌아가시고 4분의 1이 남았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약 25만~30만명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전에 참전한 군인들 수가 그렇게 많습니까. “참전한 미군의 수만 약 170만명입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연설문을 보면 직·간접적으로 한국군에 참여한 미군 수를 570만명이라고 했습니다.” ―엄청난 숫자군요. “대단하죠. 참전 미군의 수가 이렇게 많은 건 미국이 3년 동안 여러 번 교체병력을 보냈기 때문이에요. 전쟁 기간 3년 동안 6개월~1년 근무하고 고향에 갔거든요. 그래서 참전 인원이 많습니다. 그만큼 전사자도 많죠. 우리나라가 잘살게 되면서 한국전을 스스로가 잊고 살고 있습니다. 한국전은 전 세계가 참여한 한국 구하기 전쟁이었어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전에 전투부대를 파병한 나라는 모두 16개국이다. 스웨덴, 덴마크, 인도 등 5개국은 의료지원국이다. 브라질, 이스라엘, 레바논, 파키스탄 등 20개국은 물자를 지원했다. 한국전 미군 전사자 5만4246명, 이라크 미군 전사자 4000명 전투부대를 파병한 주요국의 인원은 요새 미군이 수행하고 있는 이라크전과 비교할 바가 아니다. 미군은 3년 동안 보병사단 8개, 해병사단 1개 등을 포함해 모두 179만명을 파병했다. 인접 캐나다가 모두 약 2만6000명을 파병했고, 영국이 약 5만6000명, 터키가 약 1만5000명을 파병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호주(8407명), 필리핀(7420명), 태국(6326명) 등이다. 우리와 전혀 상관 없을 것 같은 남아공,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등도 군대를 보냈다. 3년 동안 전사자, 부상자, 실종자, 포로가 모두 190만478명이 나왔다. 이 가운데 미군 전사자가 5만4246명, 부상자 10만3284명, 실종자는 8177명이다. 다시 박 총재의 얘기다. “미국이 이라크에서 큰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