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연평도 도발 전에도 해당 부대·지역 둘러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달 대남(對南)기구가 모여 있는 노동당 '3호 청사'와 정찰총국을 비공개 방문했던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3호 청사에는 통일전선부·대외연락부 등이 있고 정찰총국은 대남 무력 도발을 총괄하는 조직으로 천안함 폭침 도발을 주도했다.- ▲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함경북도 김책시의 성진제강연합기업소를 시찰하고 ‘자력갱생’을 강조했다고 조선중앙TV가 24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대북 소식통은 이날 "김정일이 3호 청사 등을 돌며 대남 요원들을 격려한 것으로 안다"며 "각종 대화 공세가 먹히지 않을 경우 도발 카드를 다시 꺼내 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북한 김영춘 인민무력부장(국방장관)은 인민군 창건 79주년(25일)을 하루 앞둔 이날 평양 중앙보고대회에서 "백두산 총대는 자비를 모른다"며 "지금 조선반도에는 언제 전쟁이 터질지 모르는 긴장 정세가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도 23일 "남측이 끝까지 외면한다면 우리(북)는 대화에 더 이상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고 위협했다. 최근 북한은 겉으로는 북핵 6자회담, 적십자회담, 백두산 접촉 등을 열자고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해상 침투 및 포 사격훈련을 대폭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정일의 동선(動線)이 주목된다. 23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일은 함정·잠수함 등을 주로 만드는 것으로 알려진 함북 나진조선소를 시찰했다. 1998년 김정일 정권이 공식 출범한 이후 김정일의 나진조선소 방문 보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 김정일은 핵 실험장(풍계리)과 장거리미사일 발사대(무수단리)를 관할하는 함북 264부대를 방문해 '선군(先軍)'을 강조했다고 북한 매체가 전했다.
안보 당국은 김정일이 도발 직전 해당 부대나 지역을 둘러보는 행적을 보였던 점을 주목한다. 김정일은 작년 3월 천안함 공격을 2주일쯤 앞두고 황해북도를, 11월 연평도 포격 직전에는 황해남도 일대를 시찰했다. 2006년과 2009년 핵 실험 및 장거리로켓 발사 무렵에는 함경도 일대를 집중 방문한 바 있다. 최근 시찰도 '도발 전주곡'일 수 있다는 관측이다.