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영 전남도지사가 공직사회의 안일함을 강도 높게 질타했다. 12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열린 ‘도지사 공약사항 실천계획 보고회’ 자리에서다. 박 지사는 이날 구체적 사례까지 제시하며 도정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박 지사는 우선, 농촌 행복마을 육성을 위한 추진상황과 투자계획 등을 보고받은 뒤 말문을 열었다. 그는 “행복마을에 가 보면 설계도대로 지었는지 검토해야 하는데 안 하고 있더라”면서 “돈만 지원하지 말라. 시·군이든, 도든 누가 감독하느냐”고 질타했다. 박 지사는 또 “행복마을 건설할 때 집마다 사진 찍고 증거를 남겨라”고 지시했다. “그렇게 안 하면 감사시키겠다”고도 했다.
관광문화국과 관련된 공약 사항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박 지사는 섬 종합개발 사업에 대해 “민자 유치가 되지 않으면 일단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나중에 바꾸면 되는데, 그런 노력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전남개발공사의 땅끝 관광 호텔과 관련해서는 “다각적 수익성 확보 방안은 마련하지 않고 쉽게 위탁운영하는 방식만 생각한다”고 질책했다. “완도군 신지 해수욕장 인근에 숙박시설 건립 문제도 (전남개발공사에) 지시했더니 그때야 하더라”면서 “스스로 하는 게 하나도 없다”고 비판했다.
갤럭시 아일랜드도 “만들어 놨는데 보고하는 게 없다. 가보지 않으니 그런 것 아니냐”고 지적다.
슬로시티 관광사업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박 지사는 “(청산도의 경우) 슬로시티로 지정된 지 2년 반이 됐는데 잘 곳이 한 군데도 없다”고 꼬집었다. “언제부터 (숙박시설 건립을) 하라고 했는데, 가만히 놔두니 땅값만 올라가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천일염산업 추진 부서도 과학적 분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혼이 났다. 박 지사는 “천일염과 관련된 고용 인구가 몇 명이냐”고 묻고 “통계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답변이 나오자, “그런 것 파악해라. 하나의 산업으로 (연매출, 고용인원, 장래 효과 등을) 분석해라. 비전 갖고 해야지, 몇 명이 고용돼 있는지도 모르고 있으니 되겠나”고 지적했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
박 지사는 우선, 농촌 행복마을 육성을 위한 추진상황과 투자계획 등을 보고받은 뒤 말문을 열었다. 그는 “행복마을에 가 보면 설계도대로 지었는지 검토해야 하는데 안 하고 있더라”면서 “돈만 지원하지 말라. 시·군이든, 도든 누가 감독하느냐”고 질타했다. 박 지사는 또 “행복마을 건설할 때 집마다 사진 찍고 증거를 남겨라”고 지시했다. “그렇게 안 하면 감사시키겠다”고도 했다.
관광문화국과 관련된 공약 사항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박 지사는 섬 종합개발 사업에 대해 “민자 유치가 되지 않으면 일단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나중에 바꾸면 되는데, 그런 노력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전남개발공사의 땅끝 관광 호텔과 관련해서는 “다각적 수익성 확보 방안은 마련하지 않고 쉽게 위탁운영하는 방식만 생각한다”고 질책했다. “완도군 신지 해수욕장 인근에 숙박시설 건립 문제도 (전남개발공사에) 지시했더니 그때야 하더라”면서 “스스로 하는 게 하나도 없다”고 비판했다.
갤럭시 아일랜드도 “만들어 놨는데 보고하는 게 없다. 가보지 않으니 그런 것 아니냐”고 지적다.
슬로시티 관광사업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박 지사는 “(청산도의 경우) 슬로시티로 지정된 지 2년 반이 됐는데 잘 곳이 한 군데도 없다”고 꼬집었다. “언제부터 (숙박시설 건립을) 하라고 했는데, 가만히 놔두니 땅값만 올라가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천일염산업 추진 부서도 과학적 분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혼이 났다. 박 지사는 “천일염과 관련된 고용 인구가 몇 명이냐”고 묻고 “통계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답변이 나오자, “그런 것 파악해라. 하나의 산업으로 (연매출, 고용인원, 장래 효과 등을) 분석해라. 비전 갖고 해야지, 몇 명이 고용돼 있는지도 모르고 있으니 되겠나”고 지적했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