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3분의 1이 '2기준 초과' 불량 슬러지 배출
[하수 슬러지 비상]
처리시설 대대적 보완 필요
처리시설 대대적 보완 필요
전국 시군구의 3분의 1 가량은 내년부터 적용되는 하수 슬러지 해양 투기 기준을 초과하는 불량 슬러지를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각 시군구가 배출한 하수 슬러지는 302만4,690톤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46.9%)인 142만128톤을 해양경찰청을 통해 바다에 내버렸다.
3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435개 시군구의 슬러지 건조 시설, 하수종말처리장 등 슬러지 처리 시설 중 117곳(26.8%)이 내년부터 적용되는 해양 투기 2기준을 초과하는 슬러지를 배출하고 있다. 시군구 중 3분의 1 가량은 슬러지 처리 시설에 대한 대대적 보완 정비가 필요한 셈이다.
1기준(상한 기준)에 비해 2기준(하한 기준)은 페놀 4,000→800㎎, 카드뮴 20→4㎎, 수은 5→1㎎ 등으로 높아진다.
경기의 경우 지난해 쏟아 낸 슬러지 해양 투기량은 38만7,742톤으로 전체 해양 투기량(142만128톤)의 27.3%에 해당한다. 그런데 도내 101개 시군구 가운데 2기준을 초과하는 슬러지를 해양 투기한 시군구는 30개에 달했으며 초과하지 않는 시군은 27개에 그쳤다. 나머지 44개 시군구는 해양 투기하지 않고 소각 매립 재이용했다.
3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435개 시군구의 슬러지 건조 시설, 하수종말처리장 등 슬러지 처리 시설 중 117곳(26.8%)이 내년부터 적용되는 해양 투기 2기준을 초과하는 슬러지를 배출하고 있다. 시군구 중 3분의 1 가량은 슬러지 처리 시설에 대한 대대적 보완 정비가 필요한 셈이다.
1기준(상한 기준)에 비해 2기준(하한 기준)은 페놀 4,000→800㎎, 카드뮴 20→4㎎, 수은 5→1㎎ 등으로 높아진다.
경기의 경우 지난해 쏟아 낸 슬러지 해양 투기량은 38만7,742톤으로 전체 해양 투기량(142만128톤)의 27.3%에 해당한다. 그런데 도내 101개 시군구 가운데 2기준을 초과하는 슬러지를 해양 투기한 시군구는 30개에 달했으며 초과하지 않는 시군은 27개에 그쳤다. 나머지 44개 시군구는 해양 투기하지 않고 소각 매립 재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