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팔한 98세 변경삼씨가 말하는 장수 비법 2011/01/06 09:58 | 추천 0 ![]() |
http://blog.chosun.com/withansu/5213909 ![]() | |
[4] 활기찬 장수의 조건은… 변경삼씨의 경우
나이 들수록 신체 장기는 힘을 잃고, 해가 갈수록 관절은 닳아간다. 누구나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이지만 어떤 이는 '팔팔한 백세'를 즐기고, 어떤 사람은 '골골한 노년'에 주저앉는다. 그 차이는 뭘까. /편집자
올해 98세가 되는 변경삼씨(창생사 대표) 허리춤에는 항상 만보계가 채워져 있다. 하루 일과를 끝내고 귀가하는 저녁 9시에는 만보계에 어김없이 1만 걸음 이상 찍힌다. 그는 매일 새벽 6시에 일어나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집 근처 야산을 4㎞ 걷는다. 성수동에 있는 자신의 회사에도 걸어서 출근한다.
그는 직원 10명이 안 되는 조그만 가정용 의료기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매일 지하철과 걷기로 세운상가와 영등포 공구점, 용산 전자상가 등을 누빈다. 고손자(7살)까지 둔 변씨지만 직접 자재도 구하고, 거래처도 챙긴다. 판매 현장에서 새로운 제품 아이디어도 얻는다. 그는 2년 전 96세에 7번째 발명 특허를 받았다. 그가 선천적으로 건강 체질을 타고난 것은 아니다. 어려서는 허약 체질로 매일 업혀서 학교에 다녔다. 위로 세 명의 형 모두 팔순을 못 넘기고 세상을 떠난 것으로 보아 장수 집안도 아니다. 1940년대 일본 유학 시절에는 영양실조로 쓰러진 적이 있고, 6·25 전쟁 때는 폐결핵으로 거의 죽을 고비를 넘겼다. 40~50대에는 한 번에 양주 두 병씩 비우고 매일 담배 3~4갑을 피는 무절제한 생활도 했다.
변씨는 "이러다 폐인되겠다 싶어 술·담배를 완전히 끊고 단전호흡 수련을 하고 매일 만보 걷기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 힘으로 골골한 노년을 만드는 각종 만성질환을 피해갔다. 취재팀이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에 의뢰해 변씨를 정밀 검진해보았더니 98세 나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결과가 나왔다. 혈압이 정상으로 유지되고, 심장병 예방 효과를 갖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이 매우 높았다.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단백질 알부민 수치도 정상이었다. 빈혈도 없고 혈색소가 풍부하며 활력을 보여주는 남성호르몬 수치도 정상이다. 노인에게 흔한 당뇨병도 없다. 모두 꾸준한 걷기 효과라는 것이 의료진의 설명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55%가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3가지 이상의 만성질병을 앓는 것과 비교된다(국민건강영양조사·2008). 한 발걸음을 앞으로 뗐다가 흔들리지 않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 최대 보폭은 62㎝로 측정됐다. 70대 연령층의 수준으로, 하체 근력이 튼튼하다는 의미다.
뇌 MRI에선 노화로 인한 뇌조직의 퇴화가 90대 나이에 비해 현저히 적게 나왔다. 60대 초반부터 자기 사업을 하면서 끊임없이 제품 개발에 힘쓰고, 매일 관련 자료를 찾아 읽는 등 꾸준한 지적(知的) 활동을 해온 덕으로 추정된다. 그는 작년 8번째 발명 특허를 출원했다.
[변경삼씨 정밀검진해보니…] 근지구력, 동년배의 倍… 당뇨·고혈압도 없어 정밀검진을 해보니 변경삼씨에겐 뇌하수체 종양이 있고, 뇌동맥과 심장의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약간씩 좁아져 있다. 노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골다공증도 있고, 전립선 종양도 의심된다. 노인성 청력장애도 있다. 그도 세월의 풍파를 비켜가진 못했다. 더욱이 왼쪽 폐 기능은 거의 상실돼 있다. 그와 대화를 나누면 중년 정도로 느껴질 만큼 말이 또박또박하고 빠르다. 철저하게 소식(小食)하고 왕성하게 신체 활동을 한 덕이다. 매일 연구하고, 책을 읽고 쓰며 지적(知的) 활동을 활발히 한 것도 정신의 노화를 막아주었다. |
'산행기 > 고령화에 대한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로병사의 루트가 바뀐다 (0) | 2011.01.14 |
---|---|
침대엔 각자의 별세한 배우자 사진… 쿨한 황혼 동거스톡홀름(스웨덴)=오현 (0) | 2011.01.14 |
10명 중 7명 "부모 치매 땐 요양원 모실 것" (0) | 2011.01.14 |
일본 도심형 요양시설 '잇큐안' 가보니… 주택가 한복판에 자리… 동네 사 (0) | 2011.01.14 |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老-老케어'헬싱키(핀란드)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