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운반선 삼호드림호와 한국인 5명을 포함한 선원 24명이 지난 4월 초 인도양에서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지 7개월 만인 6일 풀려났다. 해적들은 선주(船主) 삼호해운으로부터 950만달러(105억원가량)를 몸값으로 받아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해적들은 지난달 9일 케냐 해상에서 통발어선 금미305호 선원들도 납치해 붙잡고 있다.
한국 선적(船籍) 또는 한국인이 탄 선박이 2006년 이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것이 일곱 차례에 이른다. 한국을 포함해 해적에 피해를 본 각국 사례는 2008년 111건, 2009년 217건에 이어 올 들어 9월까지 289건으로 크게 늘고 있다. 소말리아 해적은 올해 해상범죄 289건 중 44%, 126건을 저질렀고 특히 선박 납치는 39건 중 35건을 차지했다. 이들은 몸값으로 한 해 1억달러를 챙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돈으로 중화기(重火器)를 사들이고 테러조직과 연계해 국제 암시장에서 자금을 모은 뒤 몸값을 받아내 배당금을 줄 정도라고 한다.
유엔 안보리는 2008년 외국 정부가 해적 퇴치를 위해 소말리아 영해에 들어가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결의안 4개를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우리 청해부대를 비롯해 40여개국 해군이 연합해군사령부(CMF) 지휘 아래 해적을 쫓고 선박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국제 공조체제는 망망대해에 숨어다니는 해적들이 눈도 끔쩍 않을 만큼 허술하다. 공해(公海)에서 해적질이 버젓이 벌어지는 현실은 21세기 문명의 치욕이다.
이제는 안보리 소속 강대국들과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를 포함한 다자안보기구들이 직접 나서 해적 소탕작전을 대대적으로 펼쳐야 한다. 소말리아 과도정부가 치안력을 회복해 해적 근절에 앞장설 수 있도록 각국이 지원하는 일도 시급하다.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가 촘촘하고 강력한 해적 소탕망을 짤 수 있도록 국제 여론을 조성하는 일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야 한다.
[오늘의 사설]
[사설] 청목회 수사 시비 없애려면 '권력 의혹'도 파헤쳐야
[사설] 'G20' 반대 의견 표시를 폭력으로 해선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