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만채 교육감의 무례한 교육장 사퇴요구/남도일보사설 |
입력: 2010.07.12 00:00 |
|
|
장만채 전남도교육감이 교육계 중진들에게 예우를 갖추지 않은 일방통행 식 인사절차를 밟고 있어 물의를 빚고 있다. 장 교육감은 지난 7일 산하 22개 지역 교육장과 4개 직속 기관장에게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보직사퇴서를 제출토록 통보했다. 장 교육감은 지역교육장협의회장인 무안교육장을 통해 22명의 지역 교육장들이 보직사퇴서를 제출해줄 것을 요구했다. 4명의 직속 기관장에 대해서는 김승의 교육국장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퇴요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8월말 정년인 무안과 목포 교육장을 제외한 전남지역 20개 시·군 교육장과 교육과학연구원·교육연수원·학생교육원·학생교육문화회관장 등 24명은 9일 오후 우편을 통해 도 교육청에 보직사퇴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이 같은 장 교육감의 처사는 인사권 남용인 동시에 교육현장에서 수 십 년 동안 헌신한 교육계 인사들에게 모욕감을 안겨준 부적절한 조치라는 지적이다. 새 교육감이 당선됐으니 전임 교육감이 임명한 사람들은 모두 물러나라는 식의 흑백논리 인사라는 비난도 크다. 전남도 교육청의 인사관리 규정에는 교육장의 임기가 3년으로 명시돼 있으나 장 교육감이 이를 무시하고 지역교육장들을 모두 물러나게 한 것은 한마디로 교육 권력의 횡포라 할 수 있다. 인사 해당자들에게 장 교육감의 의사를 충분히 전달하고 양해를 구하는 모양새를 갖춘 뒤 이런 절차를 밟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크다. 소통과 대화 부재로 우리 사회의 대립· 갈등 구조가 갈수록 깊어지는 와중에 나온 일방통행식 인사라 아쉬움이 더 크다. 개혁과 혁신은 무조건 적인 부정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전임 교육장이 임명한 인사라 해서 무조건 배척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더구나 전남 교육계의 수장이 됐다고 해서 중견 교육계 인사들을 이렇게 무시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장 교육감은 22개 지역 교육장 가운데 3분의 1 정도를 공모제를 통해 선발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수준의 인사 관을 지니고 있다면 공모제는 장 교육감의 입맛에 맞는 측근 인사들이 교육장으로 임명될 수단으로 활용될 우려가 크다. 교육계의 개혁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교육계 인사들의 호응과 동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서두르지 않고 점진적이어야 한다. 임기 내에 무엇인가를 보여주겠다는 욕심에 사로잡혀 교육계 중진들을 욕보이는 처사는 다시 되풀이 하지 않기를 당부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