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레이더’ 개발 4년 앞당기기로
군당국은 천안함 침몰사고를 계기로 북한의 잠수함 및 수중무기의 탐지장비를 우선 보강하는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군 고위 관계자는 18일 “해군 수상함에 필요한 특수장비 보강과 함정 건조계획을 포함한 해군 전력 소요를 재검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특히 수상함에서 북한의 잠수함과 어뢰.기뢰 등 수중무기를 탐지하는 장비와 센서를 우선 보강하는 방안이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천안함 침몰원인이 외부폭발 가능성으로 판단되었지만 아직은 어뢰나 기뢰 등의 무기에 의한 증거가 수집되지 않아 북한을 지목할 단계는 아니다”면서 “다만, 이번 사건 과정에서 우리 군의 북한 잠수함 및 수중무기 탐지수준이 여과 없이 공개되어 탐지 장비와 센서 등의 보강이 시급하다는 것이 군 수뇌부의 견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지난 5일 천안함과 같은 대잠 초계함이 소나(음탐장비)체계를 가동할 경우 사고 당일을 기준으로 백령 근해 수심30m 기준의 해양환경을 대입하면 약 2㎞ 전후에서 잠수함과 (반)잠수정, 어뢰를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은 70% 이상이라고 밝혔다.
또 군은 오는 2020년까지 국내 연구 개발키로 한 3차원 레이더(차기 국지방공레이더)를 4년 앞당겨 개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 소식통은 “북한의 공중공격 위협을 탐지하는 3차원 레이더를 애초 2020년까지 개발키로 했으나 2016년에 조기 개발하는 목표로 수정될 것”이라며 “소형 항공기까지 탐지 가능한 3차원 레이더 체계를 수상함에도 장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