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사자 신원확인..59년만의 귀향
연합뉴스 | 입력 2010.02.25 11:18 | 수정 2010.02.25 11:25
故양손호 일병..軍 신원확인 단서無, DNA로 최종확인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6.25전쟁 때 전사했으나 수습되지 못한 채 전장에 남겨졌던 참전용사의 유해가 59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게 됐다.
특히 수습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만한 아무런 단서도 없었지만 군의 끈질긴 DNA 추적을 통해 가족을 찾게 돼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5일 지난 2007년 11월 경기도 가평에서 수습한 고(故) 양손호 일병의 유해 DNA 검사를 한 결과 작년 2월 부친을 찾으려 유전자 샘플을 등록한 양순희(60.여)씨의 유전자와 일치한 것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유해발굴이 시작된 지난 2000년 이후 수습돼 신원이 확인된 유해 56구 중 아무런 단서없이 DNA 검사만으로 신원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대부분의 신원확인 유해는 인식표 등 유품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사례다.
국방부가 양 일병의 유해를 수습했을 당시 구두주걱과 반지, 전투화, 단추, 방탄헬멧 조각 등 유품이 일부 발견됐지만 신원을 확인할만한 단서가 전혀 없었다.
군으로선 유족이 국방부에 유전자를 등록하는 것을 기다려야만 했고, 때마침 양순희씨가 부친을 찾아달라며 유전자를 등록했고 DNA가 일치한 것이다.
전사(戰史)와 병적기록, 유가족 증언 등에 따르면 고인은 26세의 나이에 부인과 생후 5개월 된 외동딸을 뒤로한 채 1950년 9월 입대, 1951년 1월1일 중공군의 3차공세 당시 2사단 32연대에 소속돼 가평지구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식을 전해 들은 양씨는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어 실감하기 어렵지만 지난 59년간 가슴에 묻어둔 한을 풀 수 있게 됐다"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양씨의 시아버지 역시 6.25전사자로 아직 유해를 찾지 못하고 있어 주변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고인의 유해는 유가족과 협의를 거친 뒤 대전국립현충원 묘역에 안장된다.
지난 2000년부터 10년간 발굴된 전사자 유해는 모두 4천133구로, 이 중 국군이 3천367구이다. 유가족 1만339명이 유전자 샘플을 등록한 상태다.
한편 국방부는 올해 6.25전사자 유해발굴을 다음 달 2일 경남 함안을 시작으로 11월 말까지 1천500구 이상 발굴을 목표로 55개 지역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또 유가족 유전자 샘플 등록 시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학교 대상 유해발굴 사진 및 유품 전시회, 대학생 유해발굴 현장 체험행사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호국보훈의식 함양 활동을 활발히 추진할 계획이다.
유해발굴감식단장인 박신한 대령은 "올해는 6.25전쟁 60주년과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 추진 10주년을 맞는 해로 대국민 홍보활동 강화를 통해 국가가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끝까지 책임진다는 국가 무한책임 의지와 오늘의 우리가 있기까지 6.25전사자들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oneybee@yna.co.kr
(끝)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6.25전쟁 때 전사했으나 수습되지 못한 채 전장에 남겨졌던 참전용사의 유해가 59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게 됐다.
특히 수습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만한 아무런 단서도 없었지만 군의 끈질긴 DNA 추적을 통해 가족을 찾게 돼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5일 지난 2007년 11월 경기도 가평에서 수습한 고(故) 양손호 일병의 유해 DNA 검사를 한 결과 작년 2월 부친을 찾으려 유전자 샘플을 등록한 양순희(60.여)씨의 유전자와 일치한 것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유해발굴이 시작된 지난 2000년 이후 수습돼 신원이 확인된 유해 56구 중 아무런 단서없이 DNA 검사만으로 신원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대부분의 신원확인 유해는 인식표 등 유품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사례다.
국방부가 양 일병의 유해를 수습했을 당시 구두주걱과 반지, 전투화, 단추, 방탄헬멧 조각 등 유품이 일부 발견됐지만 신원을 확인할만한 단서가 전혀 없었다.
군으로선 유족이 국방부에 유전자를 등록하는 것을 기다려야만 했고, 때마침 양순희씨가 부친을 찾아달라며 유전자를 등록했고 DNA가 일치한 것이다.
전사(戰史)와 병적기록, 유가족 증언 등에 따르면 고인은 26세의 나이에 부인과 생후 5개월 된 외동딸을 뒤로한 채 1950년 9월 입대, 1951년 1월1일 중공군의 3차공세 당시 2사단 32연대에 소속돼 가평지구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식을 전해 들은 양씨는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어 실감하기 어렵지만 지난 59년간 가슴에 묻어둔 한을 풀 수 있게 됐다"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양씨의 시아버지 역시 6.25전사자로 아직 유해를 찾지 못하고 있어 주변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고인의 유해는 유가족과 협의를 거친 뒤 대전국립현충원 묘역에 안장된다.
지난 2000년부터 10년간 발굴된 전사자 유해는 모두 4천133구로, 이 중 국군이 3천367구이다. 유가족 1만339명이 유전자 샘플을 등록한 상태다.
한편 국방부는 올해 6.25전사자 유해발굴을 다음 달 2일 경남 함안을 시작으로 11월 말까지 1천500구 이상 발굴을 목표로 55개 지역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또 유가족 유전자 샘플 등록 시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학교 대상 유해발굴 사진 및 유품 전시회, 대학생 유해발굴 현장 체험행사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호국보훈의식 함양 활동을 활발히 추진할 계획이다.
유해발굴감식단장인 박신한 대령은 "올해는 6.25전쟁 60주년과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 추진 10주년을 맞는 해로 대국민 홍보활동 강화를 통해 국가가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끝까지 책임진다는 국가 무한책임 의지와 오늘의 우리가 있기까지 6.25전사자들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oneybee@yna.co.kr
(끝)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 > 6,25전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사단 노병들이 증언하는 다부동 전투 (0) | 2010.04.07 |
---|---|
敵탱크 속에 수류탄 '펑'… 순간 소대장님 다리가… (0) | 2010.03.08 |
UN군 참전 60주년 기념사업회 만든 박보희 그가 돌아왔다 (0) | 2010.02.16 |
朴普熙 UN군 한국전 참전 60주년 기념사업회 추진위원장 (0) | 2010.02.16 |
적유령 산맥의 중공군 (19) 서울을 탈환하라 [중앙일보]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