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셋값이 소득보다 더 많이 올라
5년 2개월치 급여를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 시내 33평짜리 아파트의 전세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뱅크는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당 소득과 이달 현재 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을 분석한 결과, 한 가구가 가계지출 없이 서울의 109㎡(33평) 아파트 전세보증금을 마련하는 데 평균 5년 2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4월 기준으로 같은 면적의 아파트 전세보증금을 모으는 데 걸리는 평균 소요기간(5년)보다 2개월 늘어난 것이다.
서울 시내 109㎡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4월 2억1천509만원에서 올해 4월 2억4천828만원으로 15.43% 뛴 반면, 도시근로자 가구당 소득은 월 388만원에서 399만원으로 1년 동안 2.84% 오르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구별로는 강남권과 강북권의 차이가 뚜렷했다.
이달 현재 평균 월 소득으로 해당 지역의 109㎡ 아파트 전셋값을 마련하는 데 강남구(4억2천658만원.이하 평균 전셋값)는 8년 9개월, 송파구(3억7천936만원)는 7년 9개월, 용산구(3억2천136만원)는 6년 7개월, 서초구(3억1천75만원)는 6년 4개월, 광진구(2억9천568만원)는 6년 1개월이 각각 걸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강북구(1억6천315만원)와 서대문구(1억6천558만원)는 3년 4개월, 금천구(1억6천785만원)와 중랑구(1억7천94만원)는 3년 5개월, 은평구(1억8천122만원)는 3년 7개월 등으로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짧았다.
여기에 가계지출과 대출이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전셋집을 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훨씬 길어질 수밖에 없다.
현재 도시 근로자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399만원)에서 월평균 가계지출(315만원)을 빼면 84만원에 불과해, 이 돈만으로 서울 시내 109㎡ 아파트의 전세보증금을 마련하려면 평균 24년 6개월이나 걸린다는 계산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