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중대한 국가안보 사건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야권의 초당적 협력을 촉구했다.
정병국 사무총장은 이날 중앙 선대위 실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이 여당 시절인 2000년 총선, 2007년 대선을 전후해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됐음을 거론, "북풍을 악용하려 했지만, 역풍을 맞았다"며 "북풍을 운운해 천안함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되며, 더이상 북풍은 없다"고 강조했다.
정 사무총장은 9.11 테러 당시 미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소개하며 "이를 배워야 한다. 당시 안보문제라는 인식 아래 문책은 없었다"며 "북풍을 이용하려는 한심한 행동을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수희 여의도연구소 소장은 "선거.정치보다 중요한 것은 국가안보로, 정치적 유불리를 따져 (조사발표) 시기를 조절해야 한다는 야당의 인식은 유감"이라며 "이번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했다면 처음부터 북한을 용의자로 지목, 그 방향으로 몰아갔을 것"이라고 밝혔다.
진 소장은 또한 "세계 전쟁사에서 기습공격을 완벽히 막은 사례는 많지 않고, 이로 인한 내각 총사퇴 주장을 못들었다"며 "무분별한 정치공세 대신 단호한 대응에 힘을 보태는 야당의 통 큰 결단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스마트서민공감위원장인 정진섭 의원은 "민주당의 책임론 제기는 골목에서 테러당한 자식한테 '맞고 다닌다'고 뺨 때리는 것"이라고 비판한 뒤 "유시민 경기지사 후보는 정확한 증거가 나온 만큼 거취를 결정하라"고 촉구했다.
정옥임 중앙선대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서로의 입장과 주장에 차이가 있더라도 국가안위와 관련한 문제에 있어서는 마음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며 "이제 논란을 종식하고 이 문제만큼은 뜻을 모아 정치권이 국민통합과 단결에 앞장서자"고 당부했다.
또한 북한의 검열단 파견 요구에 대해 정 사무총장은 "일고의 고려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고, 정진섭 의원은 "자기방어가 필요하다면 유엔 안보리 등을 통해 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스마트전략위원장인 정두언 의원은 "천안함 사건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는 이번 선거에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두 문제를 선거에 이용하려고 '오버'하는 측이 손해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