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24일 SBS 라디오 ‘서두원의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정부가 이 문제를 전쟁으로 몰고 갈 것이 아니라면 북에 대해서도 최소한의 반론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의 직접 반론권을 보장하는 조치가 필요하고, 선거에 이용할 것이 아니라면 빨리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유엔사가 조사를 한 뒤 북한이 회담에 나와야 한다고 국방부가 이야기하는데, 유엔사는 북의 입장에서 보면 교전의 상대방일 뿐 중립적인 조사기관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날 첫 회의를 여는 국회 천안함 특위에 위원으로 참여하는 이 의원은 우리 군의 열상관측장비(TOD) 영상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지난 19일 “천안함 침몰 순간 함수와 함미가 분리되는 장면을 담은 TOD 동영상이 없다는 국방부 주장은 완전한 거짓말”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그는 합참 정보참모부장 산하 정보분석처 소속 A대령 등을 이 동영상을 본 사람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또 민주노동당에 가입한 교사와 지방공무원 217명을 해임·파면하기로 한 정부 결정에 대해 “교사와 공무원에게 보장된 헌법상 정치적 기본권을 완전히 제어하겠다는 것으로 대단히 부당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