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군, 북 잠수함 탐지장비 우선보강 추진"

화이트보스 2010. 4. 18. 20:27

군, 북 잠수함 탐지장비 우선보강 추진"

  • 연합뉴스
  • 트위터로 보내기
  • MSN 메신저 보내기
  • 뉴스알림신청
  • 뉴스젯
  • RSS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 스크랩하기
  • 블로그담기
  • 기사목록
  • 글자 작게 하기
  • 글자 크게 하기

입력 : 2010.04.18 09:22 / 수정 : 2010.04.18 14:25

’3차원 레이더’ 개발 4년 앞당기기로

군당국은 천안함 침몰사고를 계기로 북한의 잠수함 및 수중무기의 탐지장비를 우선 보강하는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고위 관계자는 18일 “해군 수상함에 필요한 특수장비 보강과 함정 건조계획을 포함한 해군 전력 소요를 재검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특히 수상함에서 북한의 잠수함과 어뢰.기뢰 등 수중무기를 탐지하는 장비와 센서를 우선 보강하는 방안이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천안함 침몰원인이 외부폭발 가능성으로 판단되었지만 아직은 어뢰나 기뢰 등의 무기에 의한 증거가 수집되지 않아 북한을 지목할 단계는 아니다”면서 “다만, 이번 사건 과정에서 우리 군의 북한 잠수함 및 수중무기 탐지수준이 여과 없이 공개되어 탐지 장비와 센서 등의 보강이 시급하다는 것이 군 수뇌부의 견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지난 5일 천안함과 같은 대잠 초계함이 소나(음탐장비)체계를 가동할 경우 사고 당일을 기준으로 백령 근해 수심30m 기준의 해양환경을 대입하면 약 2㎞ 전후에서 잠수함과 (반)잠수정, 어뢰를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은 70% 이상이라고 밝혔다.

또 군은 오는 2020년까지 국내 연구 개발키로 한 3차원 레이더(차기 국지방공레이더)를 4년 앞당겨 개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 소식통은 “북한의 공중공격 위협을 탐지하는 3차원 레이더를 애초 2020년까지 개발키로 했으나 2016년에 조기 개발하는 목표로 수정될 것”이라며 “소형 항공기까지 탐지 가능한 3차원 레이더 체계를 수상함에도 장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