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9시45분쯤 서해 백령도 서남쪽 1마일 해상에서 경비 활동 중이던 우리 해군 제2함대사령부 소속 초계함 천안함(1200t급)이 폭발사고로 침몰했다고 군 당국이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정보작전처장 이기식 해군준장은 27일 “우리 함정의 선저(바닥)가 원인 미상으로 파공되어 침몰했다”고 말했다. 해군 역사상 초계함급 이상 대형 전투함이 폭발로 침몰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투함의 폭발이 배 안에서 발생한 단순 폭발 사고인지, 북한군의 공격에 의한 것인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 준장은 “27일 새벽 1시 현재 함정에 탑승한 승조원 104명 중 58명이 구조됐으며 초계함과 경비정 등을 투입해 나머지 승조원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새벽 3시 현재 추가 구조 상황이 들어오지 않아, 46명이 실종자로 분류된 상태다.
이어 이기식 준장은 “파공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북한이 (공격)했다고 단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빠른 시간내 원인 규명을 하고 원인이 확인되면 거기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이다. 원인을 규명하려면 날이 밝아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조되지 않은 승조원들은 물에 빠졌을 수도 있으며 배는 거의 다 잠겼다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천안함은 선체 뒤쪽 스크루 부분에 엄청난 폭발음과 함께 선체가 들리면서 구멍이 뚫려 침몰했으며 승조원 상당수가 바다로 뛰어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원인과 관련, 합참은 인명 구조작업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아직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군은 이날 해난구조대(SSU)를 투입해 수심 20~30m 아래 가라앉은 초계함의 폭발 지점을 정밀조사하고, 혹시 모를 시신 수습에 나설 계획이다.
사고 당시 천안함의 인근에 있던 초계함 속초함에서는 레이더로 미상의 물체를 포착하고 5분간 경고사격을 가했다. 일각에서는 북쪽에 있던 미상의 타킷(선박)을 향해 발포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에 이 준장은 “작전 중이던 초계함의 레이더 상에 미상 물체가 포착되어 경고사격을 하였고 레이더에 포착된 형상으로 보아 새떼로 추정된다”면서 “정확한 내용은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선미 쪽에 구멍이 난 것으로 미뤄 북한의 어뢰정 등에 의한 공격 가능성을 제기되고 있지만 합참은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신중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천안호 침몰 지점은 백령도와 대청도 사이 NLL(북방한계선)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해상이다.
해군은 백령도에 구급차와 구조헬기 등을 긴급 출동시켜 구조된 승조원들의 건강을 살피고 있고 사고 해상에는 초계함과 경비정 등을 대기시키고 밤샘 실종자 수색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북한군은 특별한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26일 육상에서 수 십차례 포사격 훈련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합참은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다.
해군은 27일 전날 밤 서해상에서 침몰한 초계함 천안함의 실종자 46명에 대한 명단을 확인했다.
◇실종자(46명)
▲원사 이창기
▲상사 최한권 남기훈
▲중사 김태석 박경수 문규석 강 준 김경수 박석원 안경환 신선준 김종헌 최정환 민평기 정종율
▲하사 임재엽 문영욱 손수민 이상준 심영빈 장진선 조정규 서승원 방일민 박성균 조진영 서대호 차균석 김동진 박보람
▲병장 이상희 이용상 이재민 강현구 이상민(88년생) 이상민(89년생)
▲상병 정범구 김선명 박정훈 안동엽
▲일병 강태민 김선호 조지훈 나현민
▲이병 정태준 장철희
해군은 27일 서해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침몰한 초계함 천안함(1천200t급)의 구조자 명단을 확인했다.
◇구조자(58명)
▲중령 최원일
▲소령 김덕원
▲대위 이채권 박연수
▲중위 김광보 정다운 박세준
▲상사 김병남 김덕수 오성탁 김수길 허순행 김정운 강봉철 오동환 정종욱
▲중사 이광희 김현래 조영연 손윤식 송민수 김현용 김광규
▲하사 홍승현 육현진 공창표 이연규 허향기 진경섭 배성모 전승석 함은혁 박현민 강은강 정재환 김효형 김기택 서보성 정주현 유지욱 정용호 라정수 신은총 김정원
▲병장 전준영 최광수 김용현 강태양 최성진
▲상병 안재근 김윤일 정현구
▲일병 김수철 오예석 황보상준
▲이병 이태훈 전환수 이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