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신문에 따르면 경찰청은 지난달 17일부터 20일까지 강희락 전 경찰청장이 구속된 속칭 ‘함바 비리 사건’을 계기로 경찰의 부패 문제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을 찾기 위해 조현오 경찰청장 주재로 치안정감부터 경정까지 간부 50~60명이 참여한 개방형 고위 간부회의를 잇따라 열었다.
회의에서는 “경찰 내부에서의 개혁은 한계에 다다랐다. 경찰청장직을 외부에 개방해 경찰 개혁에 박차를 가하도록 해야 한다” “기존 경찰 조직의 기득권을 버리는 차원에서 경찰대 폐지 등 모든 것을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고, 이에 대한 공감대도 이뤄졌다고 한다.
경찰청은 20일 열린 고위 간부회의에서 이 같은 안을 최종 결정했고, 경찰청의 한 간부는 같은 달 24일 청와대 정무수석실을 찾아 건의안을 전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건의안은 “경찰의 기득권을 모두 버리고 경찰 혁신에 임할 것이니 경찰개혁위를 만들어 달라”는 내용으로 경찰청장직 외부 개방(민간 공모 등), 경찰대 폐지, 성매매 단속 등 일부 수사권을 관련 지방자치단체에 넘기는 것 등이 골자다.
건의안엔 ‘경찰개혁위의 성격은 대통령 직속기구, 국무총리실 산하 기구 혹은 시민사회기구 어떤 형태도 상관없다’는 조항도 들어 있다고 한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장직 외부 개방은 2005년부터 중간 관리자 이하에서 나온 얘기지만, 경찰 수뇌부에 아주 민감한 문제여서 누구도 쉽게 공개석상에서 꺼낼 수 없었다”며 “경찰이 개혁을 위해 아킬레스건을 스스로 끊고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중앙일보는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