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헬스케어

어뢰추진체 '1번글씨' 온도 0.1℃도 상승 안해"

화이트보스 2010. 8. 2. 13:36

어뢰추진체 '1번글씨' 온도 0.1℃도 상승 안해"

카이스트 송태호 교수 논문서 주장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 천안함을 공격한 것으로 드러난 북한의 어뢰추진체에 쓰인 '1번' 글씨의 온도는 폭발 당시 0.1℃도 상승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주장이 제기됐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송태호 교수는 2일 '천안함 어뢰 1번 글씨 부위 온도 계산'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1번 글씨가 폭발 때 고열의 화염에 타버렸어야 하는데 멀쩡히 남았다는 의문에 대해 이같이 주장했다.

   송 교수는 "어뢰폭발 때 발생하는 버블 내 화염의 고온상태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며 "버블이 단열 팽창하면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고 폭발 후 0.05초 후에는 도장면에 열손상을 일으킬 수도 없는 약 130℃의 낮은 온도로 급속히 냉각되고 0.1초가 지나면 28℃까지 내려간다"고 밝혔다.

   그는 "이 때문에 화염의 충격파에 직접 노출되는 디스크 전면의 온도라고 해도 기껏 5.5℃를 넘지 않게 된다"며 "1번 글씨가 쓰인 디스크 후면의 온도는 바닷물 온도인 3℃보다 0.1℃도 상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극단적인 경우라고 해도 어뢰추진부의 온도는 기껏 20℃ 이내로 상승해 페인트 혹은 그 위의 글씨가 열손상을 입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부에서 어뢰의 온도 상승치를 '화약 발열량의 13% / 어뢰의 열용량 = 섭씨 약 150℃'로 계산하는 것과 관련,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hoju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